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과 하루 평균 30분 미만 대화, 일주일 평균 3회정도 식사해
- 스마트폰이 가족과의 소통 가장 방해, 애정표현은 거의 하지 않아

신문, 인터넷, 모바일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이사 최인녕, job.findall.co.kr)이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남, 녀 직장인 5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9.2%가 가족과 식사를 하거나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예전에 비해 줄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가족과 함께하는 식사나 대화에 얼마만큼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을까?
하루 평균 가족과 나누는 대화시간은 ‘10분~30분 미만’이라는 답변이 43.6%로 가장 많았고 ‘30분~1시간’(23.9%), ‘10분 미만’(43.6%) 등의 순이었다. ‘대화를 전혀 나누지 않는다’고 답한 직장인도 3.4%에 달했다.
일주일에 몇 번 이상 가족과 식사를 하냐는 질문에는 44.4%가 ‘1~3회’, 25.6%가 ‘4~6회’라고 답했으며 ‘거의 못한다’고 답한 이도 13.7%로 적지 않았다.
가족과 나누는 대화 주제는 ‘가벼운 일상대화’(59%)가 가장 많았고 ‘가족과 관련된 대화’(21.7%), ‘직장생활에 대한 대화’(7.7%), ‘그날의 뉴스나 이슈에 대한 대화’(6%). ‘주변 친구, 친지와 관련된 대화’(3.4%), ‘고민상담’(2.6)이 그 뒤를 이었다.
가족과 대화를 하지 않거나 대화하는 시간이 길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35%가 ‘스마트폰 사용’을 꼽으며 스마트폰이 가족간의 대화를 방해하고 소통의 기회를 저해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 밖에 ‘야근 및 회식, 약속 등으로 늦은 귀가를 하다 보니’(31.6%), ‘의무성이 없어 굳이 하려고 노력하지 않아서’(15.4%), ‘혼자 살고 있어서’(14.5%), ‘말이 통하지 않아서’(3.4%)의 순으로 응답했다.
얼굴을 맞대고 하는 대화 외에 주로 사용하는 대화 수단으로는 ‘전화’(64.1%)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모바일 메신저, 문자’(32.5%)라고 답했다. 반면 장문의 진솔한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손편지’, ‘이메일’은 각각 1.7%에 불과했다.
한편, 가족에게 평소 ‘사랑한다’, ‘고맙다’ 등의 애정표현을 얼마나 자주 하냐는 질문에는 44.4%가 ‘거의 하지 않는다’고 답해 씁쓸함을 자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