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posted Jan 09,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지속적인 저금리 정책으로 주택 임대차시장에서 수급불균형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전세난은 이전보다 더욱 심화됐다. 전세물량이 귀해지고 보증금이 크게 오르면서 서울에서 전세를 구하지 못해 수도권으로 떠나는 이른바 전세난민도 늘었다. 정부도 전세난을 해결하기 위해 전세 대출 금리를 낮추는 등 여러 정책 대안을 들고 나섰지만 여전히 근본적인 해결책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은 20093월 이후 지난달까지 69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관련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장기간 상승세다. 상승속도도 한층 빨라졌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6.11%2014년 상승률(4.36%)을 크게 웃돌았다.

 

서울과 수도권은 말 그대로 전세대란이다. 서울의 지난해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년 대비 9.57% 올랐다. 6개 광역시(5.27%)와 지방(1.92%)도 전셋값 상승세가 거듭되고 있지만 서울에 비하면 준수한 편이다. 지난해 11월 서울의 평균 주택(아파트, 단독, 연립) 전셋값은 처음으로 3억원(3349만원)을 돌파했고 아파트 전세 가격은 평균 37800만원에 이른다. 6개 광역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22675만원이니 서울에서 전세 살 돈이면 지방 광역시에서는 아파트를 사고도 15000만원이 남는다.


frtd.jpg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의미하는 전세가율도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70%를 넘겼다. 전세가율이 82%에 달하는 성북구 길음동 등 일부지역에서는 전셋값이 매매가를 추월하는 역전현상도 발생했다. 서울에서 전세를 구하지 못하고 인천·경기 등 수도권으로 밀려나는 이른바 '전세난민'도 크게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한 해(1~11) 동안 서울을 빠져나간 인구(시도간 전출자)54393명으로 이 가운데 60%324287명이 경기도로 이주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세난이 지난해보다 심해졌다는 분석이다.

 

이자수익률이 떨어지고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임대주들이 늘면서 전세가 귀해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4.6%로 전년 동월(39.0%) 대비 5.6%포인트 증가했다. 월세 거래량이 전세 거래량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온 것이다. 가파른 주택가격 상승도 전세난에 한몫했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는 "전체 가구 중에 20~30%는 자신이 번 돈으로 집을 살 수 없을 정도로 집값이 올랐다""매매 수요가 임대차 수요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수급불균형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전세난이 심각해지자 정부도 대책을 내놨지만 시장 반응은 시큰둥했다. 4월 임차보증금 대출금리를 0.2%포인트 낮췄고 저소득층 월세대출 금리도 기존 2%에서 1.5%로 내리도록 했다. 10월에는 신혼부부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를 기존 1억원에서 12000만원으로 늘렸다. 하지만 전·월세난을 해소할 수 있는 근원적 치유책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 전·월세 시장 분위기를 단번에 바꿀 만한 대책들이 거듭 미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1월 국회 서민주거복지 특별위원회가 출범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없이 이달 초 막을 내렸다. 위원회에서는 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을 검토했지만 결국 단기 전·월세 상승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에 밀려 성과를 내지 못했다. 한 전문가는 "대출한도를 늘려주는 정부의 전·월세 정책은 결국 더 많은 빚을 내라는 말"이라며 "·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근본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1960~70년대 개발시대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정부의 전·월세 정책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한다. 이 연구위원은 "정부 정책은 공급을 늘리면 주거난이 해소된다는 식"이라며 "공급자 위주의 부동산 정책으로는 서민의 주거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경제팀

  


  1. 한국노총, 11일, '노사정 대타협 파기' 여부 결정

    한국노총, 11일, '노사정 대타협 파기' 여부 결정 한국노총이 노사정 대타협 파기 여부를 놓고 결단을 내린다. 한국노총은 11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노총회관에서 중앙집행위원회(중집)를 열어 '9·15 노사정 대타협' 파기 여부를 논의한다. 중집은 한노총 임...
    Date2016.01.11
    Read More
  2. 경찰, 스마트 순찰차 나온다

    경찰, 스마트 순찰차 나온다. 경찰 순찰차가 범죄차량의 도주 경로를 알아서 추적하고 자동으로 벌금·범칙금 체납 차량을 인식해 알려주는 등 똑똑하고 스마트해진다. 경찰청은 국내 치안수요에 맞게 차량 구조를 최적화하고 첨단 기능까지 장착한 '한국형 스...
    Date2016.01.11
    Read More
  3. 새누리당, 국회선진화법 개정안 발의

    새누리당, 국회선진화법 개정안 발의 새누리당은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국회선진화법 개정안을 11일 발의했다. 새누리당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법 개정안을 발의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국...
    Date2016.01.11
    Read More
  4. 새누리, 새인물 인재6인 1차 영입

    새누리, 새인물 인재6인 1차 영입 새누리당은 10일 4·13 총선을 겨냥한 1차 인재영입 결과를 발표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희경 자유경제원 사무총장과 박상헌 공간과미디어 연구소장, 최진녕·김태현·변환봉·배승...
    Date2016.01.10
    Read More
  5. 안철수의 ‘국민의당’, 창당 발기인 대회

    안철수의 ‘국민의당’, 창당 발기인 대회 안철수 의원의 신당 '국민의당'(가칭)은 10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창당 발기인대회를 열어 창당준비위원회를 정식 발족했다. 이를 계기로 국민의 당은 내달 2일 중앙당 창당을 목표로 시·도당 창당작업, 당원모...
    Date2016.01.10
    Read More
  6. 달리던 벤츠에서 화재

    달리던 벤츠에서 화재 한창 달리고 있던 벤츠 차량에서 또 불이 났다. 이번 겨울 이런 비슷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오늘 낮 12시쯤 경부고속도로 양재나들목 부근을 달리던 51살 이 모 씨의 벤츠 S350 승용차에 불이 났다. 고속도로 갓길에 검은 연기가 가득...
    Date2016.01.09
    Read More
  7. 초중고교 졸업시즌이 바뀌고 있다

    초중고교 졸업시즌이 바뀌고 있다 초중고교의 '졸업 시즌'이 바뀌고 있다. 올해 1월에 졸업식을 갖는 서울지역 중·고교는 총 31곳이다. 2년전에는 공항중이 유일했는데 최근 그 수가 크게 늘어났다. 학교가 졸업식을 1월로 앞당긴 것은 '시간 때우기식'으로 운...
    Date2016.01.09
    Read More
  8. 미 연준수장들, '완만한 금리인상'

    미 연준수장들, '완만한 금리인상'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를 구성하는 지역 연방준비은행의 수장들이 잇따라 앞으로의 금리인상 경로가 완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장은 8일(이하 현지시간) 열린 강연에서 ...
    Date2016.01.09
    Read More
  9.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지속적인 저금리 정책으로 주택 임대차시장에서 수급불균형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전세난은 이전보다 더욱 심화됐다. 전세물량이 귀해지고 보증금이 크게 오르면서 서울에서 전세를 구하지 못해 수도권으로 떠나...
    Date2016.01.09
    Read More
  10. 새누리, "국회선진화법 개정, 민주적 방향으로“

    새누리, "국회선진화법 개정, 민주적 방향으로“ 새누리당은 9일 국회선진화법 개정안 추진과 관련, "국회선진화법 개정에 대해서 국회후진화법 운운하는 건 더불어민주당의 정략적인 비판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문정림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논평을 통해 "...
    Date2016.01.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78 379 380 381 382 ... 963 Next
/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