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종 국회의원, 당 대표는 대선보다 민생과 국회, 총선을 걱정해야...

posted Sep 30,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포츠닷컴/최혜빈기자]

 

홍문종 국회의원, 당 대표는 대선보다 민생과 국회, 총선을 걱정해야...

 

9월 29일(월) 첫 회의를 시작한 새누리당의 혁신위는 공식적인 활동이 시작되기 이전부터 혁신위원 선임과정에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가 많았다.

 

지난 18일, 당내 개혁성향 초재선이라는 1차 혁신위원의 대부분이 김대표와 가까운 비박계 의원이 선임된 이후, 당내에서 유기준, 홍문종의원 등이 “당내의 의견수렴과 소통이 없었다”는 비판이 있었다.

하지만, 25일 발표된 2차 혁신위원 명단에 홍준표지사, 원희룡지사, 나경원의원 등 소위차기 잠룡이라는 평가를 받는 인사들이 거론되면서 “혁신위가 차기 대선주자들의 놀이터”냐는 비아냥 섞인 비판까지 나오게 되었다.

 

‘김무성표 혁신위’가 당내의 ‘박근혜 색깔 지우기’를 위한 도구가 아니냐는 의문이 일부에서 제기되는 상황에서, 29일(월) 새누리당 혁신위 비공개 회의에서 김무성 대표는 “이대로 가면 다음 대선에서 100% 진다”라는 발언을 통해 차후 혁신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기하였다.

김무성 대표의 대권을 의식한 발언을 가지고 홍문종 의원은 “당 대표는 대선보다는 국회와 민심, 그리고 총선을 먼저 걱정해야 한다”는 글을 30일(화), 오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김무성 혁신위를 향한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다.

 

아래는 홍문종 의원이 올린 블로그 전문이다.

 

당 대표는 대선을 생각하기 전에 총선부터 생각해 주길 당부드린다.

대선도 중요하고 정권재창출도 중요하지만, 그러나 지금의 당 대표는 민생과 국회 그리고 총선을 걱정해야 한다. 3년도 넘게 남은 대선보다 1년 반 앞으로 다가온 총선이 새누리당에게는 더 중요하다.

백번 양보해서 대선을 생각한다 하더라도, 지금 지리멸렬하는 야당을 보면서 우리도 각성하자는 취지의 논조는 이해하지만 지금 이대로는 다음 대선에서 100%진다는 말씀을 지나치다 못해 화가 나기까지 한다.

이제 대통령 취임 1년 7개월째이다. 대선이 3년도 넘게 남은 시점에서 마치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국민을 크게 실망시켜 회복불능 상대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지금은 대선보다는 국민과 민생이 우선이다.

 

9월30일(국회)-부좌현 의원, “안일한 업무처리로 한울원전 7일간 정지”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부좌현 의원, “안일한 업무처리로 한울원전 7일간 정지”

 

-신규직원에 2가지 일을 동시에 kxrlaus서 작업방법은 명확히 설명하지 않아

-‘중요작업’을 ‘일반작업’으로 잘못 분류, 밸브조작 금지에 관한 지시도 누락하여 발전기 정지

-부좌현 의원, “대형 참사는 사소한 실수에서 비롯. 사전 교육 철저히 해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부좌현 의원(경기 안산 단원을)은 ‘2013년 7월 5일 발생한 한울원전 5호기의 정지원인은 안일한 업무처리가 그 원인이었다’고 밝혔다.

 

부좌현의원실이 한국수력원자력 (이하, 한수원)으로부터 지난 4월 실시한 자체 감사 결과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고, 당시 한울 5호기의 밸브 분해정비 작업을 진행하던 중 해당 작업에 대한 사전숙지가 미흡한 현장운전원이 조작하지 말아야 할 밸브를 개방하여 터빈발전기가 정치되었고, 이후 원자로도 정지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문제는 안일한 업무처리에 있었다. 취출수 계통 밸브 정지작업은 ‘중요작업’으로 분류하여 작업 전에 관련 부서 직원 전체가 모여서 유의사항을 점검, 논의한 뒤 이를 공유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하지만 당시 현장운전원은 3개월밖에 되지 않은 신규직원이었고, 모든 밸브를 잘 알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위 작업을 ‘일반작업’으로 분류하여 담당 팀장에게 보고하였고, 보고받은 담당 팀장은 그대로 승인했던 것이다.

 

또한, 담당 팀장은 이 신규직원에게 2가지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게 했다. 만약 2가지 작업을 그날 꼭 해야 할 상황이라면, 어느 작업을 먼저 하고 그 결과는 어떻게 보고한 뒤, 다음 작업은 언제부터 하라고 하는 등 작업 방법을 명확하게 알려 주어야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신규직원에게 작업지시를 할 때 밸브 조작 금지에 관한 지시도 일부 누락했다. 대기에 연결된 밸브를 조작하지 말아야 하는 유의사항은 전달되지 않았다.

 

결국, 신규직원은 조작을 해서는 안 되는 밸브를 조작, 개발하는 실수를 했고, 그에 따라 터빈발전기가 정지되었고 원자로까지 정지되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부좌현 의원은 “대형 참사는 사소한 실수에서 비롯되기마련”이라며, “한수원은 원전운전과 관련된 모든 교육과정을 다시 한번 세밀하게 점검하여 다시는 이와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한펀, 한울원전 5호기는 이 사고로 7월 5일 정지되었고, 7월 11일 재가동승인을 거쳐 7월 12일 발전을 재개함으로써 총 7일간 정지됐었다.

 

 

www.newssports25.com

최혜빈 기자 chb0508@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