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예술인 초대석> 여류 문인화가 우향 김동애

posted Oct 13,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보도자료 : YNews>

 


최근 미술계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화랑이나 옥션의 추이를 보면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대회화, 즉 서양화가 주류를 이룬다. 서울의 전통적인 화랑가인 인사동은 물론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강남의 주요 화랑들 역시 대부분 서양화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는 전문 콜렉터 뿐 아니라 일반 미술애호가들의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미술과 수요자의 소통이 일방적이고 편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을 반증한다. 이처럼 미술계에서 홀대를 받고 있지만, 한국 회화사에서 전통의 본류는 동양화였다. 그 중 문인화는 '문인'이라는 시대의 엘리트가 당대의 덕목과 자신의 사상을 회화 형태로 표출한 독특한 양식으로 오랫동안 동양회화에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해 왔다.

고대 중국에서 삼절(시, 서, 화)을 근간으로 전개돼 온 문인화는 문인지화, 즉 문인이 그린 그림이라는 의미로 역사 속에서 이들 문인이 지녔던 인문주의 발현의 한 산물로서 이루어졌고 지금까지 전래되어 왔다. 작가의 높은 인격과 사상으로 시적인 분위기 속에 흥취된 상태에서 어떤 화풍이나 기교에 구애됨이 없이 맑은 정신 상태에서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고 우러나오는 감정을 표현한 문인화는 작가의 수양된 인품이 나타나며 감상하는 사람에게는 그윽하고 청아한 감정이 일어나도록 한다. 형식적으로는 지필묵을 중심으로 한 고유한 조형체계와 내용으로는 독화라는 독특한 감상체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조형과 감상체계는 독자적인 안전성을 지니는 것으로, 여타 회화와는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예술가는 있어도 장인은 없다'는 말이 회자되고 있는 국내 미술계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미학세계를 경주하고 있는 작가가 있다. 다변적인 현대 미술계에서 조용히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정립해 가고 있는 문인화가 우향 김동애 작가가 그 주인공. 미술에 대한 끊임없는 애정과 노력을 쏟으며 자신의 내면세계와 예술가로서의 자화상을 투영하고 있는 김동애 작가가 자신만의 감수성이 담긴 예술세계를 꽃피우며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온고지신'이란 옛것을 이어받아 새것을 발전시킨다는 뜻으로 옛것에 토대를 두되 그것을 변화시킬 줄 알고 새것을 만들되 근본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김동애 작가는 정통서예와 문인화를 바탕으로 현대문인화를 개척하고 있는 국내화단의 역량 있는 여류작가로 전통의 방식을 중시하면서도 작가 자신의 주관적인 통찰을 통해 전통회화의 기법을 더욱더 넓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즉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현대적인 미적 감수성에 부응하는 새로운 틀을 만들어 내려고 절치부심 문인화에 매진하고 있다.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문인화의 새로운 가치와 현대미술로서의 생존가능성을 모색해 온 그녀는 한국의 정신이라 할 수 있는 선비정신과 전통 문인화의 가치에 충실하면서도 창작정신을 추구하며 사군자를 비롯한 다양한 소재를 현대인의 시각에서 감정이입, 시대정신을 생동감 있게 보여주고 있다.

김동애 작가는 서예가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동양미술을 가까이에서 보고 접하면서 미술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동양화를 주로 그렸다. 이후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사군자를 비롯한 문인화에 매진한지도 어언 27년. 그녀의 작품은 서정적이지만 생동감 있고, 참신하며 창의적이다. 그녀의 작품은 문인화가 갖춰야 할 전통기법은 물론 세련되고 노련한 작가의 필치가 훌륭하게 병치를 이루고 있는데 정형화된 소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소재의 배치 및 구성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선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정된 주제로 작품의 모티브를 제약하기보다는 일상의 다양한 테마들을 그만의 메타포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데 현장에서 떠오르는 직관을 생생히 전달하고자 하는 그녀의 노력은 화폭에서도 거침없는 필선과 다양한 형식으로 고스란히 묻어난다. 필묵 사이에 농담을 잘 나타내어 먹색이 맑고 오랜 시간 동안 그렸던 소재인 '난'에서는 담백하면서도 우아한 격조가 느껴진다. 난 이외에도 화실 풍경, 고양이, 사군자 등을 소재로 일상의 생생한 예술세계를 펼치고 있다.

동양미술에는 은유적이고 상념적이며 정적인 요소가 잘 표현돼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소재와 기법으로 화가의 감성과 내면세계를 담아낸 작품이 유통과정을 겪으면서 시장성이라는 결과만이 중시돼 최근 미술계에서는 전통미술 존재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대학에서조차 동양화과가 점점 사라지는 추세로 우리의 정서가 깊게 배인 학문의 입지가 좁아지고 우리의 것에 대한 가치도 역사 속에 묻혀가고 있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을 모르는 이는 거의 없지만, 그 뒤를 이어 한국미술을 지키고 이끌었던 화가들은 미술에 관심이 많지 않은 사람들이라면 잘 알지 못한다. "미술의 기본은 그 민족의 정체성에서 출발한다"는 김동애 작가는 "우리 미술이 현실생활에 기반을 둔 역사, 전통을 아우르는 넓은 의미의 국민의식을 가꾸는 길을 열어가야 한다. 창작의 주체자들 또한 스스로 자긍심을 갖고 매진해야 함은 당연하다"고 역설했다.

문인화를 그릴수록 문인화가 가지는 여백과 선, 오묘한 필묵의 조화에 심취한다는 김 작가는 "하얀 화선지를 펴 놓고 먹을 갈 때 느끼는 그 희열과 빈 화선지 위에 고운 선을 수놓는다는 느낌은 그야말로 문인화만이 가지는 매력이다. 화선지 위에 먹선 하나로 마음을 전달하고자 긋는 것 자체로만으로도 깨달음을 주고 얻기도 하는 문인화는 마음을 치유하는 미술"이라고 한다.

한국미술협회 문인화분과 부위원장, 한국문인화협회 부이사장, 추계예술대학교 경기대학교 동양화 학과 강사 등을 역임하며 한국의 문인화 발전에 구심점이 되고 있는 김동애 작가는 "현대문인화는 문인화가 가지고 있는 문인의 정취, 격조, 품격의 기본적인 정서를 내포해 표현하는 것으로 그림에 문인의 정취와 선비다운 진솔한 마음이 들어간다면 그 진정성은 현대사회를 사는 우리에게 자연스레 전달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애 작가는 작년 10월 월전문화재단에서 초대 작가로 선정되어 한벽원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는데 이는 문인화 부문에서 초대를 받은 중견 작가로서는 처음 있는 일로 한국화단에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김동애 작가
▲아호: 우향(雨香), 혜심(蕙心)
▲당호: 옥수루(玉水樓)
-동덕여대 미술대학 동양화학과 졸업
-이화여대 대학원 미술대학 동양화학과 졸업
-한국미술협회 문인화분과 부위원장
-한국문인화협회 부이사장
-추계예술대학교, 경기대학교 동양화학과 강사 역임
-대전대 서예, 문인화과 출강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Articles

285 286 287 288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