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35세에서 40년 만에 10살 늙어…韓銀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 얼마 전까지도 '사오정(45세면 정년)'이란 말이 유행했다. 그런데 올해 근로자의 평균적인 나이가 '사오정' 바로 직전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빠르게 늙는 것이다.
정선영 한국은행 미시제도연구실 전문연구원은 2일 '인구구조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란 보고서에서 "2013년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44.0세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970년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34.7세에 불과했다. 직장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30대 청년층이 대다수였단 얘기다. 그러나 이 연령은 1980년 37.0세로 오르더니 1999년엔 40.1세로 40대를 돌파해 올해 44세까지 치달았다.
정 연구원은 "이는 가장 큰 인구집단인 베이비 붐 세대(1955~1963년생)가 고령화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득이 불충분한 노령세대가 취업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한 점, 이 기간 정년연장 등 제도적인 변화가 있었던 점 역시 이유로 꼽힌다.
실제로 노동시장의 주축은 이미 40세 이상의 중장년층으로 옮겨갔다. 40세 이하 계층이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 61%에서 2012년 45%로 낮아졌다. 반면에 40세 이상은 39%에서 55%로 확대됐다.
-
- <그래픽> 근로자 평균나이 변화
- (서울=연합뉴스) 장성구 기자 = 정선영 한국은행 미시제도연구실 전문연구원은 2일 '인구구조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란 보고서에서 "2013년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44.0세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sunggu@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그는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로 경제 상황이 좋아도 고용은 그만큼 늘지 않는 현상이 점차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50대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가 노후준비를 위해 취업시장에 잔류하면서 20~30대의 고용은 줄고, 청년층 고용이 경기와 동행하는 정도가 약해졌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저출산과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로 앞으로 고용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고용의 구성도 청년층보다 장년과 고령층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청년층 고용 확대를 통해 고용률을 올리고 고용 유연성도 개선해야 한다"며 "취약한 소득과 연금으로 고용시장에 편입되는 고령층에 대한 정책적인 고려도 시급하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10/02 14:36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