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요즈음 교수들이란 무엇일까? 한같 지식 보따리 商에 불과한가?

posted Apr 1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즈음 교수들이란 무엇일까? 한같 지식 보따리 에 불과한가?

 

선망의 대상이던 교수 사회에 좌절감과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학문 연구보다는 대학의 돈벌이 활동에 내몰리면서 교수직의 사회적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결국 돈 문제로 귀착되는 대학 구조조정이 학문 생태계를 붕괴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 미래에 대한 전망도 암울하다는 게 현직 교수들의 생각이다.

 

16일 교수신문이 창간 23주년을 맞아 지금, 대학교수로 살아간다는 것이란 주제로 전국 4년제 대학 조교수 이상 전임교수 7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는 이런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thCAOTSZI9.jpg

 

설문 결과 대학교수의 위상이 낮아지고 있다며 부정적 자기인식을 하고 있는 교수는 무려 80.2%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조사(68.4%) 때보다 11.8%포인트나 급증한 것이다. 특히 교수 위상이 매우 낮아지고 있다는 강한 부정은 20138%에서 올해 15.2%2배 가까이 뛰었다. ‘지식인의 죽음’, ‘대학은 죽었다는 표현에 동의하는 교수도 10명 중 7(70.3%)에 달했다.

 

미래에 대한 전망도 회색 빛이었다.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하는가라는 질문에 교수 49.8%아니다고 답했다. 낙관적이라는 응답은 13.7%에 그쳤다. 교수 2명 중 1(45.5%)은 신분에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40대 교수의 경우 이 비율은 68.4%까지 늘어나 젊은 교수들의 불안감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대학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가 무엇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75.8%는 정원감축과 학과개편 등 정부 주도의 대학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학문 후속세대가 단절돼 학문 생태계가 붕괴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취업이 어려운 전공으로 꼽히는 인문학 교수(83.0%)와 예체능계열 교수(81.5%)의 위기감이 높았다. 자연계열(75.5%)과 사회계열(74.4%) 교수들의 위기감도 못지 않았다.

 

정부지원사업에서 돈 따오는 일에 교수들이 내몰립니다. 학교 입장에서는 돈 따오면 좋겠죠. 그런데 주니어(조교수)라서 (정부제출)보고서작업에 투입되니 연구할 시간 크게 줄어 부담스럽습니다. 돈 주시는 분들(교육부) 비위 맞춰 쓰는, 내용 없지만 미사여구만 가득한 보고서 그만 쓰고 싶습니다.”(수도권 A대학 B교수)

 

교육당국이 전임교수를 확보하라며 비() 정년트랙을 용인해준 결과, 현재 연봉 1,200만원, 1,800만원, 2,400만원짜리 무늬만 교수들이 양산됐어요. 대학은 고학력자들의 피를 빨아먹을 수 있게 된 거죠.”(서울 C대학 D교수)

 

문성훈 교수신문 편집기획위원(서울여대 교수)구조조정 대상으로 전락한 교수들, 학교를 살리자고 지표 높이기에 앞장 서야 하는 교수들, 산업 수요에 맞아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교수들, 이렇게 교수들의 자존감을 해치고 자율성을 없애는 상황에서 과연 누군들 교수를 높게 평가할 것이며, 교수 자신들은 또한 어떻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이런 지적에 대해 어떤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새도 여러종류가 있다. 교수는 지식인에 더하여 지성인이어야 한다. 단순히 지식인에만 머무르는 사회의 직업은 상아탑의 교수말고도 여러종류가 있다. 요즈음 교수들이 과연 지성인인가? 심각하게 교수 자신들에게 물어야 한다. 카나리아처럼 아름답게 우는 새도 있지만 우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는 새가 있고 새는 우는데 가지를 가려 울지 않는 새들도 많다. ? 새는 날 수 있기 때문이다. 날 수 있는데 나는 것을 잊고 날지 못하는 새, 아름답게 잘 우는데 가지가 아니라고 우는 새, 새들 스스로 생각해야 한다. 진정 잘 나는 새는 자기를 위해 울지 않고 모두를 위해 잘 날아서 울어야 한다. 아니면 아름답지 못한 울음이다. 잘 날아서 잘 우는 것 그것이 새의 사명이기도 하다.”

 

권맑은샘 기자

 

 

?

  1. 요즈음 교수들이란 무엇일까? 한같 지식 보따리 商에 불과한가?

    요즈음 교수들이란 무엇일까? 한같 지식 보따리 商에 불과한가? 선망의 대상이던 교수 사회에 좌절감과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학문 연구보다는 대학의 돈벌이 활동에 내몰리면서 교수직의 사회적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결국 ‘돈 문제’로 귀착되...
    Date2015.04.16
    Read More
  2. 검찰, SK건설 법인·임원 기소-- '새만금 공사 입찰담합'

    검찰, SK건설 법인·임원 기소-- '새만금 공사 입찰담합'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부장검사 한동훈)는 16일 1000억원대 관급공사인 새만금 방수제 건설공사 입찰에서 담합한 혐의(공정거래법 및 건설산업기본법 위반)로 SK건설 법인을 불구속 기소했다...
    Date2015.04.16
    Read More
  3. 달리던 관광버스 화재

    달리던 관광버스 화재 16일 오후 4시께 완주-순천고속도로 서남원IC 인근 하행선 51.6km 부근에서 배모(60)씨가 운전하던 관광버스에 불이나 승객들이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불이 나자 버스에 타고 있던 승객 46명은 긴급히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었다. 불...
    Date2015.04.16
    Read More
  4. 국회 대정부질문, 성완종 리스트'서 시작 李총리 사퇴논란으로 끝

    국회 대정부질문, 성완종 리스트'서 시작 李총리 사퇴논란으로 끝 4월 임시국회 나흘간의 대정부질문은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시작해 이완구 국무총리 자진사퇴 공방으로 얼룩진 정치이벤트로 기록될 전망이다. 정책현안 질의는 사실상 실종됐다. 16일 국...
    Date2015.04.16
    Read More
  5. 전세값 초상승, 아파트 전세 평균 2억 돌파

    전세값 초상승, 아파트 전세 평균 2억 돌파 봄 이사철이 끝나가는데도 전셋값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전세물건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면서 전국 아파트 평균 전셋값도 처음으로 2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
    Date2015.04.16
    Read More
  6. 스태그플레이션 인식확산

    스태그플레이션 인식확산 우리 국민들은 경제상황이 과거보다 후퇴했다고 느끼고 있으며 특히 경기침체로 소득증가 없이 물가만 오르는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는 인식도 상당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6일 전국 성인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Date2015.04.16
    Read More
  7. 국회 본회의 '세월호 인양 촉구 결의안' 통과

    국회 본회의 '세월호 인양 촉구 결의안' 통과 [엄대진 대기자] 국회는 세월호 참사 1주기인 16일 세월호 인양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의결한 '세월호 선체의 온전한 인양을 촉구하는 결의안...
    Date2015.04.16
    Read More
  8. 성완종의 의리남?

    성완종의 의리남? 여권 핵심 인사 8명의 금품 수수 메모와 육성(肉聲)을 남긴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숨지기 이틀 전 가족회의에서 서청원 새누리당 최고위원 등 4명의 정치인을 “의리를 지킨 사람들”이라고 말했다고 채널A가 15일 보도했다. 성 전 회장이...
    Date2015.04.16
    Read More
  9. 지하철역 역무원 폭행사례 빈번

    지하철역에서 근무하는 역무원 두 명 중 한 명은 승객에게 맞은 경험이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술취한 자, 정신이상자 등 승객들로부터 당하는 폭행사례가 역무원 76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중 절반가량이 최근 3년이내 폭행 경험...
    Date2015.04.15
    Read More
  10. 육군, 사건사고 시 민간전문기관 참관확대

    15일 육군에 따르면 군 내 사건사고 조사과정에서 민간 전문기관의 참관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육군은 이날 한국법과학회, 대한법의학회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내용은 육군은 앞으로 군 내 사건사고 조사 과정에서 ...
    Date2015.04.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07 508 509 510 511 ... 963 Next
/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