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브렉시트 놓고 영국, 프랑스 정상회담

posted Jun 14,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브렉시트 놓고 영국, 프랑스 정상회담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13(현지시간) 파리를 방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가능한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협상이 빨리 개시되기를 바란다며 영국을 압박했고, 메이 총리는 이에 다음 주에 협상이 개시될 것이라고 응수했다. 두 정상은 이날 엘리제궁에서 저녁 식사를 함께 하며 브렉시트 협상과 관련한 입장을 집중적으로 조율했다. 마크롱은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브렉시트 문제와 관련해 "협상이 종료되지 않는 한 당연히 (EU) 문은 언제나 영국에 열려 있다"고 말했다. 영국이 입장을 바꾸면 EU 잔류도 가능하다는 뜻이다.


ksda.jpg

 

그러나 그는 이내 "영국의 EU 탈퇴는 영국 국민의 주권 행사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존중한다"며 브렉시트 협상이 가능한 빨리 시작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에 메이 총리는 "브렉시트 협상 일정은 그대로 진행돼 다음 주에 시작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영국은 EU와 협상 개시 시점을 놓고 논의를 벌여왔으나 이날 회담 직전까지도 날짜를 확정 짓지 못한 상태였다. 메이 총리는 이어 민주연합당(DUP)과의 소수정부 구성 협상이 생산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면서 "현시점에서 필요한 정부의 안정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국 정부는 회담 전부터 테러 공동대처 방안이 정상회담의 주 의제라고 강조했지만, 여론의 관심은 영국의 브렉시트 협상 개시를 앞두고 양측의 입장 조율에 집중됐다. AP통신은 이날 회담을 '브렉시트 여사'(Lady Brexit)'므슈 유럽'(Monsieur Europe)의 만남이라며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조기총선의 압승을 바탕으로 브렉시트 협상에서 정치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자 했던 메이 총리의 계획은 수포가 된 반면에, 마크롱 대통령은 총선 '완승' 고지를 코앞에 두며 국내외에서 정치적 입지를 다지고 있기 때문이다.

 

총선에서 과반의석을 잃은 데다 보수당 정부의 앞날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메이 총리는 협상 당사자인 마크롱 앞에서 궁색한 처지가 됐다. 이날도 메이 총리는 마크롱을 만나기 직전까지 민주연합당(DUP) 대표와 보수당 소수정부 출범을 위한 정치연합 구성을 위한 협상을 하다가 달려왔다. 메이 총리가 공동회견에서 자국의 정부구성 협상이 잘 되고 있다고 특별히 강조한 것은 브렉시트 협상 개시를 앞두고 프랑스를 비롯한 EU 지도부에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총선 이후 정치동력을 상당 부분 상실한 메이 총리와 달리 마크롱은 최근 총선 1차투표에서 자신이 1년여 전 창당한 여당 '레퓌블리크 앙마르슈'가 완승을 하면서 영국을 상대로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 있다. 유럽연합의 핵심국가인 프랑스의 정상으로서 마크롱은 브렉시트 협상이 개시되면 강력한 국내 정치의 동력을 바탕으로 다른 EU 회원국들과 함께 영국을 상대로 '양보 없는 일전'을 벌일 태세다. 양국 정상은 브렉시트 문제 외에도 이날 회담에서 인터넷상에 증오와 테러를 부추기는 콘텐츠를 즉각 삭제하도록 하는 방안 등 테러 예방책도 논의했다.

 

두 정상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들이 테러집단의 선전물에 제대로 대처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소셜미디어 규제를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SNS 기업들이 테러 관련 콘텐츠 등 유해한 내용을 네트워크에서 삭제하도록 독려하고, 테러 콘텐츠 등을 자동으로 식별해 지우는 수단의 개발에도 나서도록 정부가 장려하기로 했다. 두 정상은 정상회담 기자회견을 마치고 곧바로 파리 '스타드 드 프랑스' 경기장으로 이동해 잉글랜드 프랑스 대표팀의 축구 친선경기를 함께 관람했다. 경기 시작에 앞서 영국 맨체스터·런던 테러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묵념의 시간도 마련됐다.


스포츠닷컴 국제팀

 

 



  1. 영국 메이 수상, 참사 후 나흘의 행적…"제정신이 아니었다“

    영국 메이 수상, 참사 후 나흘의 행적…"제정신이 아니었다“ 지난 14일 새벽 런던 24층 공공 임대아파트 '그렌펠 타워' 화재 참사 이후 테리사 메이 수상을 향한 분노가 거세지는 가운데 부수상급인 데미안 그린 국무조정실장은 참사 이튿날 저녁 BBC방송과 인...
    Date2017.06.18
    Read More
  2. 서울시, 다문화가족 자녀 맞춤형 대입설명회 개최

    서울시, 다문화가족 자녀 맞춤형 대입설명회 개최 - 올해 첫 다문화가족 (예비)수험생을 위한 ‘대학진학 설명회’, 6월 10일 개최 - 고른기회전형, 이중언어 구사능력 활용한 다문화가족 자녀 맞춤형 진학정보 제공 - 언어장벽, 문화차이 등 다문화-일반가정의 ...
    Date2017.06.17
    Read More
  3. 브렉시트 놓고 영국, 프랑스 정상회담

    브렉시트 놓고 영국, 프랑스 정상회담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13일(현지시간) 파리를 방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가능한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협상이 빨리 개시되기를 바란다며 영국을 압박했고, ...
    Date2017.06.14
    Read More
  4. 트럼프, “'러시아 스캔들' 특검 해임의사 없다”

    트럼프, “'러시아 스캔들' 특검 해임의사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 스캔들' 특검을 해임할 의사가 없다고 백악관이 13일(현지시간) 확인했다. 미 의회전문지 더힐에 따르면 새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위스콘신 주에서 백악관...
    Date2017.06.14
    Read More
  5. 중부전선, 북한군 1명 귀순

    중부전선, 북한군 1명 귀순 경기도 최전방 지역 중부전선에서 13일 북한군 병사 1명이 우리 군으로 귀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오후 7시 50분께 중부전선에서 북한군 1명이 아군 GP(소초)로 귀순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군은 귀순자의 신병을 확보해 ...
    Date2017.06.13
    Read More
  6. 트럼프 '러 수사' 방해, “FBI에 개입하라” 압력

    트럼프 '러 수사' 방해, “FBI에 개입하라” 압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매우 적극적으로 미 연방수사국(FBI)의 '러시아 스캔들' 수사를 막으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미국 국가정보국(DNI)의 댄 코츠 국...
    Date2017.06.07
    Read More
  7. IS, "런던브리지 테러, 독자행동 아닌 조직작전" 거듭 주장

    IS, "런던브리지 테러, 독자행동 아닌 조직작전" 거듭 주장 수니파 극단주의조직 '이슬람국가'(IS)가 이달 5일 발생한 런던 브리지 테러가 추종자의 독자 행동이 아니라 조직의 작전수행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IS는 공식 선전매체 알바얀 라디오를 통해 런던브...
    Date2017.06.05
    Read More
  8. 북한, 대북 인도지원단체 방북 거부

    북한, 대북 인도지원단체 방북 거부 북한은 5일 유엔의 대북제재와 이에 대한 우리 정부 태도를 이유로 대북 인도지원단체의 방북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민간단체들이 추진해 온 남북 교류 재개가 시작부터 난관에 부닥치게 됐다. 대북지...
    Date2017.06.05
    Read More
  9. ‘2017 충남 다가족 다문화 어울림 대축제’ 개최

    ‘2017 충남 다가족 다문화 어울림 대축제’ 개최 충남도는 20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5월 가정의 달 및 제10주년 세계인의 날 기념 ‘2017 충남 다(多)가족 다(多)문화 어울림 대축제’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다문화 가족과 외국인 근로자 등 1200여 명이 참가한...
    Date2017.06.02
    Read More
  10. 미 정부, 대북 강력 독자제재 발표

    미 정부, 대북 강력 독자제재 발표 미국 정부는 1일(현지시간) 미사일과 핵 위협 도발을 멈추지 않는 북한에 대해 초강력 추가 독자제재에 나섰다. 미 재무부는 이날 북한의 개인 4명과 단체 10곳에 대한 독자제재를 전격으로 발표했다. 올해 들어 2번째인데 ...
    Date2017.06.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0 271 272 273 274 ... 574 Next
/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