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콕샤롭카 발해 유적 발굴조사 성과 공개

posted Aug 25,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석축 구조물은 대형 판석을 최대 4단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고고학역사학민속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시행한 러시아 연해주 콕샤롭카 발해 유적의 제7차 발굴조사를 완료하고, 그 성과를 공개한다.

콕샤롭카 유적은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된 발해 유적 중 가장 북단에 위치하여 전성기 발해의 영역 확장과 관련하여 주목받아 왔다. 올해는 연차 발굴의 최종 조사로서 성 외곽의 석축 구조물과 성벽, 해자 구간을 조사하였다.

석축 구조물은 대형 판석을 최대 4단으로 쌓아 기단을 만들고, 상부에 담장과 ‘ㅁ’자형 공간, 계단, 기둥 등을 시설한 것이다. 이 구조물은 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 시신이 매장된 부분)는 불분명하나 금제드리개장식, 은제허리띠장식, 은제못, 청동팔찌 등 출토 유물로 미루어 무덤으로 추정되며, 장례 이후 공간을 확장하여 제단으로 장기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석축 구조물에서 8~9세기 위구르 양식의 토기가 출토되었는데, 이 유물은 당·일본·신라·돌궐 등과 광범위한 교역 경로를 운영한 발해의 국제교류 양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

※ 위구르(uighur): 몽골고원과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활약한 투르크 계통의 민족

아울러 성벽과 해자(垓字)에 대한 단면 조사를 통해 축조 방법과 조영(造營)·존속시기를 확인하였다. 성벽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흙더미를 교대로 쌓아 올린 후 깬 돌(할석)로 상부를 보강하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출토 유물은 발해의 특징적인 직육면체 토제품을 비롯하여 전형적인 발해 토기와 동물 뼈 등이 발견되었다. 성벽은 발해 대에 축조한 후 증축하여 여진 대까지 장기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발굴조사가 해동성국 발해의 동북 방면 진출 양상과 주변 민족 간 교류관계 연구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이러한 조사 성과를 종합한 발굴보고서를 2015년에 간행할 예정이다.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Articles

305 306 307 308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