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보안 기술을 선점하기 위하여 경쟁적으로 출원
IT 기업인 구글은 현재 가장 완성도 있는 네트워크 자동차인 ‘구글카’를 개발하여 무인 시험 주행을 하고 있고, GM, 볼보, 벤츠,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도 전자 센서 및 통신 기술을 활용한 무인 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래부는 2017년 네트워크가 결합된 무인자동차가 상용화되기 시작하고, 2035년에는 전체 차량의 75%에 해당하는 1억대가 무인 자동차로 대체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자동차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해커로부터 자동차의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해커가 네트워크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망 등을 조작하여 자동차가 전속력으로 역주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무인자동차를 해킹하여 테러나 암살과 같은 범죄행위에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자동차 시장이 커질수록 보안사고로 인한 피해액 또한 증가할 것이며, 무엇보다 네트워크 자동차의 보안사고는 사람의 생명이 직결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그 위험 성이 심각하다.
최근 상용화가 예상되는 무인 자동차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네트워크 보안에 관련된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김영민)에 따르면, 자동차 네트워크 보안 관련 특허출원은 2010년 62건에서 지난해 125건으로 최근 3년새 2배 이상 급증하였다.
특허출원을 분석해보면,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이 30%, 통신 기술 관련 기업이 40%, 그리고 연구소, 대학 및 개인이 30% 내외의 출원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통적 자동차 기업보다 전자·통신 관련 기업들이 자동차 보안에 관한 특허를 많이 출원함을 알 수 있고, 자동차에서 네트워크의 비중이 증대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은 향후 더욱 두드러질 것이다. 한편, 연구소, 대학 및 개인은 기업들의 기술 진입 장벽이 생기기 전에 네트워크 자동차의 보안 기술을 선점하기 위하여 경쟁적으로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출원된 주요 기술을 보면, 자동차의 저장장치에 기록된 정보의 불법노출을 방지하는 기술 등이 출원되고 있고, 최근에는 자동차 외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인증하여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는 기술, 자동차의 원격 칩입에 성공한 해커로부터 자동차의 원격 제어를 방지하는 기술도 출원됐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면 운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원격제어에 의한 사고나 범죄를 예방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송대종 통신네트워크심사팀장은 “네트워크 자동차 시장이라는 새로운 경제공간이 창출되기 위해서는 해킹에 대한 보안문제 해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자동차에 가장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개발경쟁이 자동차와 통신업계에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쟁력 있는 강한 특허창출 전략이 그 어느때보다 절실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