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친박계간 오픈프라이머리 절충점 모색 중
이 경우 김 대표가 문 대표에게 어떤 협상 카드를 제시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문 대표가 원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와의 ‘빅딜론’이 제기된다. 하지만 이 방안은 친박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 계파 간 정면대결이 불가피하다. 한 친박계 의원은 20일 통화에서 “원칙적으로 안 된다”며 “비례대표는 기능별 전문가를 도입하는 제도”라고 잘라 말했다. 실무협상을 맡을 정개특위 여당 간사가 친박계인 이학재 의원으로 바뀐 것도 ‘빅딜’ 확률을 떨어뜨린다.
이 의원은 이날 “비례대표를 지역별로 나눠 하는 것은 우리나라 비례대표제도의 정신이 아니다”며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그러다보니 오픈프라이머리 대신 이 제도의 취지를 살릴 수 있을 정도의 대안이 채택될 것이라는 현실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 대표와 친박계 사이의 절충점을 찾아보자는 것이다. 후보선출제도에서 여론조사 비율을 70% 내외로 올리자는 구체적인 수치도 제시된다. 이와 맞물려 당원투표 비율은 30%대로 낮아진다. 하지만 여론조사의 공정성을 놓고 논란이 뒤따를 수 있다. 친박계 일각에서는 ‘5:5’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권맑은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