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근로자 시간당 임금 수준 1만원으로 개선
<그림> 2016년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사업 현황 분석 결과 발표 |
정부지원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양적 성장은 물론, 업종 다양화, 임금 수준 상승 등 질적으로도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4년 간(2013∼2016년)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기업은 16배(2013년 319개 → 2016년 5천193개), 지원 인원은 10배(2013년 1천295명 → 2016년 1만3천74명), 지원금액은 15배(2013년 34억 원 → 2016년 510억 원) 증가했다.
특히, 최근 1년 사이 전환형 시간선택제 도입 기업과 임신·육아·자기계발 등을 위해 전일제에서 시간선택제로 근로시간을 줄여 일하는 전환근로자가 크게 늘었다.
시간선택제 전환 지원기업과 인원이 2015년 대비 각각 3배(242 → 746개), 4.5배(556 → 2천530명) 증가했다.
또한, 지원근로자의 임금 수준도 꾸준히 상승해 일자리의 질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채용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이 2013년 7천753원에서 2016년에는 9천986원(최저임금 6천30원 대비 166%)으로 높아져 1만 원에 근접했다.
월평균 임금은 2013년 99만6천 원에서 2016년 144만6천 원으로 4년 동안 45만 원(45.2%) 상승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2016년 기준) 지원기업을 살펴보면,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지원 가능한 19개 업종 중 18개 업종에 지원되어 시간선택제가 다양한 업종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해 근로자의 근무 만족도는 물론, 기업의 성과가 향상되었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원근로자(2016년 기준)를 보면, 여성이 대부분(72.7%)을 차지했고, 30대(38.1%, 특히 전환근로자는 49.3%)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선택제가 육아기 여성의 재취업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 등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아울러, 전환근로자의 시간선택제 전환사유를 보면, 임신(31.4%)·육아(29.8%) 외에도 자기계발(19.0%), 건강(12.4%), 가족돌봄(4.9%), 퇴직준비(1.7%) 등 다양한 사유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임신' 사유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법정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확대 시행(2014.9.25. 도입, 2016.3.25.부터 300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되고, 지난해 9월부터 민관 합동으로 제도 확산 방안을 마련해 추진한 영향으로 보인다.
고용부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시간선택제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도 효율적 인력운영, 우수인력 이직 방지 등을 통해 서비스 품질이나 경영성과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존전략의 하나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시간선택제와 유연근무제 등 시간과 장소를 유연하게 조절해 일할 수 있는 '선진국형의 일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임신기 단축근무'와 '정시퇴근 등 근무혁신 10대 제안' 실천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