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2020년까지 비즈니스를 창출, 2021년 이후부터는 시장 주도권을 확보해
3D프린팅연구조합은 12월 11일 (재)경남테크노파크 본부동 강당에서 ‘3D프린팅 기술동향 및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한다.
국내 3D프린팅 산업은 아직 선진국에 비교하여 보급률과 기술 수준은 부족한 실정이나 올해부터 정부부처에서 기술로드맵 수립 등으로 향후 미래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신산업으로 육성될 계획이다.
특히 경남 창원지역은 우주항공, 방산, 금형, 주조산업 등 기존산업에서 구조고도화를 위한 디지털 매뉴팩처링으로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3D프린팅 기술동향과 개발방향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한다.
3D프린팅연구조합 주최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양대학교 이재성 교수의 “한국 3D프린팅 기술로드맵 수립 방향과 전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낙규 박사의 “3D프린팅 활용 제조혁신 방안과 제조 현장 적용사례”, 재료연구소 유지훈 박사의 “3D프린틴용 금속분말 개발기술동향과 전망”, 재료연구소 이정환 박사의 “금형분야의 3D프린팅 응용사례와 기술이슈”, 두산중공업 조현철 박사의 “발전용 부품의 금속기반 3D프린팅 기술 활용 전망”, 3D프린팅연구조합 강민철 박사의 “3D프린터를 이용한 정밀주조/사형주조 기술동향”등 총 6개의 강연이 진행된다.
“10년내 3D프린팅 선도국가” 목표…정부 로드맵 공개
지난 25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3D프린팅 제조공정혁신 및 신시장 창출을 목적으로 종합적인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관련 업계의 의견을 듣는 공청회를 개최했다. 미래부와 산자부가 발표한 3D프린팅 기술 로드맵(안)에 따르면 정부는 3D프린터를 장비, 소재, 소프트웨어(SW) 3개 분과로 나눠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후 △치과용 의료기기 △인체 이식 의료기기 △맞춤형 치료물 △스마트 금형 △맞춤형 개인용품 △3D 전자부품 △수송기기 부품 △발전용 부품 △3D 프린팅 디자인 서비스 △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서비스까지 10대 핵심 활용 분야를 집중 개발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한국 3D 프린터 기업과 산업을 세계 정상급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017년까지는 단기적 부가가치 창출에 집중하고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3D 프린터를 통한 비즈니스를 창출, 2021년 이후부터는 시장 주도권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 3D프린팅 예산, 314억으로 2배 가까이 증액
내년 3D프린팅 사업 예산 살리기에 국회가 나섰다. 지난 25일 국회 및 정부당국에 따르면 국회 상임위를 통과해 예결위에 올라가 있는 내년 3D프린팅 사업 관련 예산은 미래창조과학부 214억원, 산업통상자원부 100억원 등 총 314억원이다. 이는 당초 두 부처가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올린 정부안 120억원(미래부), 55억원(산업부)과 비교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특히 기반조성 사업 예산이 확대돼 내년도 3D 프린팅 산업이 활성화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미래부가 200억원 규모로 추진했다가 20억원(정부안)으로 축소됐던 3D프린팅 기반구축사업 예산은 99억원으로 증액됐다. 여기에 3D프린팅 확산을 위한 인력양성 사업도 규모가 확대된다. 미래부 R&D 예산도 100억원에서 115억원으로 15억원 늘었다. 미래부는 3D프린팅 의료부문과 3D프린터와 모바일기기 연계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R&D 예산을 투자한다. 산업부 R&D 예산은 10억원이 유지됐지만 전국 거점별 3D프린팅 기술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 구축사업 예산이 45억원에서 90억원으로 갑절 늘었다.
예결위에서 다시 기재부와 논의를 해봐야겠지만 의원들은 증액된 예산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기재부가 책정한 예산지출한도(실링)를 넘지 않는다면 3D프린팅 부문에서의 증액된 예산이 반영될 가능성은 크다.
3D프린팅연구조합 신홍현 이사장은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지역특성에 맞는 국책관련 신사업을 발굴 중이며, 3D프린팅 소재 제조 혁신센터 등을 추진하고 있어 이번 세미나의 의미가 크다”라고 강조하고 “향후 3D프린팅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촉진해 전략산업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도시경쟁력 재창조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세미나를 통해 소재 및 3D프린팅 산업발전 및 정부 정책방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 기업들의 3D프린팅 관련 기술 활용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3D프린팅 산업은 아직 선진국에 비교하여 보급률과 기술 수준은 부족한 실정이나 올해부터 정부부처에서 기술로드맵 수립 등으로 향후 미래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신산업으로 육성될 계획이다.
특히 경남 창원지역은 우주항공, 방산, 금형, 주조산업 등 기존산업에서 구조고도화를 위한 디지털 매뉴팩처링으로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3D프린팅 기술동향과 개발방향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한다.
3D프린팅연구조합 주최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양대학교 이재성 교수의 “한국 3D프린팅 기술로드맵 수립 방향과 전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낙규 박사의 “3D프린팅 활용 제조혁신 방안과 제조 현장 적용사례”, 재료연구소 유지훈 박사의 “3D프린틴용 금속분말 개발기술동향과 전망”, 재료연구소 이정환 박사의 “금형분야의 3D프린팅 응용사례와 기술이슈”, 두산중공업 조현철 박사의 “발전용 부품의 금속기반 3D프린팅 기술 활용 전망”, 3D프린팅연구조합 강민철 박사의 “3D프린터를 이용한 정밀주조/사형주조 기술동향”등 총 6개의 강연이 진행된다.
“10년내 3D프린팅 선도국가” 목표…정부 로드맵 공개
지난 25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3D프린팅 제조공정혁신 및 신시장 창출을 목적으로 종합적인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관련 업계의 의견을 듣는 공청회를 개최했다. 미래부와 산자부가 발표한 3D프린팅 기술 로드맵(안)에 따르면 정부는 3D프린터를 장비, 소재, 소프트웨어(SW) 3개 분과로 나눠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후 △치과용 의료기기 △인체 이식 의료기기 △맞춤형 치료물 △스마트 금형 △맞춤형 개인용품 △3D 전자부품 △수송기기 부품 △발전용 부품 △3D 프린팅 디자인 서비스 △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서비스까지 10대 핵심 활용 분야를 집중 개발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한국 3D 프린터 기업과 산업을 세계 정상급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017년까지는 단기적 부가가치 창출에 집중하고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3D 프린터를 통한 비즈니스를 창출, 2021년 이후부터는 시장 주도권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 3D프린팅 예산, 314억으로 2배 가까이 증액
내년 3D프린팅 사업 예산 살리기에 국회가 나섰다. 지난 25일 국회 및 정부당국에 따르면 국회 상임위를 통과해 예결위에 올라가 있는 내년 3D프린팅 사업 관련 예산은 미래창조과학부 214억원, 산업통상자원부 100억원 등 총 314억원이다. 이는 당초 두 부처가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올린 정부안 120억원(미래부), 55억원(산업부)과 비교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특히 기반조성 사업 예산이 확대돼 내년도 3D 프린팅 산업이 활성화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미래부가 200억원 규모로 추진했다가 20억원(정부안)으로 축소됐던 3D프린팅 기반구축사업 예산은 99억원으로 증액됐다. 여기에 3D프린팅 확산을 위한 인력양성 사업도 규모가 확대된다. 미래부 R&D 예산도 100억원에서 115억원으로 15억원 늘었다. 미래부는 3D프린팅 의료부문과 3D프린터와 모바일기기 연계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R&D 예산을 투자한다. 산업부 R&D 예산은 10억원이 유지됐지만 전국 거점별 3D프린팅 기술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 구축사업 예산이 45억원에서 90억원으로 갑절 늘었다.
예결위에서 다시 기재부와 논의를 해봐야겠지만 의원들은 증액된 예산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기재부가 책정한 예산지출한도(실링)를 넘지 않는다면 3D프린팅 부문에서의 증액된 예산이 반영될 가능성은 크다.
3D프린팅연구조합 신홍현 이사장은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지역특성에 맞는 국책관련 신사업을 발굴 중이며, 3D프린팅 소재 제조 혁신센터 등을 추진하고 있어 이번 세미나의 의미가 크다”라고 강조하고 “향후 3D프린팅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촉진해 전략산업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도시경쟁력 재창조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세미나를 통해 소재 및 3D프린팅 산업발전 및 정부 정책방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 기업들의 3D프린팅 관련 기술 활용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홈페이지: http://www.dlche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