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中企 '일감 나누기' 확산 전망

posted May 2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재계, 中企 '일감 나누기' 확산 전망>

 

현대차 이어 LG 4천억 규모 계열사간 거래물량 중기에 개방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현대차그룹에 이어 LG그룹이 중소기업에 제공할 일감의 목표치를 공개하는 등 대기업의 '일감 나누기'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초 삼성·현대차·LG·SK 등 4대 그룹이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관행을 자제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가시적인 조치인 셈이다.

 

여기에는 '동반성장'을 국정운영의 핵심기조 가운데 하나로 내걸고 강하게 드라이브를 거는 새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LG는 SI(시스템통합)·광고·건설 분야에서 연간 4천억원 규모의 계열사간 거래 물량을 중소기업에 개방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달 광고·물류 분야에서 연간 6천억원 규모의 일감을 중소기업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당초 관련 계열사들에 돌아가던 일감을 직접 발주하거나 경쟁입찰로 전환해 그룹과 관계없는 중소기업에 제공한다는 것이다.

 

4대 그룹은 지난해 1월 일감 몰아주기 자제 선언 이후 외부 경쟁입찰 비중을 늘리고 내부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지난해부터 삼성전자[005930] 등 주요 계열사에 내부거래위원회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으며, SK도 그룹 계열사 간의 SI 거래 물량을 축소하고 있다.

 

하지만 연간 목표액을 못박는 등 구체적인 형태의 계획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스스로를 강제할 강도 높은 수단과 외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잣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앞서 '알아서 잘 해나가겠다'는 차원의 일감 몰아주기 자제 선언보다 진일보했다는 평가다.

 

한 그룹의 여러 계열사가 원료·부품·제품생산·판매·마케팅·물류 등 관련 사업의 전 과정을 나눠 맡는 일감 몰아주기는, 이른바 '수직 계열화'라는 경쟁력 제고 전략으로서 주요 대기업들마다 관행화돼 있다.

 

하지만 도가 지나쳐 공정거래 질서를 해치고 사회 전반의 창의력을 저해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해지자, 재벌 그룹들이 '땅짚고 헤엄치기'식 사업을 한다는 비판 여론과 함께 정치·사회적 견제가 강화되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공정거래위원의 주선으로 지난해 초 4대 그룹의 일감 몰아주기 자제 선언이 나왔으나, 개선 정도나 속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정위는 올 1월 재벌그룹의 일감 몰아주기 등 부당 내부거래 행태에 '검찰 고발'이라는 강경책을 들고 나오기도 했다.

 

쉽게 개선되지 않던 대기업들이 최근 '일감 나누기'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정부가 '창조경제'와 함께 경제성장 전략으로 내세우는 '동반성장'에 민간기업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힘을 보태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대기업 중심의 불균형성장에서 중소기업과 함께하는 동반성장으로 경제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의 '일감 나누기'는 4대 그룹을 비롯한 재계 전반으로 빠르게 파급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abullapi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5/20 11:54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