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우리나라, 아파트 전세가는 살인적, "가계부채 비율은 신흥국 최고"

posted Sep 1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나라, 아파트 전세가는 살인적, "가계부채 비율은 신흥국 최고" -"여,야 떠나 다음 정권때 근원적 대책 필요"

 

서울 아파트전세가 과반이상 35천 넘어

 

전국의 아파트 전세물량 중 전세가가 2억원을 웃도는 것이 지난달 절반을 넘어섰다. 서울에선 35천만원을 넘는 아파트가 과반이 됐다. 아파트 전셋값이 20093월부터 66개월(78개월) 연속 올라 역대 최장의 상승 흐름을 보인 결과다. 15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의 중위 전세가격은 270만원으로 전월(19903만원)보다 0.8%, 지난해 같은 달(17666만원)보다 13.6% 올랐다. 이는 전국 아파트 가운데 절반은 전셋값이 270만원 이상이라는 의미다.

 

국민은행은 "중위가격은 주택별로 전세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딱 중간에 위치하는 가격"이라며 "전체 평균가격과는 다른 개념으로, 고가주택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평균가격보다는 대체로 낮다"고 말했다. 서울 전체의 중위 전셋값은 지난달 3592만원으로 전월(34660만원)보다 1.2%, 지난해 8(29513만원)보다 18.9% 뛰었다. 2년 전(26424만원)보다는 약 9천만원, 32.8% 오른 가격이다. 이는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 세입자가 대출에 의존하지 않고 재계약을 하려면 평균치로 따질 때 지출분을 제외한 한 해 순수입이 최소 4500만원은 돼야 한다는 의미다.

 

jsgw.jpg

 

주요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 11개구(한강 남쪽 서울)가 가장 비싸고 상승폭도 가팔랐다. 강남 11개구는 지난 7(4335만원)에 처음 4억원을 넘은 데 이어 8월에는 4916만원으로 전월보다 1.4%, 작년 8(33726만원)보다 21.3% 치솟았다. 강북 14개구도 강남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지난달 28151만원으로 전월(27896만원)보다 0.9%, 지난해 8(24492만원)보다 14.9% 올랐다. 상승률로는 인천이 8월에 전월보다 1.4%,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9% 올라 강남 11개구 다음으로 높았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25749만원으로 전월보다 1.1%, 작년 8월보다 16.7% 상승했다. 전세가격 강세는 전세의 월세 전환이 초저금리 상황과 맞물려 가속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는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강남 4구에서 잇따라 추진된 재건축 사업이 전셋값 급등과 전세난 심화를 불러왔다. 국민은행이 조사한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세계 금융위기 이듬해인 20093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78개월째 올랐다. 이 기간 전국의 오름폭은 62.9%였고 대구가 81.7%로 최대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66.1%)에선 송파(88.6%), 서초(84.1%), 광진(77.9%)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우리나라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신흥국 최고 수준"

 

한국의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가 주요 신흥국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선진 12개국과 신흥 14개국을 대상으로 가계와 정부, 기업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을 조사한 결과다. BIS는 이 결과를 계간보고서에 최근 게재했다.

 

한국의 가계부채, 신흥국 1

 

한국의 가계부채(소규모 자영업자 부채 포함)는 작년말 현재 GDP 대비 84%로 신흥국 평균(30%)2.5배에 달했다. 조사대상 신흥국 가운데 한국에 비해 이 비율이 높은 나라는 없다. 신흥국 중에는 태국과 말레이시아가 각각 69%, 홍콩이 66%, 싱가포르가 61%로 한국 다음으로 높았다. 남아공(37%), 중국(36%)30%대에 머물렀고 브라질(25%), 터키(21%), 러시아(20%)는 평균 이하였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 부채비율은 선진국 평균(73%)보다 높다. 이탈리아(43%), 독일(54%), 프랑스(56%), 유로존(61%), 일본(66%), 스페인(71%), 미국(78%)은 한국보다 낮았다.

 

한국보다 높은 곳은 스위스(120%), 호주(119%), 캐나다(93%) 정도였다. 영국(87%)과 스웨덴(83%)은 한국과 비슷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지난 2007년 말에 비하면 한국의 GDP 대비 가계대출 비율은 7년 만에 12%포인트(이하 %P)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신흥국들의 평균 상승폭(10%P) 보다 높다. 선진국 평균 상승폭은 7%P이다. 신흥국 중에서는 태국이 25%P 급등했고 싱가포르(22%P), 중국(17%P), 말레이시아(15%P), 홍콩(14%P)도 한국보다 상승 폭이 컸다. 반면, 남아공(-4%P)이나 인도(-1%P)는 오히려 감소했고 멕시코(1%P)나 아르헨티나(2%P), 인도네시아(6%P)도 미미했다.

 

또 한국에서는 소규모 자영업자의 대출이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BIS 기준에서 소규모 자영업자를 제외한 순수 가계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작년 말 현재 73%2007년 말(63.8%)에 비해 9.2%P 오르는 데 그쳤다.

 

정부 핵심부채비율 상승폭 신흥국 2

 

한국은 정부 핵심부채의 GDP 대비 비율이 작년 말 현재 38%, 2007년 말에 비해 14%P 상승했다. 이 기간에 국고채 발행 잔액이 211조원 늘어난 것이 주요 요인이다. 신흥국 가운데 남아공(23%P)을 제외하고는 상승폭이 가장 컸다. 핵심(Core) 부채란 채권 발행액, 예금으로 받은 금액, 대출받은 금액만 해당하는 것이다. 공사대금 등과 같이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할 수 있는 기타 부채 항목이 배제돼 있어 국가별 비교시 정확성이 높아진다.

 

wha.jpg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정부 핵심 부채는 국고채가 대부분이고 예금으로는 국민주택기금 등이 있다. 대출은 회기 중에 한국은행에서 빌렸다가 연말이 되기 전에 갚기 때문에 양곡회계 외에는 거의 없다.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들의 GDP 대비 부채 비율 상승폭은 평균 4%P에 불과했다. 말레이시아와 멕시코, 싱가포르는 13%P로 한국보다 조금 작았다. 인도와 인도네시아, 터키는 8%P 하락했다. 선진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평균 41%P 상승했다. 특히 스페인(74%P)과 일본(72%P), 영국(61%P)이 높은 편이었다. 미국도 39%P 상승했다.

 

기업 부채비율 GDP 대비 105%총 부채비율 228%

 

한국의 비금융 부문 기업 부채는 GDP 규모를 넘어섰다. GDP 대비 비율이 2007년 말에 91%였던 것이 작년 말 105%로 뛰었다. 한국의 기업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신흥국중에서 홍콩(217%)과 중국(157%) 다음으로 높았다. 신흥국 평균(94%)과 선진국 평균(81%) 보다도 높다. 선진국 중에 기업 부채비율이 100%가 넘는 곳은 스웨덴(165%), 프랑스(124%), 스페인(111%), 캐나다(104%), 유로존(103%) 등이었다.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이 비율 상승 폭은 신흥국 평균(35%P)보다 작았지만 선진국 평균(1%P) 보다는 컸다.

 

가계와 기업, 국가 부채를 모두 합한 총 부채의 GDP 대비 비율로는 한국이 228%로 신흥국중에서는 홍콩(287%), 싱가포르(242%), 중국(235%) 다음으로 높았다. 그러나 선진국과 비교하면 독일(191%)을 제외하고는 가장 낮았다. 금융위기 이후 총부채 상승폭은 한국이 40%P, 신흥국에서는 역시 홍콩(103%P), 중국(82%P), 싱가포르(59%P) 다음으로 높았지만 선진국에서는 독일(10%P), 미국(21%P)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낮은 편이었다.

 

국회에서 한참 국정감사 중이지만 국민들은 한국에서 사는 것 자체가 너무나 힘들고 고위층의 부정비리, 갑질에 울화통이 터질 지경이다. 사는 것 자체가 점점 싫어지고 있다. 이번 정권에 과연 희망이 있을까? 많은 국민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너도 나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여야를 떠나 다음 정권 때는 근원적인 대책이 있어야 한다" 라고,,,

 

권맑은샘 기자

 

 

 

 

 



  1. 북한, “미 본토 불바다” 연일 공세, 한미 연합군 본격 감시태세 돌입

    북한, “미 본토 불바다” 연일 공세, 한미 연합군 본격 감시태세 돌입 북한, “미 본토 불바다” 연일 공세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와 4차 핵실험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정부는 16일 북한의 ‘도발’을 차단하기 위한 ‘억제외교’에 힘을 기울였다. 북한은 이날도...
    Date2015.09.16
    Read More
  2. 경찰, 트렁크시신 사건 공개수사로 전환

    경찰, 트렁크시신 사건 공개수사로 전환 김일곤, 지난달에도 경기 일산서 여성납치 미수 주차된 차량 트렁크에서 숨진 채 발견된 30대 여성을 살해한 혐의로 공개수배 된 김일곤(48)이 지난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의 한 대형마트에서도 30대 여성을 납치하려...
    Date2015.09.16
    Read More
  3. 노사정 대타협, 앞으로의 과제는?

    노사정 대타협, 앞으로의 과제는? 노사정이 노동개혁에 대타협을 이뤄낸 것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 대타협에 따른 실질적 효과를 거두기까지는 여러 절차가 남아 있지만 큰 고비를 넘긴 것은 사실이다. 1년여 동안의 우여곡절 협상 끝에 정부와 노동계의 입장...
    Date2015.09.16
    Read More
  4. 남북관계 악화, 김정은 결단에 달려있다.

    남북관계 악화, 김정은 결단에 달려있다.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10월 10일)을 계기로 4차 핵 실험까지 운운하며 군사적 긴장 수위를 높이면서 8ㆍ25 합의 이후 모처럼 조성됐던 남북관계 유화 분위기가 급속도로 냉각될 조짐이다. 당장 다음달 20일로 예정됐던...
    Date2015.09.16
    Read More
  5. 문재인, 안철수 합의불발, 새정연 격랑속으로

    문재인, 안철수 합의불발, 새정연 격랑속으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재신임 국면의 막판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됐던 문 대표와 안 전 대표의 회동이 아무런 합의사항 없이 끝나면서 야당의 운명이 결국 격랑 속에서 표류하게 되었다. 문재인 대표와 안...
    Date2015.09.16
    Read More
  6. 박대통령,"노동자 쉬운해고 없도록,,,청년 일자리 펀드 재원마련할 것"

    박대통령,"노동자 쉬운해고 없도록,,,청년 일자리 펀드 재원마련할 것"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노사정위의 노동시장 개혁 타협을 두고 “노동자 여러분의 고뇌에 찬 결단이 결코 희생을 강요하고 쉬운 해고를 강제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근혜 ...
    Date2015.09.15
    Read More
  7. 청와대, "북한 탄도미사일은 안보리 결의 위반“

    청와대, "북한 탄도미사일은 안보리 결의 위반“ 청와대는 15일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인 다음 달 10일을 전후해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을 시사한 것과 관련, "예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15일 북한의 우주개발국 국장이 전날 "당 중...
    Date2015.09.15
    Read More
  8. 우리나라, 아파트 전세가는 살인적, "가계부채 비율은 신흥국 최고"

    우리나라, 아파트 전세가는 살인적, "가계부채 비율은 신흥국 최고" -"여,야 떠나 다음 정권때 근원적 대책 필요" 서울 아파트전세가 과반이상 3억5천 넘어 전국의 아파트 전세물량 중 전세가가 2억원을 웃도는 것이 지난달 절반을 넘어섰다. 서울에선 3억5천...
    Date2015.09.15
    Read More
  9. 이한구, “국가빚 과소계상”, 실력없는 야당, 준비없는 무능국감

    이한구, “국가빚 과소계상”, 실력없는 야당, 준비없는 무능국감 이한구 의원 “국가빚 과소계상”…여야 부자감세 철회 놓고 이견 15일 국회에서 진행된 이틀째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는 정부의 부실한 국가재정운용계획과 ‘증세없는 복지’가 도마에 올랐다. 특...
    Date2015.09.15
    Read More
  10. “애들도 아니고 국회의원이,,,”, 장난감 권총시연 국감

    “애들도 아니고 국회의원이,,,”, 장난감 권총시연 국감 국감장에서 국회의원의 보여주기용 우스꽝스러운 퍼포먼스들이 질타받는 가운데 이번에는 장난감 권총도 등장했다. 1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경찰청 국정감사에서 강신명 경찰청장이 야당 의원으로부...
    Date2015.09.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7 308 309 310 311 ... 535 Next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