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시궁창 냄새 좌파 백낙청, 역사의 뒤안길로

posted Nov 2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궁창 냄새 좌파 백낙청, 역사의 뒤안길로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가 자신이 50년간 이끌었던 출판사 창비를 떠난다. 거의 사적이지만 50년 동안 독제체제였다. 계간지 '창작과 비평'의 편집인인 백 교수는 사실상 창비의 대표 인물로 불린다. 창비는 오는 25일 열리는 통합시상식에서 백 교수가 폐회 인사를 통해 편집인 퇴임을 발표한다고 23일 밝혔지만 국내외를 불문하고 정상적인 문단에서 있을 수 없는 사실상 신경숙 표절문제로 불명예 퇴진하는 자리다. 백 교수는 이 자리에서 짧은 연설을 통해 그동안의 소회를 밝힐 예정이다.


hwgs.jpg

 

창비 관계자는 "내년 창비 50주년을 맞아 오래전부터 백 편집인의 퇴임을 계획하고 있었다""따로 식을 마련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창비는 내년 초 50주년 맞아 백 교수의 뒤를 잇는 새로운 편집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미 창비의 명성은 사라져버렸다. 백 교수의 주도로 19661월 계간 문예지 '창작과 비평'이 창간되면서 창비의 역사는 시작된다. 1974년부터 본격적인 단행본 출판 시대에 들어간 창비는 이후 문학과 인문·교양서적은 물론 청소년·아동문학 분야에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출판사로 성장했다.

 

그러나 백 교수는 지난 8월 표절로 논란을 일으킨 소설가 신경숙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면서 여론에서 거센 비난을 받았다. 그는 "신경숙 단편의 문제된 대목이 표절 혐의를 받을 만한 유사성을 지닌다는 점을 확인하면서도 이것이 의도적인 베껴쓰기, 곧 작가의 파렴치한 범죄행위로 단정하는 데는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후 창비는 문학동네, 문학과지성사와 함께 '3대 문화권력'이라고 불리며 백낙청 체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단계로 이행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한 문예비평 전문가는  이에대해 신경숙 표절문제도 문제지만 사실상 우리 인문학계는 너무 공부를 안한다. 다 낡아빠진 마르크스가 언제적 이야기인가? 미주나 서구유럽의 인문학에서 마르크스는 학부생들이 잠시 거쳐가는 거리 팜플릿 이야기거리일 뿐이다. 그런 것들 수입인문학으로 무지하여 60,70,80년대에 신주 모시듯 짜깁기 조악번역으로 점철된 열악한 좌파학계다. 해외에서 지금 정치, , 경제, 사회, 문화예술, 기타 인문 사상들 조명이 얼마나 활발한데, 자유주의 사상들 정책들의 깊이있는 조명이 얼마나 활발한데 피상적인 포스트모더니즘이나 베끼고 그러니 머리들이 좌익으로 썩고 굳을 수 밖에 더 있나?

 

20-30년이 뭐냐? 아직도 우리 인문학계는 30-40년된 강의노트로 강의하는 철밥통 교수들 천지다. 우리 인문학계는 중세시대 수도원이다. 창비의 몰락과 신경숙사태는 그런 썩은 문화좌파 고집불통 쑥부쟁이 문학빙자 수도승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일 뿐이다. 지금이 어떤 시대인가? 자유로운 인터넷 시대에 우리도 점점 작가가 번역원에다 맡기지 않고 자기작품을 직접 영,,독어를 마음대로 구사하는 실력있는 신진 작가들이 하나 둘 생겨나고 있다. 고무적인 일이다. 사실 작가, 시인이 무엇인가? 진짜는 언어의 달인들이어야 한다. 작곡가가 피아노나 바이올린을 다루지 못한다? 말이 되는가? 언어는 시인,작가의 표현수단이다. 표절? 그게 무슨 작가인가? 썩은 고목과 냄새나는 은행낙엽은 이제 사라질 때가 되었고 점점 설자리가 없어져야 한다.“ 이렇게 말했다.


권맑은샘 기자

 



  1. 제3차대전 발발 할 것인가? 아닌가? 국제정세 심각하다

    제3차대전 발발 할 것인가? 아닌가? 국제정세 심각하다 미국의 대표적 방송언론 CNN이 터키의 러시아 전투기 격추로 인한 제3차 세계대전 발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미CNN이 권위와 신뢰는 있지만 동시에 시청률이 중요한 선정성도 있어 진정 자극...
    Date2015.11.26
    Read More
  2. 역시 크고 화끈한 인물 전두환 전대통령, 김영삼 빈소 전격조문

    역시 크고 화끈한 인물 전두환 전대통령, 김영삼 빈소 전격조문 조문을 할까 말까? 기자들의 설왕설래속에 전두환 전 대통령이 25일 4시즈음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빈소를 25일 전격 조문했다. 전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 59분께 김 전 대통령의 빈소...
    Date2015.11.25
    Read More
  3. 박대통령, 불법폭력 시위, 민생법안 처리지연 국회 질타

    박대통령, 불법폭력 시위, 민생법안 처리지연 국회 질타 해외순방 강행군을 마친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예정에 없던 긴급 국무회의를 소집하고 불법 폭력사태와 민생법안 지연 등 양대 블랙홀에 빠진 정국에 거침없는 발언을 쏟았다. 박 대통령은 한 달가량 남...
    Date2015.11.25
    Read More
  4. 방사청, KFX사업 21개 기술항목 거짓말 드러나

    방사청, KFX사업 21개 기술항목 거짓말 드러나 방위사업청이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에 필요한 21개 기술항목에 대해 미국 정부가 이달 중 수출 허가를 내줄 것이라고 했던 호언장담이 거짓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으로부터 KFX 개발에 필요한 4개 핵심 ...
    Date2015.11.25
    Read More
  5. 세월호특조위, 박대통령을 “능지처참 해야”?

    세월호특조위, 박대통령을 “능지처참 해야”?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일각의 초법적 방종이 극에 달하고 있다. 한마디로 아무리 그렇지만 제정신으로 한 말일까? 싶을 정도다. 특조위는 세월호 사고 당일 대통령의 행적 7시간에 대하여 조사하겠다는 등 이미 밝...
    Date2015.11.25
    Read More
  6. 조계사 승려들, 김진태 의원에게 '한상균 검거발언' 항의 방문

    조계사 승려들, 김진태 의원에게 '한상균 검거발언' 항의 방문 불교는 타 종교에 비해 금욕을 추구하고 사부대중을 위하며 해탈을 추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조계사가 사회질서에 연무를 뿌리면서 불교에 대한 세인들의 인식이 바뀌고 있는 분위기...
    Date2015.11.25
    Read More
  7. 김영삼 前 대통령 국가장 장례위원 2222명

    김영삼 前 대통령 국가장 장례위원 2222명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국가장을 주관할 장례위원회가 모두 2222명으로 구성됐다. 장례위원에는 YS의 상도동계와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동교동계가 모두 포함돼 ‘통합’을 강조한 고인의 뜻을 기렸다. 이날 빈소에...
    Date2015.11.25
    Read More
  8. 자승자박 폭력민노총, 경찰 2차민중총궐기 집회 불허 검토

    자승자박 폭력민노총, 경찰 2차민중총궐기 집회 불허 검토 한상균, 도법스님에게 중재요청 했지만 한상균(53) 민주노총 위원장이 다음 달 5일로 예정된 ‘2차 민중총궐기대회’가 평화적으로 진행되도록 중재해 달라고 조계종에 요청했다. 정부와의 대화도 중재...
    Date2015.11.24
    Read More
  9. “통합,화합”의 메시지를 남기고 가는 ‘巨山’

    “통합,화합”의 메시지를 남기고 가는 ‘巨山’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가장 이틀째인 23일에도 상도동계 인사들은 빈소를 찾아 상주 역할을 자임하며 이틀째 그의 곁을 지키고 있다. 한때 한국 정치의 중심에 있던 인물들의 조문 행렬이 끊이지 않는다. 고인과 애...
    Date2015.11.24
    Read More
  10. 시궁창 냄새 좌파 백낙청, 역사의 뒤안길로

    시궁창 냄새 좌파 백낙청, 역사의 뒤안길로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가 자신이 50년간 이끌었던 출판사 창비를 떠난다. 거의 사적이지만 50년 동안 독제체제였다. 계간지 '창작과 비평'의 편집인인 백 교수는 사실상 창비의 대표 인물로 불린다. 창비는 오는 25...
    Date2015.11.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4 305 306 307 308 ... 553 Next
/ 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