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대법원, 국·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posted Jun 2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법원, ·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공립대학들이 기성회비를 징수해온 것은 적절한 조치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옴에 따라 각급 법원에 제기된 기성회비 반환 청구 소송에서도 무더기 원고 패소 판결이 예상된다. 교육부와 국·공립대측은 추가 소송제기 등으로 인한 혼란과 부담을 덜게 됐다며 판결을 환영했다. 그러나 이번 판결로 인해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는 것이 국·공립대의 반응이다. 기존 국·공립대의 기성회비는 이미 정부가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관련 법률을 제정, 명목을 바꿔 수업료로 통합돼 징수되고 있기 때문이다.

 

qwe.jpg

 

기성회비는 1963년 각 대학에 설립된 기성회가 자발적 후원금 형태로 걷어온 재원이다. 부족한 교육시설과 운영경비 지원을 위한 자율적 회비라는 취지와 달리 사실상 등록금 형태로 강제 징수돼왔다. 사립대는 이미 1999년 기성회비 명목을 폐지했지만, ·공립대는 수업료와 기성회비를 묶어 등록금으로 징수해왔다. 2013년 기준 국립대들의 기성회비 수입은 13423억원으로 전체 국립대 예산 총액(78200억원)17%에 달했다. 작년엔 국립대 학생 1인당 평균등록금 399만원 중 82%327만원이 기성회비였다. ·공립대 학생들은 지난 2010년부터 국가와 대학의 기성회를 상대로 기성회비의 법적 근거가 없다며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잇달아 제기했다. 201311월에는 기성회비 징수가 부당하다는 항소심 판결이 나왔지만, 이날 대법원은 항소심을 뒤집고 기성회비 징수가 적절한 조치라며 반환할 필요도 없다고 판시했다.

 

정부는 1·2심에서 기성회비의 법적 근거가 없다는 판결이 잇따라 나오자 지난 3월 국립대 회계재정법을 제정, 논란의 소지를 없애버렸다. 기존 기성회비에 해당하는 등록금을 '대학회계'라는 명목으로 걷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국립대 회계제정법이 제정되면서 국·공립대들은 올해 1학기부터 기성회비를 폐지하고 수업료로 등록금을 징수하고 있다. 국공립대들은 나아가 학교별로 기성회 해체 절차를 밟고 있다. 대학들은 잔여 재산 정리와 시설공사 계약 마무리, 계류 중인 소송 절차 등이 마무리되는 대로 기성회를 없애고 소속 직원들은 퇴직 후 대학회계 직원으로 신규채용할 방침이다. ·공립대 기성회 직원은 모두 5500여명이다.

 

교육부는 1·2심에서 잇따라 기성회비 징수의 법적 근거가 없다는 판결이 나오자 "기성회 회계는 민간단체인 기성회 이사회의 의결로 이뤄져 왔으므로 반환 책임 역시 기성회에 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러면서 이번 대법원 판결에서 패소할 가능성에 대비해왔다. 교육부 관계자는 "당초 승소 가능성을 크게 봤지만, 반대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대비해왔다"며 기성회비가 적법하다는 최종 판단이 나와 다행스럽다고 말했다. 이번 대법원 판결로 국·공립대학들의 기성회는 반환 책임을 완전히 면하게 됐다.

 

한 국립대 관계자도 "기성회비 반환 소송 대응에 따른 현장의 혼란과 갈등을 덜 수 있게 됐다"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기성회비 반환에 찬성해온 일부 단체는 판결 결과에 불만을 나타냈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예상하지 못한 판결"이라며 "대법원 판결이 국립대 회계재정법 시행 뒤로 차일피일 미뤄진 것을 보면 대법원이 법리적 판단보다는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하는데 치중해 정치적인 판단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이번 대법원 판결에 따라 하급심에 계류 중인 반환 소송들에도 무더기 원고패소 판결이 예상된다.

 

최혜빈 기자

 

 



  1. '박근혜 정부 성공과 새누리당 백년대계를 위한 특별 강연회' 개최

    26일 여의도 렉싱톤호텔에서 <새누리당 평당원모임>이 주최하는 ‘박근혜 정부 성공과 새누리당 백년대계를 위한 특별 강연회’가 개최됐다. 변성근 사회자의 진행으로 1부에서 박경동 화백이 서화부채를 현장에서 직접 작품을 하였고, 탈북자 가수 유현주의 공...
    Date2015.06.26
    Read More
  2.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새누리당은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을 국회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다. 국회로 돌아온 국회법 개정안을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고 19대 국회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
    Date2015.06.25
    Read More
  3. 대통령거부권, 새정치 강력반발

    대통령거부권, 새정치 강력반발 새정치민주연합은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재의요구 즉 거부권 행사에 국회일정 보이콧으로 맞선 데 이어 새누리당이 국회법을 재의하지 않고 사실상 폐기하기로 가닥을 잡은 데 강력 반발했다. 여야 관계 경색이 불가피할...
    Date2015.06.25
    Read More
  4. 정부 하반기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

    정부 하반기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 25일 정부가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가장 눈에 띄는 내용은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이다.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해외 주식 투자전용펀드가 내년부터 도입되고, 폭 넓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개인종합...
    Date2015.06.25
    Read More
  5. '메르스 격리해제‘ 3곳과 남은 후보 병원

    '메르스 격리해제‘ 3곳과 남은 후보 병원 1차 평택성모병원, 2차 삼성서울병원에 이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3차 유행의 진원지 후보로 꼽히던 병원들이 속속 무사히 격리기간을 넘겼다. 그러나 격리해제 의료기관이 나오기가 무섭게 또 다른 의료기관이 ...
    Date2015.06.25
    Read More
  6. 경찰,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3명 집회중 연행

    경찰,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3명 집회중 연행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중 일부가 시국 기도회 중 경찰에 연행됐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신고된 장소에서 벗어나 집회·시위가 금지된 미국 대사관 정문 앞에서 유인물을 뿌리고 도로를 막은 혐의(집회 ...
    Date2015.06.25
    Read More
  7. 대법원, 국·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대법원, 국·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국·공립대학들이 기성회비를 징수해온 것은 적절한 조치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옴에 따라 각급 법원에 제기된 기성회비 반환 청구 소송에서도 무더기 원고 패소 판결이 예상된다. 교육부와 국·공립대측은 추가 소송제...
    Date2015.06.25
    Read More
  8. 메르스 방역망 밖 환자 속출, '확산 vs 진정' 갈림길

    메르스 방역망 밖 환자 속출, '확산 vs 진정' 갈림길 방역당국의 방역망 바깥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때 메르스 사태가 진정세에 돌입했다고 판단하던 당국이 판단을 유보하고 지역사회 확산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
    Date2015.06.24
    Read More
  9. 지방공기업 부채 ,SH공사 가장 많이 줄어

    지방공기업 부채 ,SH공사 가장 많이 줄어 전국 지방공기업의 부채규모가 12년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행정자치부는 총 398개 지방공기업의 2014년 결산 결과 부채규모가 2013년보다 3188억원 줄어든 73조6478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2002년 이후 ...
    Date2015.06.24
    Read More
  10. 문형표, "초기판단 잘못,,,대통령 지시로 병원명 공개

     문형표, "초기판단 잘못... 대통령 지시로 병원명 공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24일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초기에 정부가 병원명을 공개하지 않은 것에 대해 "메르스 전파력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해 병원 비공개 방침을 정했다"고 밝...
    Date2015.06.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1 472 473 474 475 ... 963 Next
/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