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발생은 감소, 사망자와 재산피해는 급증

posted Aug 29,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화재발생은 감소, 사망자와 재산피해는 급증

‘13년 화재발생 사망자 307명[전년대비 15% 증가]

-화재발생 133건당 1명꼴로 사망자 발생 [12년은 162건당 1명]

‘13년 화재 재산피해 4,300억원 달해

전년대비 무려 50% 급증해

 

화재로 인한 사고건수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사망자와 재산피해가 늘고 있어 신속한 생명구조와 대응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구조 매뉴얼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남.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조원진 의원(새누리, 대구 달서병)이 ‘최근 4년간 화재발생 및 인명. 재산피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화재발생 건수는 2011년 43,875건, 2012년 43,249건, 2013년 40,932건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반면, 화재로 인한 사마자수는 2011년 263명, 2012년 267명에서 2013년 307명으로 전년대비 무려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튿히 2014년 6월 현재 화재로 인한 사망자 수도 188명에 달함.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액 역시 2011년 2,565억에서 2012년 2,895억에서 2013년 4,344억으로 전년대비 무려 50% 급증하였음.

 

<최근 4년간 화재발생 및 인명, 재산 피해 현황>

 

구분

2011년

2012년

2013

2014.6월

발생건수

43,875

43,249

40,932

23,743

 

소개

1,862

2,223

2,206

1,195

 

사망

263

267

307

188

 

부상

1,599

1,956

1,877

1,007

재산피해

256,548

289,526

434,462

215,872

건당 재산피해액

5.8

6.7

10.6

9

 

조원진 의원실의 분석에 따르면,

화재 건강 사망자 수는 2011년 167건당 1명, 2012년 162건당 1명, 2013년 133건당 1명으로 화재 건당 사망자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남.

 

또한 화재 1건당 피해액도 2011년 건당 580만원, 2012년 건강 670만원, 2013년 건당 1,060만원으로 화재 1건당 피해규모액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남.

 

한편 소방방재청 제출한 ‘최근 2년간 소방차출동 지연사유별 현황’에 따르면 소방차출동 지연건수는 2013년 234건, 2014년 6월 현재 122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교통 혼잡은 202건, 불법주차는 154건으로 나타남.

 

<최근 2년간 소망차출동 지연사유별 현황>

 

연도

총 화재건수

출동지연

 

 

134

100

234

2013년

40,932

134

100

234

2014, 6월

23,743

68

54

122

 

이에 대해 조원진 의원은,

 

"화재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출동과 초기대응능력임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하는 것은 소방방재청의 골든타임 구조매뉴얼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골든타임 구조매뉴얼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와 함게 소방차 출동을 지연시키는 교통 혼잡과 불법주차 등 시민들의 의식개선을 필요하다."고 주장함.

 

www.newssports25.com

최혜빈 기자 chb0508@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