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희망마을만들기 사업 추진을 위해 특별교부세 30억원을 확보했다. 이후 지난 4월 사업 공고와 권역별 사업설명회를 실시하고 마을주민협의회 등 지역공동체에서 시·군·구를 통해 제안한 사업에 대해 시·도에서 1차 심사를 거친 42개 사업을 신청받았다.
이어 마을사업 전문가가 참여한 현장실사와 대학교수 등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최종심사 등 3단계의 선정과정을 거쳐 3일 21개 대상사업을 최종 확정했다.
올해는 주민주도형 희망마을 조성과 지역공동체 가치실현에 목표를 두고 주민의 적극적 참여의지, 창의성·지역특성 반영, 사업지원 조직 체계 마련, 마을종합발전계획과의 연계성 등을 중심으로 주요 심사기준으로 하여 지역사회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준비된 마을을 우선 선정했다.
행정자치부는 2010년부터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며, 동네어귀 작은 마을도서관, 저소득 청소년공부방 등 지역주민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 제공, 독거노인, 저소득 계층 등을 대상으로 근로능력배양 기술교육장, 희망밥상, 도시락배달, 반찬나눔 등 노인일자리 창출과 봉사활동 지원, 주민이 다함께 참여하는 마을공동일터, 지역 특산물을 체험·판매하는 로컬판매장 등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 조성, 주민이 모여 휴식할 수 있는 야외 쉼터마당, 체육시설, 야외 공연장 등 주거환경이 열악한 지역에 휴게·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등 주민편익 증진과 소득창출 공간을 제공하여 주민상호간의 소통과 화합의 기반을 다져 오고 있다.
특히, 한국정책학회에서 조사한 최근 자료에 의하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99개의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해 400여 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25만 명의 방문객이 다녀가 소외된 마을에서 사람이 찾아오는 마을로, 주민이 떠나는 마을에서 되돌아오는 마을로 변화되는 등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이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큰 디딤돌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렬 지방행정실장은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주민소통 및 공동체형성을 위한 공간과 인프라를 구축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은 ‘작지만 가치있는’ 국민행복 사업”이라며, “소외된 지역에서 주민들이 새로운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