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총리, 임나일본부설 비판, 정부, 日정부 역사도발에 유감
이완구 국무총리, 임나일본부설 비판
이완구 국무총리는 9일 일본의 한일고대사 왜곡 사례인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설 주장 등과 관련,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을 해선 안된다"며 "엄연한 진실을 덮을 순 없고 언젠가는 준엄한 역사의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티타임을 갖고 "일본의 역사 왜곡 문제는 앞으로의 한일 관계나 미래 세대를 위해 냉정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입각해 진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 야마토(大和) 정권이 4∼6세기 임나일본부라는 기관을 설치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주장으로, 최근 일본의 다수 학자 사이에서도 근거가 없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일본 문화청 홈페이지의 한국 문화재 일부 설명에 '임나'라는 표기를 쓰고 있고, 최근 문부과학성 검정을 통과한 중학교 역사교과서들도 임나일본부 내용을 다룬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이 총리는 "고대에 한반도 남쪽에 임나일본부를 설치해 신라와 백제가 마치 일본의 식민상태에 있었다는 (일본 교과서 내용의) 보도를 봤다"며 "충남의 공주와 부여는 백제의 왕도였고, 총리 이전에 대한민국 국민 한 사람으로서, 또 충남지사를 지낸 사람으로서 한일 고대사 관계를 명쾌히 해야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일본 말로 '구다라나이'는 '별 것 아니다'란 의미인데, 어원을 보면 백제 물건이 아니어서 별 게 아니란 의미"라며 "고대 한일 관계에서 백제는 큰 나라였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 문제에 대해 총리로서 냉정하게 팩트에 입각해서 말하지만, 교육부에 이 부분에 대한 연구 활동을 강화해달라, 사실 규명에 대한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할 계획"이라며 "한일 고대사에 대한 정부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또 일본의 거듭된 역사왜곡 시도와 관련, "지록위마(指鹿爲馬.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함)라는 말을 쓰고 싶다"며 "아시아의 평화와 새로운 평화질서에 중요하기 때문에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을 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660년 백제가 멸망했을 때 수십만 명이 일본으로 건너갔다"며 "당시로서는 엄청난 인구로, 백제 지도층은 전부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에다 후나야마(江田船山)라는 지역에 있는 묘에서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혁대와 비슷하면서 조금 작은 혁대가 나왔다"며 "2010년 3월 한일 역사 공동연구위원회가 사실이 아닌 '임나일본부'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정부, 日정부 역사도발에 유감,"시정요구"
한편, 정부가 9일 일본 정부의 잇따른 역사 도발에 유감을 표명하면서 시정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외교부 노광일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2011년 중학교 검정결과 발표 시 유사한 왜곡 기술에 대한 우리 측의 강력한 시정요구에도 불구하고 이번 검정 통과본에 (같은 내용이)여전히 실린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다만 "일본 교과서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 있다고 외교부가 자체적으로 판단해야 할 사항은 아니다"라며 "관련기관, 특히 역사학자들의 학술적인 분석을 다시 한번 받고 그것에 근거해 구체적으로 제기해야 될 사항"이라고 외교부 차원의 교과서 문제 대응에는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노 대변인은 일본정부의 임나일본부설 주장에는 "임나일본부설은 근거가 없다는 것이 이미 일본 학계에서도 통설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향후 관계기관의 구체적인 분석을 거쳐 일본 측의 문제를 재차 제기하고 관련기술의 시정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대응 방침을 밝혔다. 그는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엄중한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북한 핵 문제나 북한문제 등 안보와 관련된 문제, 경제문화, 인적교류 등 상호 호혜적인 분야에선 협력을 추진해 나간다는 입장을 정부는 견지해 오고 있다"고 정부의 입장을 소개했다.
권맑은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