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posted Jun 2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새누리당은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을 국회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다. 국회로 돌아온 국회법 개정안을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고 19대 국회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다 자동폐기하겠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이날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직후 의원총회를 열고 격론 끝에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dew.jpg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의총을 통해 국회로 돌아온 국회법에 대해 우리 당은 표결에 응하지 않기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여야 협상 책임자인 유 원내대표에 대해 일각에서 '사퇴론'도 제기 됐지만, 유임하는 뱡항으로 가닥을 잡았다. 유 원내대표는 "제 자신을 되돌아보고 당청 관계에 대한 걱정에 대해서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송구스럽게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며 "저나 당 대표, 최고위원들과 의논해 당청 관계를 복원하는 길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의원총회 마무리 발언에서도 "당정청 관계를 개선하겠다"며 "사퇴 요구는 더 잘하라는 채찍으로 알겠다"고 말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역시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유 원내대표에 대한 사퇴 요구도 몇 명이 있었지만 거의 절대 다수가 '봉합을 하고 잘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유 원내대표도 '그 뜻을 받아 고민하겠다'고 했다"며 "의원총회 얘기를 모아 최고위원회의에서 신중하게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가 주목을 받았지만, 김 대표의 말처럼 사퇴론을 제기한 이들은 김진태·김태흠·이장우 의원 등 소수의 친박(親박근혜)계 의원들에 그쳤다. 물밑에서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강하게 압박했던 윤상현 의원의 경우 정무특보를 맡고 있다는 이유로 이날 의원총회에선 발언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상당수 의원들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여야 협상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유 원내대표의 사퇴까지는 불을 지피지 않은 것이다. 다만 의원총회 발언자들은 박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격노하는 상황인 만큼 김 대표와 유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대통령을 달래는 데 힘을 기울일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새누리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자동폐기 수순을 밟게되면서 6월 임시국회 일정 등 여야 관계는 안개 속으로 빠져들게 됐다. 국회법 재의를 요구하던 야당의 반발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유 원내대표는 이에 대해 "야당과 관계는 야당과의 관계대로 풀어 나가겠다"며 "급한 것은 급한대로 추진하면서 야당을 설득하는 노력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스포츠닷컴 엄대진 기자]






  1. '박근혜 정부 성공과 새누리당 백년대계를 위한 특별 강연회' 개최

    26일 여의도 렉싱톤호텔에서 <새누리당 평당원모임>이 주최하는 ‘박근혜 정부 성공과 새누리당 백년대계를 위한 특별 강연회’가 개최됐다. 변성근 사회자의 진행으로 1부에서 박경동 화백이 서화부채를 현장에서 직접 작품을 하였고, 탈북자 가수 유현주의 공...
    Date2015.06.26
    Read More
  2.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새누리당은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을 국회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다. 국회로 돌아온 국회법 개정안을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고 19대 국회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
    Date2015.06.25
    Read More
  3. 대통령거부권, 새정치 강력반발

    대통령거부권, 새정치 강력반발 새정치민주연합은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재의요구 즉 거부권 행사에 국회일정 보이콧으로 맞선 데 이어 새누리당이 국회법을 재의하지 않고 사실상 폐기하기로 가닥을 잡은 데 강력 반발했다. 여야 관계 경색이 불가피할...
    Date2015.06.25
    Read More
  4. 정부 하반기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

    정부 하반기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 25일 정부가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가장 눈에 띄는 내용은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이다.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해외 주식 투자전용펀드가 내년부터 도입되고, 폭 넓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개인종합...
    Date2015.06.25
    Read More
  5. '메르스 격리해제‘ 3곳과 남은 후보 병원

    '메르스 격리해제‘ 3곳과 남은 후보 병원 1차 평택성모병원, 2차 삼성서울병원에 이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3차 유행의 진원지 후보로 꼽히던 병원들이 속속 무사히 격리기간을 넘겼다. 그러나 격리해제 의료기관이 나오기가 무섭게 또 다른 의료기관이 ...
    Date2015.06.25
    Read More
  6. 경찰,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3명 집회중 연행

    경찰,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3명 집회중 연행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중 일부가 시국 기도회 중 경찰에 연행됐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신고된 장소에서 벗어나 집회·시위가 금지된 미국 대사관 정문 앞에서 유인물을 뿌리고 도로를 막은 혐의(집회 ...
    Date2015.06.25
    Read More
  7. 대법원, 국·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대법원, 국·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국·공립대학들이 기성회비를 징수해온 것은 적절한 조치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옴에 따라 각급 법원에 제기된 기성회비 반환 청구 소송에서도 무더기 원고 패소 판결이 예상된다. 교육부와 국·공립대측은 추가 소송제...
    Date2015.06.25
    Read More
  8. 메르스 방역망 밖 환자 속출, '확산 vs 진정' 갈림길

    메르스 방역망 밖 환자 속출, '확산 vs 진정' 갈림길 방역당국의 방역망 바깥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때 메르스 사태가 진정세에 돌입했다고 판단하던 당국이 판단을 유보하고 지역사회 확산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
    Date2015.06.24
    Read More
  9. 지방공기업 부채 ,SH공사 가장 많이 줄어

    지방공기업 부채 ,SH공사 가장 많이 줄어 전국 지방공기업의 부채규모가 12년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행정자치부는 총 398개 지방공기업의 2014년 결산 결과 부채규모가 2013년보다 3188억원 줄어든 73조6478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2002년 이후 ...
    Date2015.06.24
    Read More
  10. 문형표, "초기판단 잘못,,,대통령 지시로 병원명 공개

     문형표, "초기판단 잘못... 대통령 지시로 병원명 공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24일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초기에 정부가 병원명을 공개하지 않은 것에 대해 "메르스 전파력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해 병원 비공개 방침을 정했다"고 밝...
    Date2015.06.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1 472 473 474 475 ... 963 Next
/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