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posted Jan 29,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를 확대하겠다고 나선 것은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는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일을 잘 해야 한다'는 동기를 부여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차에 따라 자동으로 급여가 인상되는 연공서열제에서는 근무 분위기가 이완되기 쉽고 우수 인재를 육성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정부는 성과연봉제 확대가 4대 부문 개혁 중 하나인 공공부문 개혁의 핵심 과제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데 이어 올해는 간부가 아닌 일반직원들에게까지 성과연봉제를 확대해 공공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28일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공공기관 운영위원회를 열어 간부직 직원에게만 적용되던 공공기관 성과 연봉제를 일반 직원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권고안을 의결했다. 201062급 이상 간부직 직원에게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지 56개월 만에 최하위 직급을 제외한 4급 이상 직원까지 성과연봉제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성과연봉제를 적용받는 공공기관 직원은 전체의 7%에서 70%까지 늘어난다. 기재부는 약 12만명이 성과연봉제를 적용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본연봉 차등폭도 커졌다.


kojy.jpg

 

현행 성과연봉제에서는 최고·최저 성과자간의 기본연봉 인상률 차이가 2%포인트(±1%포인트)였지만 권고안에서는 기관별로 노조 협의에 따라 13급 직원에 대해 인상률을 평균 3%포인트(±1.5%포인트)로 늘렸다. 최고·최저 성과자간 성과연봉 차등은 최대 2배로 하기로 했다. 공공기관의 연봉은 기본연봉과 성과연봉으로 나뉘는데 공기업의 경우 성과연봉은 전체 연봉의 30% 정도다. 예컨대 성과연봉제가 새롭게 도입되는 공기업 3급 직원의 경우 현재 연봉제도 하에선 기본연봉 6천만원에 성과연봉으로 전체 연봉의 30%2571만원을 받아 총연봉이 8571만원이 된다.

 

그러나 새로운 성과연봉제 도입안에 따라 기본연봉 인상률이 3%이고 3급 직원에 대해선 인상률 차등폭이 2%포인트(±1%포인트)라고 가정할 때 최저 성과자는 기본연봉이 2%만 올라 6120만원을 받고 최고 성과자는 4% 올라 최고 6240만원이 돼 120만원 벌어진다. 성과 연봉까지 더하면 차이는 더 벌어진다. 3급 평균 성과연봉을 2571만원으로 두면 최고와 최저 성과자 간 성과연봉이 2배 벌어져야 하기 때문에 최고 성과자는 3428만원을, 최저 성과자는 1714만원을 받는다. 결국 총연봉은 최고 9668만원, 최저 7834만원으로 1834만원 차이가 발생한다.

 

다만 4급 직원 기본연봉에선 차등을 두지 않기로 했다. 4급의 경우 성과연봉에만 차등을 두되 성과연봉이 전체 연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1520%로 낮춰 제도 도입에 따른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최고·최저 성과자간 성과연봉 차이는 4급도 역시 2배다. 정부는 공기업은 올해 상반기, 준정부기관은 올해 내로 성과연봉제를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성과연봉제 확대는 근무 여건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도입 과정에서 공공기관 노조의 적잖은 반발이 예상된다. 작년 정부가 임금피크제(임피제)를 도입하겠다 나섰을 때에도 노동계의 반대 움직임이 거셌다. 작년 8월 노사정 협상 테이블로 돌아왔던 한국노총이 임피제 도입에 반발하며 대화 불참 가능성을 내비치는가 하면, 정부 출연 연구기관 구성원들은 삭발 투쟁과 시설 점거까지 불사하며 저항했다. 그러나 최경환 당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도입 문제는 노사정의 타협 대상이 아니다"라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이어 정부가 제도 도입을 늦추는 기관의 임금인상률을 타 기관의 절반 수준으로 낮춰 불이익을 주겠다는 방침을 천명하는 등 도입을 강력하게 밀어붙인 결과 원래 목표보다 빠른 지난해 12월 초 313개 공공기관 전체에 제도 도입을 마칠 수 있었다. 이번 정부의 성과연봉제 확대 방침에 대해서는 벌써부터 노동계의 반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한국노총 공공노조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등은 정부 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공기관의 성과연봉제와 퇴출제 결정을 중단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경제팀



  1. 더민주, 심장부 광주서 겨우 붕괴 모면 했지만,,,

    더민주, 심장부 광주서 겨우 붕괴 모면 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이 야당의 심장부에서 지지세력 붕괴를 가까스로 지켜냈다. 더민주 탈당 여부를 고민하던 박혜자 의원(광주 서갑)이 29일 당 잔류를 전격 선언해 더민주는 야권의 텃밭인 광주에서 의석수 2개를 ...
    Date2016.01.29
    Read More
  2. KTX 울산역에서 승객끼임 사고

    KTX 울산역에서 승객끼임 사고 29일 KTX 울산역에서 승객이 열차 문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했다. 목격자들은 코레일 측이 사고를 당한 승객을 부축하지도 않고 별다른 안내방송도 없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코레일과 승객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29분께 울...
    Date2016.01.29
    Read More
  3. 2015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학교 밖 청소년, 2명 중 1명 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 - 부정적 인식개선, 검정고시, 건강검진, 직업훈련 지원 원해 - - 여성가족부, 2015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발표 - 여성가족부(장관 강은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15.5.29)...
    Date2016.01.29
    Read More
  4. 한국콜마, 중국 무석신구에 화장품 생산기지 구축

    -북경에 이어 중국 두 번째 공장 설립 -2만 평 규모, 연간 최대 4억 개 생산 능력 월 28일, 한국콜마 최현규 대표(왼쪽)와 무석시 왕찐찌엔(王进健)부시장이 한국콜마 무석신구 공장 설립과 관련한 MOU를 체결했다 (사진제공: 한국콜마) 한국콜마는 무석시인민...
    Date2016.01.29
    Read More
  5.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를 확대하겠다고 나선 것은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는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일을 잘 해야 한다'는 동기를 부여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차에 따라 자동으로 급여가 인상되는 연...
    Date2016.01.29
    Read More
  6. 2016년 중국 경제성장률 6.4% 예측

    2016년 중국 경제성장률 6.4% 예측 2016년 중국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이래 국내기업이 차입하면서 불어난 채무의 압축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6.4% 성장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닛케이 경제연구센터는 28일 중국과 동남아시아 주요 4개국...
    Date2016.01.29
    Read More
  7. 새누리 '권력자 발언' 놓고 계파 갈등

    새누리 '권력자 발언' 놓고 계파 갈등 김무성 대표의 연이은 '권력자' 발언으로 새누리당 내 계파 갈등이 또다시 끓어오르고 있다. 김 대표가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선진화법 입법 책임론'을 제기한 것에 대해 친박(친박근혜)계가 "더이상 당 내홍을 유...
    Date2016.01.28
    Read More
  8. 안철수 국민의당 “새정치 몰라” 85억 목매달아

    안철수 국민의당 “새정치 몰라” 85억 목매달아 안철수 의원의 국민의당이 28일 국회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맨투맨 작전과 읍소를 불사하는 마지막 총력전에 돌입했다. 기왕의 새정치 이미지를 깍아먹으면서까지 세 불리기에 나선 이상 이제는 뒤돌아볼 것 ...
    Date2016.01.28
    Read More
  9. 더민주, 노영민·신기남 구하기 탄원서명 중지

    더민주, 노영민·신기남 구하기 탄원서명 중지 안병욱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원장은 28일 "현재로선 탄원서가 재심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단정적으로 말씀 드릴 수 없지만, 단순히 징계가 과도하다는 내용이라면 향후 재심에서 판결은 안 바뀔 것"이라고 밝혔...
    Date2016.01.28
    Read More
  10. 불경기 대출늘고, 저금리 연체율 역대최저

    불경기 대출늘고, 저금리 연체율 역대최저 전반적인 불경기 기조 속에서도 지난달 국내은행의 대출 총액이 9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달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8%로 지난해 11월(0.74%) 대비 0.16%p나 떨어지며 크게 감소...
    Date2016.01.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68 369 370 371 372 ... 963 Next
/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