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국민 사드배치 55.8%찬성, 반대는 32.6%

posted Feb 2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드(THAAD·高고도 요격미사일), '전략적 모호'는 더 이상 答이 아니다 <특별기고>

 

 

홍관희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dkfhh.jpg 

 

북한 김정은이 노동당 창건 기념일인 10월 10일까지 "전쟁 준비를 완성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김정은의 전쟁 준비 호언은 처음이 아니다. 2011년 말 집권한 후 '2015년 통일대전 준비'라는 전략 목표를 끊임없이 선동하고 있다. 이번 설 연휴 중에도 서해도서 타격 상륙훈련을 실시했다. 무력 도발에 대한 그의 자신감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핵·미사일 공격력에서 나온다.

한국의 경우 전시작전지휘권 재연기로 한·미 연합방위 태세는 견지되고 있지만 북핵·미사일 위협에 관한 한 창(핵무기)도 방패(MD)도 없는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 현재 계획·추진 중인 킬체인과 한국형 미사일방어 체제(KAMD)가 대북 억지 실효성 차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킬체인은 선제공격의 비현실성 때문에, KAMD는 종말단계·하층방어인 PAC-3 중심이라는 점에서 충분한 억지력을 발휘할 수 없다.

미국이 고(高)고도·상층방어인 사드 배치를 최근 공론화하려는 것도 주한미군과 동맹국 한국을 북핵·미사일 공격망으로부터 실효적으로 보호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지난해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이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를 본국에 처음 요청한 것도 핵탄두 소형화 등 가공할 북핵·미사일 위협 때문이었다. 한반도 정세가 긴박해지자 미 하원은 오바마 정부에 한·미·일 미사일 협력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국방수권법을 통과시켰다.

 

WSJ지(誌)는 한국이 사드를 놓고 미·중 간 '줄타기 외교'를 한다고 혹평했다. 이렇게 볼 때 며칠 전 미 국방부 대변인이 한국의 '전략적 모호성' 방침을 외면하고 "한국과 사드 관련 협의를 해왔다"고 돌연 밝힌 것은 사드 배치의 절박함과 그 실현을 위한 외교적 암중모색(暗中摸索)의 표현이다. 우리 정부가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 시간적으로 결코 여유롭지 않은 배경이다. 이제 더 이상 전략적 모호는 답이 될 수 없다. 결단을 내려야 할 시점이 된 것이다.

더욱이 사드가 북한을 목표로 한 것이지 중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점은 국내외 정책 전문가들에 의해 충분히 입증됐다.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 역시 "사드 관련 군사적 정책 결정은 100% 북한 위협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반발을 고려해 탐지 거리가 짧고 방향도 북한 쪽으로 고정된 레이다를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중국의 안보 전문가들도 이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의 주요 정책 결정자들이 사드의 한국 배치를 공개 반대하는 것은 사실 왜곡일 뿐 아니라 내정간섭 성격이 짙다. 중국의 이러한 고압적 태도는 한국의 좌고우면이 자초한 측면도 없지 않다.

 

th[1] (2).jpg

다행히 중국의 한반도 전략에 변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이 북한보다 한국을 중시하는 '중한경조(重韓輕朝)' 현상은 뚜렷해졌고 북·중 관계는 경색되고 있다. 북·중 관계를 '혈맹·완충지대'로 보려는 전통적 대북 전략이 상존하지만 북핵이 결국 한·일의 핵무장을 초래해 중국의 국가 이익에 위배된다는 북한 비판론이 꿈틀대고 있다. 따라서 사드 문제가 한·중 간 난제(難題)는 결코 아닐 것이다. 우리가 주권국가의 보편적 관심사인 국가 안보의 엄중함을 근거로 중국의 이해를 구한다면 문제는 쉽게 풀릴 수도 있다.

우리의 국가 이익과 국가 안보 관점에서 사드 배치는 필수 불가결하다. 열강이 각축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탁월한 병기를 우리 돈으로 사들여야 할 상황인데 미군이 자국 비용으로 배치하겠다는 것을 마다할 이유는 없다. 사드에 대한 우유부단은 미국으로부터의 신뢰 상실을 초래해 동맹 자체가 위협받을 수도 있다. 다행히 우리 국민은 60% 내외의 다수가 사드 배치를 찬성하고 있다. 원칙과 국익에 부합하는 외교 안보 전략이 절실한 때다.

 

------------

 

국민 사드배치 55.8%찬성,  반대는 32.6%

 

한편, 미국 고고도 미사일 방어(THAAD· 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관해 국민의 절반 이상이 찬성했다. 또 25일로 집권 3년차에 접어드는 박근혜 정부가 앞으로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국정과제로는 ‘경제적 양극화 완화’가 꼽혔다.

 

th[1].jpg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22~23일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취임 2주년 여론조사 결과에서 응답자의 55.8%는 사드 배치에 대해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므로 찬성한다’고 답했다. ‘중국과 러시아 등 반대하고 있는 나라와의 외교관계를 고려해 반대한다’는 답변은 32.6%였다.

 

권맑은샘 기자



?


  1. 국회의원, 검찰 , 변호사 제외된 ‘김영란 법’ 국회 통과 1년 6개월 후 시행!

    300만명 대상, 1년 6개월 후 시행 전국민이 대상되는 ‘모호한 법’으로 혼란 예상 2016년 9월 중순부터 ‘부정청탁 및 금품수수금지법’인 일명 ‘김영란법’이 시행된다. 3일 국회는 본회의에서 ‘김영란법’ 제정안을 통과시켰다. 929일 만에 재적의원 247명 가운...
    Date2015.03.04
    Read More
  2. 남인권?위헌소지? 우리는 몰라, 의원들 온갖 불법 저지르고도 후원금 잔치

    남인권?위헌소지? 우리는 몰라, 의원들 온갖 불법 저지르고도 후원금 잔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지난해 각각 2억9천900만원과 2억7천100만원의 후원금을 모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3일 공개한 '2014년도...
    Date2015.03.03
    Read More
  3. 눈에 뵈는게 없는 시장

    눈에 뵈는게 없는 시장 “이건 정말 아니지 않나요? 티백포장 종이며, 코 푼 휴지를 재활용 업체에서는 무슨 수로 재활용하며, 여성용품 쓰레기를 비닐에 싸지 않고 그냥 버리라는 건지? 이 정도면 인권침해 수준입니다.” (트위터 이용자 @soo***) 한 언론사의...
    Date2015.03.03
    Read More
  4. 여야, 김영란법 국회통과 합의

    여야, 김영란법 국회통과 합의 여야가 ‘김영란법’(부정청탁·금품수수 금지법) 제정안을 2월 임시국회에 통과시키기로 합의했는데 공직사회 일대에 대변화가 오게 될까? 공직자는 1년6개월 뒤인 내년 9월부터는 자신이나 배우자가 직무관련성이 없더라도 100만...
    Date2015.03.03
    Read More
  5. 북한, 미사일 발사, 한미, 키리졸브, 독수리 훈련 돌입

    북한, 미사일 발사, 한미, 키리졸브, 독수리 훈련 돌입 북한이 2일 새벽 남포일대에서 동해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한미양국군이 한미연합훈련인 키 리졸브(KR) 연습과 독수리(FE) 훈련을 시작하는 첫날로 이에 반발한 무력시위로 판단된다. ...
    Date2015.03.02
    Read More
  6. 박근혜 대통령, 1일 중동 4개국순방 출국

    박근혜 대통령, 1일 중동 4개국순방 출국 청와대 인선을 마친 박근혜 대통령이 3월1일 중동 4개국 순방을 위해 출국한다. 이번 순방은 박 대통령이 집권 3년차를 맞는 올해 첫 해외방문이다. 다음달 9일까지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카...
    Date2015.02.28
    Read More
  7.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 인선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 인선 <대통령 비서실장-이병기 국정원장, 후임 국정원장- 이병호 전안기부 2차장, 청와대 정무특보-주호영, 윤상현,김재원 의원, 홍보특보-김경재 전의원 내정>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신임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이병기 현 국정원장을 ...
    Date2015.02.27
    Read More
  8. 가계부채 "빨간불-매우심각", 정부 솔직해야

    가계부채 "빨간불-매우심각", 정부 솔직해야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1000조원이 넘어섰다. 가계부채 1000조에 중앙정부국채 500조 지방재정부채 100조 합이 1700조다. 이 심각한 상황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 우선 국민의 빚부터 냉정하고 솔직하게 짚어...
    Date2015.02.26
    Read More
  9. 헌법재판소, 간통죄 위헌, 62년만에 폐지

    헌법재판소, 간통죄 위헌, 62년만에 폐지 국가가 법률로 간통을 처벌하는 것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간통죄 처벌 규정은 제정된지 62년 만에 폐지됐다. 헌재 전원재판부는 26일 재판관 7대 2 의견으로 "형...
    Date2015.02.26
    Read More
  10. 국민 사드배치 55.8%찬성, 반대는 32.6%

    사드(THAAD·高고도 요격미사일), '전략적 모호'는 더 이상 答이 아니다 <특별기고> 홍관희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북한 김정은이 노동당 창건 기념일인 10월 10일까지 "전쟁 준비를 완성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김정은의 전쟁 준비 호언은 처음이 아니다. 2011...
    Date2015.02.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1 382 383 384 385 ... 552 Next
/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