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그간의 성과 |
교육부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수준 높은 대학 강의를 들을 수 있는 '2017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운영계획'을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2015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한 K-MOOC는 서비스 개통 이후 지속적으로 강좌를 확대·개발(2015년 27개 강좌 → 2016년 143개 강좌)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관심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2016년 12월, 방문자 수 약 218만 명, 수강신청 약 18만 명)하고 있다.
최근에는 K-MOOC 모바일 앱을 보급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학습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K-MOOC 우수사례 공모를 통한 당선작 사례집을 발간하고, 행복교육박람회 등 각종 박람회에서 K-MOOC를 소개하는 등 미래교육 플랫폼으로서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해 노력하였다.
2017년에는 신규 개발 강좌와 기존 강좌를 합하여 총 300여 개 강좌를 개설·운영 예정이다.
무크선도대학이 10개 내외에서 신규 선정되며, 신규 무크선도대학과 함께 기존 무크선도대학(2015년 10개교, 2016년 10개교)도 신규강좌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분야지정강좌를 확대(2016년 5개 → 2017년 20개)하여 한국학(한국어·한국문화 등) 분야,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학습자의 수요가 많은 분야의 강좌를 확충할 예정이다.
대학재정지원사업을 활용한 강좌를 계속해서 개발할 예정이며, 올해부터는 전문대 특성화 사업(SKC)에 선정된 대학들도 강좌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K-MOOC 플랫폼의 본격적인 개방이 시작되며 정부가 지원하여 제작하는 강좌 외에도 대학이 자체적으로 재원을 조달해서 개발한 강좌 또한 K-MOOC 플랫폼에 탑재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K-MOOC 이수결과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참여대학 간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학점 인정·교류를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 실명 인증, 위조방지기능 적용 및 이수결과(점수, 학습시간 등)가 표시된 이수증이 별도로 발급되도록 플랫폼을 개선한다.
여러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이 협력하여 팀티칭 등을 활용한 강좌 공동개발·활용이 가능하도록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 서울대-KAIST-포스텍, 이공계 전공기초 과목 5개 강좌 공동개발 및 학점 교류(’16.2학기~)
이를 위해 무크선도대학과 강좌 선정평가 시 ‘강좌 공동개발 및 활용 계획’에 대해 가산점을 부여하여 현재 K-MOOC에 참여하지 않는 대학에도 K-MOOC 활용을 더 확산시키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향후 이루어질 자립화 기반조성에 대비하여 기존 강좌의 운영비 일부를 수강·이수실적에 따라 강좌별로 차등 지원하여 시범적으로 경쟁체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수증 발급시 수수료 부과 등 대학의 수익구조 창출 및 서비스 운영 구조 등에 대한 정책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세계로 뻗어 나가는 K-MOOC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ASEM 교육장관회의에 안건으로 상정(2017.5., MOOC 이니셔티브)하고, 태국·우크라이나 등 해외 MOOC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공동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교육부 배성근 대학정책실장은 "정부는 앞으로 다가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K-MOOC가 미래 고등교육의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것"임을 밝혔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