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2년째 겨우 26위

posted Sep 30,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2년째 겨우 26

 

세계경제포럼(WEF)이 해마다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올해 조사대상 140개국 가운데 26위를 기록했다. 1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지난해와 같은 순위다. 정부가 구조개혁을 추진하는 노동, 공공, 금융, 교육 등 4대 분야 가운데 노동 및 금융 시장의 비효율성이 전체적인 국가경쟁력을 갉아먹는 것으로 지적됐다. WEF는 올해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종합 순위가 작년과 같은 26위라고 30일 발표했다.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WEF는 저명한 기업인, 경제학자, 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 문제를 토론하는 민간회의체다. '다보스 포럼'이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이 기구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과 함께 양대 국가경쟁력 평가기관으로 꼽힌다. WEF가 매긴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2007년 역대 최고인 11위로 올라선 이후 201224위에서 19위로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계속 하향 곡선을 그려왔다. 2013년부터는 2526위에 머물러 있다. 분야별로는 3대 항목 가운데 거시경제·인프라 등이 포함된 '기본요인' 순위가 지난해 20위에서 18위로 올랐으나 평가비중이 50%로 높은 '효율성 증진' 순위는 25위로 변동이 없었다. '기업혁신' 분야도 22위로 지난해와 같았다.

 

kwjs.jpg 

 

이를 다시 12개 하위 부문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거시경제 환경 순위는 7위에서 5위로 올랐다. 정부 규제의 효율성·정책결정의 투명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요인은 82위에서 69위로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금융시장 성숙도 순위가 80위에서 87위로 떨어졌다. 이밖에 기술수용 적극성(2527), 시장 규모(1113), 기업 혁신(1719) 분야에서도 뒷걸음질쳤다. 노동시장 효율성은 작년보다 세 계단 올랐지만 83위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노사간 협력은 132위로 세계 최하위권이었다. 고용 및 해고 관행은 115, 정리해고 비용은 117, 임금결정의 유연성은 66위에 머물렀다.

 

정부의 규제개혁 정책에 힘입어 법 체계 효율성 순위는 113위에서 74위로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이 항목은 기업이 불합리한 규제 개선을 정부에 건의했을 때 얼마나 효율적으로 반영되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그러나 정부규제에 따른 부담은 96위에서 97위로 밀려 경제 주체들이 느끼는 규제 강도는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경쟁력 평가의 세부 항목 중 설문평가 항목 80(70%)는 해당국 기업 최고경영자(CEO) 100명의 답변내용을 토대로 순위가 매겨진다. WEF는 한국의 강점으로 거시경제(5), 시장규모(13), 인프라(13)를 꼽았다. 약점으로는 정부 규제 등 제도적 요인(69), 노동시장 효율성(83), 금융시장 성숙도(87)를 지적했다.

 

박봉용 기재부 거시경제전략과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활성화 정책으로 거시경제 등 대부분의 평가 지표가 작년보다 개선됐지만 취약 분야인 노동·금융 부문이 순위 상승을 제약하는 요인이 됐다""노동·금융 분야의 구조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 순위가 올라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평가에서 국가경쟁력 순위가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1). 싱가포르가 2, 미국이 3위에 올랐다. 독일은 한 계단 올라 4위를 차지했고, 네덜란드는 3계단 올라 5위에 랭크됐다. 일본과 중국의 순위는 각각 6, 28위로 작년과 같았다.

 

엄원지 대기자

 

 



  1.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2년째 겨우 26위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2년째 겨우 26위 세계경제포럼(WEF)이 해마다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올해 조사대상 140개국 가운데 26위를 기록했다. 1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지난해와 같은 순위다. 정부가 구조개혁을 추진하는 노동, 공공, ...
    Date2015.09.30
    Read More
  2.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새누리당 평지풍파 일으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새누리당 평지풍파 일으켜 새누리, 친박-비박 '권력투쟁' 수면위로 새누리당 친박(친 박근혜)계와 비박계의 대립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김무성 대표가 추석 연휴 동안인 28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부산 회동을 통해 '안심...
    Date2015.09.30
    Read More
  3. 박 대통령, 유엔연설서 '北인권' 공론화

    박 대통령, 유엔연설서 '北인권' 공론화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북한의 도발 위협과 함께 주민들의 열악한 인권상황을 거듭 문제 삼고 나서 향후 남북관계 등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미국 뉴욕 소재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
    Date2015.09.29
    Read More
  4. 새정치연, 안철수 주변 다시 뭉치고 비주류 반격준비

    새정치연, 안철수 주변 다시 뭉치고 비주류 반격준비 '안철수 사람들' 다시 뭉친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조직 재건 등 세력 재정비에 나서고 있다. 최근 "혁신이 실패했다"며 당내 현안에 대한 오랜 침묵을 깨고 문재...
    Date2015.09.29
    Read More
  5. 여야대표 공감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란 무엇인가?

    여야대표 공감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란 무엇인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9일 ‘안심번호 국민공천체’ 도입에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루면서 이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쉽게 말해 여론 조...
    Date2015.09.29
    Read More
  6. 추석연휴 마지막 날 고속도로 상황과 마무리

    추석연휴 마지막 날 고속도로 상황과 마무리 29일 고속도로 '오후 3∼4시 정체 절정’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29일 오전 9시 40분 현재, 전국 고속도로는 대체로 원활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날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귀경길 정체는 오전 9∼10시쯤 시작돼 오...
    Date2015.09.29
    Read More
  7. 미 금리인상, 폭스바겐 사태의 배경은 글로벌 신에너지 문제?

    미 금리인상, 폭스바겐 사태의 배경은 글로벌 신에너지 문제? 미국 금리인상은 물론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 우려까지 겹치며 증시변동성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각종 굵직한 경제지표 발표도 앞두고 있어 이러한 불안을 증폭시킨다. ...
    Date2015.09.28
    Read More
  8. 박 대통령, 내일 유엔총회 연설…北도발 경고·통일비전 제시할 듯

    박 대통령, 내일 유엔총회 연설…北도발 경고·통일비전 제시할 듯 유엔 개발정상회의 및 제70차 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오후 유엔 정상외교전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나선다. 한국 시간으로는 29일 새...
    Date2015.09.28
    Read More
  9. 난파선 새정치연, 마지막 폭발할 것이냐 말것이냐?

    난파선 새정치연, 마지막 폭발할 것이냐 말것이냐? 정치권의 시계가 내년 4월13일 20대 국회의원총선거를 향해 째깍째짝 흐르고 있는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에 일촉즉발의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과연 난파선으로 마지막 폭발을 할 것이냐? 아니냐? 기로에 서 ...
    Date2015.09.28
    Read More
  10. 역대최고 부실국감, 의원들 마음은 콩밭에

    역대최고 부실국감, 의원들 마음은 콩밭에 19대 국회의 마지막 국정감사 전반전이 예견된 부실 국감이라는 오명 속에 마무리됐다. 여야는 추석 연휴를 보내고 다음달 1일부터 남은 국감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지만 총선을 앞두고 마음이 콩밭에 가 있는 의원들...
    Date2015.09.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3 304 305 306 307 ... 535 Next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