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매방지법 시행 10주년 공동기자 회견

posted Sep 22,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강남구 기자/스포츠닷컴]

 

2014. 9. 22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국회의원 남윤인순,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여성인권위원회,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성매매근절을위한한소리회, 여성지원시설전국협의회, 한국여성단체연합 등이 공동주최하여 ‘ 성매매방지법 시행 10주년 공동기자회견’을 위한 자리를 가졌다.

 

2004년 재정된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과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9월23일이면 시행 10주년을 맞이한다.

 

2000년 9월 군산 대명동 화재와 2002년 1월 발생한 군산 개복동 화재참사는 한국사회 성산업과 성매매현실, 여성들의 인권상황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준 사건이었다.

 

성산업의 확장을 방관하고 더 이상 여성인권상황을 묵인해서는 안 된다는 사회적 공감대는 성매매 문제를 사회문제화 하였으며, 법제정으로 이어져 우리사회 변화를 추진해 왔다.

지난 10년 동안 성산업에 대응하는 국가책임을 강화하면서 성매매피해자들을 보호지원하기 위한 제도와 시스템을 만드는데 많은 역할을 해왔다.

 

우리의 도전은 지배적인 사회통념과 맞서 싸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성착취피해 여성들을 구조지원함과 동시에 성산업 착취구조의 실체를 밝혀내면서 해체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은폐되어 온 성매매알선, 유인, 권유, 장소제공 및 광고행위의 실체와 성매매 현장의 폭력성과 여성들의 인권상황을 밝혀내면서 수사기관에서 법정까지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 10년을 맞이하는 현재, 성매매는 사회적 약자와 취약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행해지는 폭력으로 반인권적인 행위임을 사회구성원들은 다시한번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성산업과 성매매업주들의 자유시장주의에 기반한 저항과 전지구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성착취 현상은 결코 만만치 않으며 오히려 법을 무력화 시키면서 입지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전 세계 성매매 시장규모는 연간 186억 달러에 이르며, 약 4천만명 이상이 연관되어 있으며 이들 중 75% 이상이 13~25세 사이의 여성과 아동들(European Parliament, 2014)이라고 유럽의회보고서는 강조하고 있다.

 

성매매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그 누구도 자유롭지 않다.

성매매현장에서 경찰 등 공권력의 부정과 부패, 유착비리, 자신의 이익을 위해 여성들을 ‘돈’과 위계, 위력으로 통제하는 알선업자, 성매수자들의 폭력은 여성들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성산업 확장과 성매매에 관대한 사회적 가치가 ‘부패’와 ‘불공정‘을 키우는 현장을 우리는 강력히 거부한다.

 

 

이에 우리는 성매매방지법 시행 10주년을 맞이하여 성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성산업착취구조를 해체하고 성매매여성이 비범죄화 되어야 함을 다시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촉구한다.

 

1. 강력한 수요차단 정책으로 성매매알선자 및 성구매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라.

2. 다양하고 법의 사각지대로 파고드는 성산업에 적극 대응하라.

3. 성매매여성을 비범죄화 하고 탈성매매 정책을 확대 강화하라.

 

역사는 우리에게 성 평등한 세상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예전으로 후퇴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성착취 근절과 성매매여성 비범죄화를 위해 전진할 것ㄹ이다.

 

www.newssports25.com

강남구기자 gu0357@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