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현대경제연구원 ‘지난 10년간 한중일 국경간 M&A 특징과 시사점’

posted Jun 30,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현대경제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VIP REPORT’ 보고서를 발표했다.

최근 한중일 국경간 M&A 확대 지속

최근 세계 M&A 중 한중일의 국경간 M&A가 지속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Outbound 기준, 한중일 국경간 M&A 규모는 2005~2014년 10년간 연평균 약 16%씩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 국경간 M&A 중 비중도 동기간 2.4%에서 9.3%로 증가하는 등 지난 10년 동안 약 4배 증가하고 있다.

한중일 국경간 M&A의 특징

한중일 M&A 분석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제조업, 서비스업 등 전체 6개 업종에 대해 Outbound 기준으로 국경간 M&A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냈다.

첫째, 대규모 M&A 건수가 발생하는 등 대규모화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1건당 국경간 M&A 규모가 2005년 7,300만 달러에서 2014년 1억 6,000만 달러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2010년 이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대규모 M&A 건수는 2005~2014년 중국과 일본이 50억 달러 이상의 국경간 M&A 건수가 각각 5건, 13건으로 대규모 M&A가 발생하고 있으나, 한국은 10억 달러 이상의 국경간 M&A가 전체의 약 2%에 불과한 상태이다.

둘째, 미주 및 유럽 등 대 선진지역 M&A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05~’08년 아시아 중심에서 ‘10~’14년 북미 및 유렵 중심으로 국경간 M&A가 확대되고 있으며, 일본은 지난 10년간 북미를 중심으로 국경간 M&A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한편, 지역별 인수대상 산업군을 살펴보면, 한국은 유럽·북미 지역에 대해 제조업에서 에너지 부문으로 인수분야가 이동하였고, 중국과 일본은 전반적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인수합병을 진행하고 있다.

셋째, M&A 대상산업의 고도화도 이뤄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서비스업의 국경간 M&A 비중이 ‘05~’08년 각각 평균 33.5%, 42.6%에서 ‘10~’14년 평균 40.7%, 46.5%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동기준 최근 자원확보 및 기술경쟁력 강화로 에너지와 제조업이 각각 평균 31.4%, 11.7%에서 35.1%, 17.1%로 증가하였다.

넷째, 업종별로는 이종간 M&A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이종 산업의 국경간 M&A 비중이 ‘05~’08년 각각 평균 32.7%, 15.5%에서 ‘10~’14년 각각 평균 39.6%, 21.9%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도 동기준 평균 16.6%에서 평균 35.2%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제조업이 서비스업을, 중국과 일본은 서비스업이 제조업을 M&A 하는 등 이종교배가 확대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고기술 중심으로 M&A가 가속되고 있다. 하이테크 기술 분야 중 고기술과 중고기술 분야로 구분할 때, 한국과 일본은 전체 하이테크 분야의 국경간 M&A 중 고기술 분야 비중이 ’05~‘08년 평균 각각 17%, 74%에서 ’10~‘14년 평균 각각 63%, 81%로 증가하였다. 중국도 동기간 25%에서 30%로 소폭 증가하였다. 한편, 상위 5대 하이테크 산업별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전자 산업이 ’05~‘08년 평균 1.8%에서 ’10~‘14년 평균 약 27%로 급증하였고, 중국은 자동차 산업이 동기간 9.7%에서 20.5%로, 일본은 제약 부분이 평균 약 25%에서 43%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였다.

시사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본과 중국 기업의 M&A 유형이 빠르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만큼, 기회와 위협요인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첫째, 기술, 브랜드, 유통망, 경영 노하우 등을 통한 역량강화型 M&A 추진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와 민간의 통합 M&A 지원시스템 구축뿐 아니라 세제지원 및 불필요한 제도 개선책 마련도 필요하다. 셋째, 혁신형 융복합 산업, 신성장 산업 등 중장기적 산업고도화 전략에 맞게 M&A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분별한 M&A로 기업뿐 아니라 국가경제를 저해시키지 않도록 사전적 리스크 점검도 필요하다. 


  1. 정우택 국회정무위원장 초청간담회 -새누리당 중앙위 지도위원단 주최

    30일' 새누리당 중앙위원회 지도위원단' (총무:이옥승)은 여의도 외백중식당에서 '정우택 국회정무위원장 초청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지도위원단 6월 월례행사로 새누리당의 나아갈 길과 국정 운영에 관한 정우택 국회정무위원장과의 의견 수렴 및 ...
    Date2015.07.01
    Read More
  2. No Image

    현대경제연구원 ‘지난 10년간 한중일 국경간 M&A 특징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VIP REPORT’ 보고서를 발표했다. 최근 한중일 국경간 M&A 확대 지속 최근 세계 M&A 중 한중일의 국경간 M&A가 지속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Outbound 기준, 한중일 국경간 M&A 규모는 2005~2014년 10년...
    Date2015.06.30
    Read More
  3. 한국 농어촌공사 보성지사 윤리위원회 개최

    [이기장 기자/스포츠닷컴] 한국농어촌공사 보성지사(지사장 김영옥)는 6월 26일 윤리위원회를 개최하여 윤리후견인 및 피윤리후견인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공사 윤리경영 추진현황 및 최근 윤리경영에 대한 이슈를 전 임직원이 공유하여 공사 윤리경영 조...
    Date2015.06.30
    Read More
  4. No Image

    중기청, '5월 신설법인 6,673개로 전년 동월대비 3개월 연속 증가'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이 발표한 신설법인 세부 동향에 따르면 2015년 5월 신설법인은 전년동월대비 4.8%(308개) 증가한 6,673개로 전년동월대비 3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 신설법인(개): ('13.5) 6,488 → ('14.5) 6,365 → ('15.4) 8,315 → ('15.5) 6,673 *...
    Date2015.06.30
    Read More
  5. No Image

    전경련, ‘7월 기업경기동향조사’ 결과 발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 7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84.3으로 기준선 100을 하회했다. 지난 10년간 종합경기 전망 BSI 추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금번 결과는 글로벌금...
    Date2015.06.29
    Read More
  6. 두번 절도당한 집주인 끈질긴 추격에 도둑 덜미

    두번 절도당한 집주인 끈질긴 추격에 도둑 덜미 자신이 털었던 아파트을 다시 범행 대상으로 삼았던 절도범이 뿔난 집주인의 집요한 추적으로 결국 쇠고랑을 찼다. 청주 흥덕경찰서는 27일 상습적으로 아파트에 침입해 금품을 훔친 혐의(상습절도)로 안모(23)...
    Date2015.06.27
    Read More
  7. 울산 공장에 멧돼지 출몰…포획단에 사살

    울산 공장에 멧돼지 출몰…포획단에 사살 울산의 한 공장에 멧돼지가 나타나 포획단이 출동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27일 울산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전 7시쯤 울산시 북구 효문동에 있는 한 공장에 멧돼지 1마리가 나타났다. 신고를 받은 경찰과 소...
    Date2015.06.27
    Read More
  8. 세계의 경제학 트렌드

    세계의 경제학 트렌드 조선일보가 정말 독자들에게 유용하고 좋은 기획기사를 보도했다. 스포츠닷컴은 조선일보에 타사지만 찬사를 보내면서 이를 독자들에게 소개하기로 했다. 경제학자들은 왜 싸우는 것일까? 올 들어 세계 경제계의 거물이 경제정책을 놓고 ...
    Date2015.06.27
    Read More
  9. 부동산, 실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 변화

    부동산, 실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 변화 과거 부동산은 돈이 몰리는 시장이었다.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땅과 집값은 상승 일변도였고, 자금이 유입되면서 투기열풍까지 일었다. 부동산은 주식이나 채권 시장과는 다르게 사놓으면 최소한 손해는 안 본다는 생각...
    Date2015.06.27
    Read More
  10. 새정치민주연합, 유승민 비판-정의장에 국회법 개정재의 촉구

    새정치민주연합, 유승민 비판-정의장에 국회법 개정재의 촉구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연신 "죄송하다"고 사과한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강하게 비판하며,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국회법 개정안 재의를 촉...
    Date2015.06.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0 471 472 473 474 ... 963 Next
/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