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국민경선 도입 결론 아직 논의중
새누리당은 9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차기 총선과 대선에 개방형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는 내용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은 비공개회의에서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도입을 거부한다면 새누리당만이라도 국민경선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지도부 사이에서는 야당이 동시 실시를 거부할 경우 이를 단독 도입하기에는 여러 가지 우려가 많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
한 참석자는 "우리 당이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주도해야 한다는 건 맞지만 야당이 반대한다면, 우리도 못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했다. 다만, 지도부는 야당이 국민경선 도입을 거부하더라도 최대한 야당을 설득하고 협상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데에는 대체로 동의했다고 김영우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야당과 협의가 안 되면 우리가 추구하는 혁신을 어떻게 마무리할지 '플랜 B'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는 회의에서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고 해도 큰 틀에서 방향이 맞기 때문에 어떻게 현실화시킬 것이냐는 점을 고민하자"면서 "어려움이 있다고 해서 중도에 포기하거나 안 하는 쪽으로 가선 안 된다"고 말했다고 김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표는 또 "공천권을 국민에 돌려준다는 약속은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켜져야 한다"면서 "야당도 전당대회에서 줄곧 주장해왔고 야당 원혜영 혁신위원장도 그런 의견을 표명해왔기 때문에 여야가 공동 노력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대외협력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서 당대표 출마시 오픈프라이머리를 약속한 것을 거론하며 "그 약속을 지켜야 한다. 두고 보시라"면서 굳은 의지를 보였다. 김 대표는 "저는 지역구는 물론, 비례대표도 제 사람을 안 심는다"면서 "비례대표도 밀실에서 공천하지 않겠다. 비례대표는 전문성과 단체 대표성 등을 뽑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감정 해결을 위해 당 보수혁신위에서 내놓은 안이 석패율제다. 취약지구의 지역구 출마자들을 복수의 비례대표 군으로 두려 한다"면서 석패율제 도입에 대한 강력한 의지도 피력했다.
김 대표는 "새정치연합의 사정에 관계없이 관철 노력을 해야 한다"면서 여당 단독의 국민경선제 도입 가능성도 열어놨다. 이날 당 회의에서는 보수혁신위가 내놓은 지역구 공천자 가운데 여성 비율 30% 안과 관련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부정적 의견이 제기됐고, 김 대표는 이에 대해 "고민해야 할 부분이지 비판해야 할 문제가 아니다"고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권맑은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