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1 ‘장애인메세나 활동 실태와 전망’에서 솟대문학 98호까지 발간하는 동안 협찬 광고 형식으로 지원을 해준 기업은 49개사이며 이들 기업에서 광고한 횟수는 296회로 1호당 3개기업의 협찬을 받았다고 소개하였다. 지원 횟수는 <이야기있는외식공간>이 46회 당연히 압도적으로 많고 2위를 차지한 놀부의 지원은 21회인데 두 기업 모두 대표가 오진권이고 보면 오진권이란 후원자가 67회를 지원하여 솟대문학 후원의 68%를 차지하였다.
솟대문학 1회 평균 광고료가 100만 원으로 지원액은 총 2억9천6백만 원이다. 3억 원이란 돈이 25년 동안 이루어진 지원이고 보면 1년 후원 규모는 1천2백만 원 정도로 한 기업에서 지원한다해도 부담이 되지 않는 액수이다. 이렇게 큰 부담이 되지 않은 지원으로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았던 장애인문학이 당당히 그 정체성을 드러나도록 하였다.
솟대문학 후원의 70%를 혼자서 후원하며 한국장애인문학의 새 지평을 열어준 오진권에 대한 인물 분석을 특집2 ‘장애인메세나 운동의 선봉자, 오진권’에서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특집3 ‘기업 mecenat 활동을 통한 Able Art 활성화에 관한 연구’(김문정, 방귀희, 김언지)에서 일본의 Able Art에 대한 기업 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밝혀 장애인메세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솟대문학 98호가 선정한 솟대문학 100호 프로젝트로 실시하고 있는 노블레스 독자 8호는 장애인문화예술정책의 기반을 만들어주고 솟대문학 행사에 늘 참석하며 장애예술인에게 깊은 애정을 갖고 있는 새누리당 이정현 의원으로 장애인예술에 대한 그의 소신이 가득한 인터뷰가 눈길을 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