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현대경제연구원 ‘2016년 수출의 주요 이슈 점검과 시사점’

posted Dec 0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현대경제연구원은 ‘경제주평’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최근 수출 경기 개요

한국의 2015년 수출은 1~11월 현재 -7.4%로 큰 폭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2016년에도 세계 경제의 저성장으로 글로벌 교역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수출경기 부진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 경제의 높은 무역의존도를 감안할 때 수출 부진은 곧 저성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긍정적인 대외 여건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이를 핑계로 기업과 정부가 수출 회복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수출 부문이 확실한 경기전환점을 구축하고 그 이후의 회복기조가 견고해질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자 2016년 수출 회복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는 이슈를 점검해보고 사전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2016년 수출 전망과 주요 이슈

(전망) 2016년 수출은 중국의 수출 둔화 지속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기의 완만한 회복 등의 요인으로 증가세로 반등할 전망이다. 2016년 한국 수출은 세계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 전년도 침체에 대한 기저효과 등의 요인으로 연간 3.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출 증가율은 상반기 3.2%에서 하반기에 4.6%를 기록할 것으로 보여 상저하고의 경기 추세가 전망된다.

(이슈) 2016년 한국 수출경기 회복세 강화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걸림돌(다섯 가지 패러독스)을 살펴보면, 첫째, (세계 경제 회복의 역설) 세계 경제는 완만하게 개선되나, 그 개선세가 선진국 중심으로 이루어져 신흥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출경기 회복이 제약될 우려가 있다. 2016년 세계 경기는 선진국의 회복세와 신흥국의 둔화로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나 선진국과 신흥국 간 성장 격차가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신흥국 수출 의존도가 2015년 58.2%에 달하는 한국의 수출 회복이 제약될 우려가 있다.

둘째, (저유가의 역설) 저유가에 따른 가격 하락은 해외 실질 구매력을 높여 수출 물량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될 수도 있으나, 대외 수요 절대 부족 현상으로 수출경기 회복에 큰 도움은 못 될 수도 있다. 2015년에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단가 하락으로 수출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2016년에도 배럴당 40~50달러대의 저유가가 지속될 전망이나, 대외 수요여건의 부진이 저유가의 구매력 증가 효과를 상쇄하고 있어 수출 물량 개선 효과는 제약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원화 약세의 역설) 주요 기관들은 원/달러 환율이 올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경쟁국 통화 약세도 동반되어 우리 제품의 가격경쟁력 개선 효과는 크지 않을 수도 있다. 2016년에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원화가 올해보다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유로화, 엔화 등 경쟁국 통화가 동시에 약세를 보이면서 원화의 수출 가격 경쟁력 개선은 과거와 달리 크지 않을 것이다.

넷째, (한·일간 가격 경쟁력의 역설) 한국이 일본 제품에 대해 가지는 전통적인 가격경쟁력이 엔저로 인해 일본 제품의 상대적 가격경쟁력이 높아지는 역전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아베노믹스 이후 엔저현상이 지속되면서 원화 실질실효환율이 2012년 10월 이후 기준선 100p를 상회하며 원화 가격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반면 엔저로 일본 제품의 수출 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한국과의 가격차가 축소되고 있어 일본 대비 한국의 가격 우위를 유지하기 힘든 상황이다.

다섯째, (한·중간 안행형 모델의 역설) 중국산 제품이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기술·고부가 시장을 잠식하면서 한·중간에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국제 분업 질서인 ‘안행형(雁行型) 성장 모델 (flying geese model)’이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과 중국 간 기술 격차는 2014년 기준 1.4년까지 축소되면서 중국 대비 한국의 기술 우위가 빠르게 소멸되고 있다.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 중국산 제품은 고위 및 중위 기술 중심으로 한국 시장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중국 고위기술 품목의 對한국 수입침투율은 2005년 11.1%에서 2013년 15.5%로 급증했다. 반면, 한국산 제품은 특히 고위 기술군에서 對중국 수입침투율이 동기간 10.1%에서 8.2%로 하락하며 경쟁 우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사점

한국 경제 성장의 핵심인 수출 경기를 확고한 회복 국면으로 진입시키기 위하여 첫째, 무엇보다도 부정적인 대외여건에 매몰되지 말고 기업과 정부가 힘을 합쳐 이를 극복하고 수출 경기를 제 궤도에 올려놓으려는 확고한 의지와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 선진국과 신흥국의 경기 디커플링에 대응해 차별화된 접근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기업의 생산 비용 절감 노력을 지속하고, 사업 구조 재편 등을 통해 저유가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넷째,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 외환 시장 변동에 대한 미세조정 및 시장 안정화 대책을 통해 원화 가치의 급변동을 방지해야 한다. 다섯째, 엔화 약세에 대응해 수출 기업들의 환위험 관리 및 금융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중국의 산업 재편 및 기술 추격에 대비한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이 시급하다.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1. No Image

    현대경제연구원 ‘2016년 수출의 주요 이슈 점검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은 ‘경제주평’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최근 수출 경기 개요 한국의 2015년 수출은 1~11월 현재 -7.4%로 큰 폭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2016년에도 세계 경제의 저성장으로 글로벌 교역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수출경기 부...
    Date2015.12.06
    Read More
  2. No Image

    업종별 단체 대상 한·중·일 경쟁력 설문 결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국내 주요 업종별 단체 및 협회 30곳을 대상으로 한중일 경쟁력 현황 비교를 조사한 결과, 중국에 가격경쟁력이 밀린다고 응답한 단체가 21곳인 가운데, 기술에서도 이미 추월당했거나 3년 이내에 기술을 추월당할 것이라고 ...
    Date2015.12.06
    Read More
  3. 법무부 장관, "사시 폐지유예는 법무부 의견일 뿐"

    법무부 장관, "사시 폐지유예는 법무부 의견일 뿐" 김현웅 법무부 장관은 4일 "'사법 시험 폐지를 4년간 유예한다는 것이 좋겠다'는 법무부의 의견을 낸 것이지 확정적이거나 최종 입장이라고 할 수 없다"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춘천지방검찰청을 ...
    Date2015.12.04
    Read More
  4. 국민연금 2060년 완전고갈

    국민연금 2060년 완전고갈 건강보험 재정이 10년안에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추산됐다. 국민연금은 2044년 적자로 돌아선 뒤 2060년 완전히 고갈될 전망이다. 정부는 4일 발표한 '2060년 장기재정전망'에 사회보험료 부과 체계와 재정 운용 방식을 바꾸지 않는...
    Date2015.12.04
    Read More
  5. ECB 실망감, 코스피 추락

    ECB 실망감, 코스피 추락 코스피지수가 유럽중앙은행(ECB) 실망감에 1970선까지 미끄러졌다. 외국인이 사흘째 '팔자'를 이어가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4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9.67포인트(0.99%) 내린 1974.40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유럽중앙은...
    Date2015.12.04
    Read More
  6. 국민들, 2차민중시위 우려속 주시중

    국민들, 2차민중시위 우려속 주시중 지난달 14일 '1차 민중총궐기' 대회에 이어 5일 서울 도심에서 다시 대규모 집회가 열릴 예정이다. 지난달 집회가 일부 과격 시위대의 불법 폭력행위로 얼룩졌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집회의 주최 측과 경찰은 모...
    Date2015.12.04
    Read More
  7. 여야, 쟁점법안 입법 돌입

    여야, 쟁점법안 입법 돌입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처리한 여야는 4일부터 본격적인 쟁점 법안 입법에 돌입한다. 여야는 지난 1일 심야 회동을 통해 5개 법안을 예산안과 함께 처리하고, 나머지 6개 법안을 정기국회가 끝나는 오는 9일 본회의에서 합의 처리키로...
    Date2015.12.04
    Read More
  8. 여야, '지역구 확대, 비례의석 축소' 공감

    여야, '지역구 확대, 비례의석 축소' 공감 여야는 3일 20대 총선거에서 지역구 의석 수를 늘리고, 비례대표 의석 수를 줄이기로 잠정 합의했다. 이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 배분' 문제가 쟁점으로 남게 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새정치민...
    Date2015.12.04
    Read More
  9. 서해대교 안전점검중, 출근길 교통대란 우려

    서해대교 안전점검중, 출근길 교통대란 우려 3일 오후 6시 10분께 서해대교 목포방면 2번 주탑에 연결된 교량케이블에서 불이 나 출동한 소방관에 의해 3시간 반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불이 나자 경기도재난안전본부와 충남소방재난본부 등은 소방관 60여명, ...
    Date2015.12.04
    Read More
  10. 동국대 사태 '투신예고'까지

    동국대 사태 '투신예고'까지 총장 선출 과정에서 종단 개입 논란을 빚어온 동국대의 학내 갈등이 극에 달했다. 이사장과 총장을 맡은 스님들이 이사직에서 사퇴하지 않을 경우 투신하겠다는 예고까지 나왔다. 3일 열리는 이사회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Date2015.12.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7 398 399 400 401 ... 963 Next
/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