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정읍시·부안군 공동 주최, 전북사학회 주관
사진제공 / 정읍시청 |
정읍시와 부안군이 공동주최하고 전북사학회가 주관한 '동학농민혁명 12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지난 11월 28일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열렸다.
양 자치단체는 "양 지역 간 소통과 화합을 위해 공동학술대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학술대회에는 김생기 정읍시장, 김종규 부안군수, 임기태 부안군의회 의장, 전해철 전봉준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 김동길 갑오농민동학혁명유적보존회 이사장, 이갑상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이사장, 김원철 백산봉기기념사업회 이사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그간 학술적 검증과정을 되돌아보고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석의 오류를 시정해야 한다는 자성의 의견이 제시되는 등 진성정이 엿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동학농민혁명 제120주년과 학술연구의 방향'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 충북대학교 신영우 교수는 "중국에서는 청·일전쟁의 배경으로 일본에서는 조선을 점령하는 과정 중의 하나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고 "동학농민혁명 연구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사적으로 조명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동학문화연구소 조광환 부소장은 '사발통문에 대한 연구동향과 과제'를 주제로 "사발통문거사계획과 고부봉기는 치밀한 계획에 따라 준비됐고 이는 동학교단의 최고 지도자인 최시형과 연결돼 있다"며 "혁명의 시작인 고부봉기는 무장기포 및 백산대회로 연결되는 연속선상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무장기포와 무장포고문 연구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성균관대 배항섭 교수는 "1894년 당시부터 국민 모두가 혁명은 고부봉기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무장포고문과 무장기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무장기포가 혁명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여기게 됐다"고 말했다.
역사학연구소 박준성 연구원은 '백산대회 연구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발표에서 "백산대회는 각 지역별 출정식과 사전집회 등을 거친 뒤 주요 지도자들과 동학농민군이 한곳에 모여 '본 대회' 성격으로 혁명의 취지와 명분을 대내외에 알리면서 처음으로 군의 진용을 조직했고" 이어 "혁명의 명분과 기반이 완성됐다"며 "백산대회야 말로 혁명의 대내외적 선포가 이뤄진 출발점"이라고 주장했다.
청암대 성주현 교수는 '동학농민혁명 초기 전개과정과 논쟁점'를 주제로 발표에 나서 "국민 다수가 알고 있는 고부봉기를 일부 연구자들이 혁명과 직접적 연속성이 없는 단절된 '민란'으로 격하하고 있다"며 "이는 고부봉기의 해산과 실패를 전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면 고부봉기는 실패와 해산이 아니라 지속과 확대"라며 "그 당시 주변에서 벌어진 혁명에 동조하는 움직임은 고부봉기가 무장기포와 백산대회로 확대된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산대회에 관한 논쟁은 2004년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 토론회에서 처음 제기됐다"며 "기존 백산대회에 대한 인식과 다른 주장이었지만 당시 제기된 이견은 아직 검증된 바가 없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기념일 논의에서 백산대회가 빠졌다는 것을 계기로, 백산대회 자체를 혁명사에서 제외시키는 역사적 후유증이 발생하고 말았다"고 설명했다.
주제발표 후 진행된 종합토론에는 전북대 하우봉 교수와 하태규 교수, 한림대 허수 교수, 경희대 임형진 교수, 광주대 한규무 교수, 정읍시 박대길 동학농민혁명담당이 토론자로 각각의 의견을 교환했다.
토론에서는 고부봉기와 무장기포, 백산대회가 연속선상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 부분에 전제돼야만 동학농민혁명의 초기 전개과정이 제대로 조명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학술대회 마무리에서 하우봉 교수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정답이 나올 수 없지만 명답을 도출하는 것이 역사 연구자들의 몫"이라며 "이 같은 측면에서 '고부민란'이라는 용어사용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