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전대책, 돈드는 수요관리 대신 강제수단 확대

posted May 31,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력수급 브리핑하는 윤상직 장관
전력수급 브리핑하는 윤상직 장관
(과천=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1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산자부 기자실에서 전력수급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3.5.31 photo@yna.co.kr

 

절전보조금 비난 부담·예산도 제한…위기 잘 넘길지 지켜봐야

 

  발전기 추가 고장 있으면 비상조치 필요…기온·습도가 변수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정부가 31일 발표한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강제 규제를 강화했다는 점이다.

 

2011년 겨울, 작년 겨울에 시행한 전력 사용량 의무 감축 제도를 하절기에 처음 시행하기로 했다.

 

계약전력 5천㎾ 이상인 건물 2천836곳은 부하변동률에 따라 사용량을 3∼15% 줄이도록 의무화했다. 코엑스나 인천공항 처럼 전기를 많이 쓰는 대형 건물 등이 그 대상에 포함된다.

 

작년 겨울에 3천㎾ 이상 계약자 5천255호를 대상으로 했던 것에 비해 범위는 줄었지만 감축량은 최대 10%에서 15%로 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절전 규제로 수요의 250만㎾를 줄이겠다고 계획하고 있다.

수요 억제책 중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지만 대상자에게 어떤 혜택도 주지 않고 이에 따라 비용 지출도 거의 없다.

 

반면에 산업체의 휴가 일정이나 조업시간을 조정하는 수요관리는 대폭 줄인다.

작년 여름에는 수요관리로 300만㎾를 감축하도록 계획했는데 올해는 이를 100만㎾로 축소했다.

 

수요관리는 기업이 조업에 차질을 빚은 것을 보상하는 의미로 절전 보조금을 지원하는 데 작년에 여기에 4천억원 가량을 지출하면서 큰 논란이 일었다.

정부 여름철 전력 수급 대책 발표
정부 여름철 전력 수급 대책 발표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정부가 공공기관 전력 20% 감축을 주요 내용으로 한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과 대책을 발표한 31일 오후 서울 중구의 한 전광판에 실시간 전력수급 현황이 정상을 가리키고 있다. 예비전력이 500만kW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전력거래소는 전력 수급 경보를 단계적으로 발령하고 있다. 2013. 5. 31 hihong@yna.co.kr

 

 

기획재정부에서 수요관리를 내년부터 폐지, 혹은 축소하기로 방침을 정했고 올해 예산도 2천500억원으로 작년 지출액보다 적다.

여기에 절전을 대가로 대기업에 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한 반발도 적지 않은 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대책은 규제는 강화하고 혜택은 대폭 줄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대규모 전력 계약자로서는 과거와 비교해 부담이 커진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만큼 상황이 절박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공공기관에 대해 7∼8월 사용량 15% 감축, 피크 사용량 20% 감축을 목표로 제시한 것은 정부가 먼저 고통분담을 하는 모양새를 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여름에는 휴가철이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하면 절전 할당량을 달성하는 것이 크게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택형 피크요금제는 수요를 분산하는 전략이다.

 

오후 2∼5시 사이에 전력 수요가 몰리고 여타 시간에는 비교적 공급 능력에 여유가 있는 점을 감안해 피크에는 요금을 3배 정도 비싸게 받고 나머지 시간은 싸게 받는다.

 

피크는 제도 도입 기간 두달 가운데 무더위가 절정을 이루는 약 10일의 특정 시간대에 국한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약 10일간 특정 시간대의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면 선택해서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현재 전력수급 이상무'
'현재 전력수급 이상무'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원전 3기가 추가 가동 중단되면서 올여름 유례없는 전력난이 우려되는 가운데 31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국전력거래소 긴급 전력수급 대책 상황실 관계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2013.5.31 saba@yna.co.kr
 
일반 가정에서도 일정한 신청과 검증 절차를 거쳐 절전에 따른 요금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절전 인센티브제를 도입한 것도 눈에 띈다.

전력 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지는 단언하기 쉽지 않다.

우선 5천㎾ 이상 계약자의 절전 목표를 3∼15%로 정했지만, 비교 대상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지난겨울에는 작년 12월 사용량에 비교해 1·2월 사용량을 10% 줄이도록 했더니 기업이 12월에 전력을 과다 사용하는 역효과가 나기도 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1일 "블랙아웃을 100% 배제할 수 없다"며 최악의 상황을 언급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주요 발전기에 추가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한다면 강도 높은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정부는 예비력이 300만∼500만㎾ 수준(준비·관심)일 때는 전압 하향 조정(70만㎾, 공공기관 비상발전기 가동(10만㎾) 등 조치를 취한다.

 

예비력이 100만∼300만㎾(주의·경계)까지 하락하면 공공기관 냉방 중지(25만㎾), 화력발전기 극대 출력 운전(30만㎾), 긴급절전(426개업체 150만㎾), 공공기관 자율단전(40만㎾) 등으로 대응 수위를 높인다.

 

한계치인 100만㎾가 붕괴하면 블랙아웃을 막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전국을 약 50개 구역으로 나눠 번갈아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순환 단전'을 실시한다.

2011년 발생한 9·15 순환단전이 반복되는 것이다.

 

그간의 경험에 비춰보면 원전의 사고나 고장이 없더라도 전력 수요는 기온·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날씨의 변화에 당국이 목을 매는 상황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sewonle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