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진드기' 의심 신고환자 5명..1명 사망

posted May 16,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병관리본부가 SFTS 바이러스가 발견됐다고 밝힌 국내에 서식하는
 '작은소참진드기'의 형태. 왼쪽부터 암컷, 수컷, 약충, 유충.(자료사진)

 

다음주 SFTS 바이러스 여부 판명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하채림 기자 = 진드기로부터 바이러스에 감염돼 나타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의심 환자가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5명 보고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 의심 환자 가운데 1명은 목숨을 잃은 가운데, 다음주면 사망자의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가 드러날 전망이다.

16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의료기관 등을 통해 SFTS 의심 환자로 신고된 사례는 모두 5건. 이들은 대부분 발열·구토·설사 등 대표적 SFTS 증상을 보이는 동시에 진드기에 물린 흔적이 있거나 환자 본인이 진드기에 물렸다고 주장하는 경우로 알려졌다.

5명 가운데 제주도에서 과수원을 경작하며 소를 기르는 강모(73·서귀포시 표선면)씨는 제주대병원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다가 이날 오전 숨졌다.

나머지 4명 중 2명은 증상이 가벼워 이미 퇴원했지만, 2명은 아직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증' 상태다.

질병관리본부는 사망한 강 모씨의 혈액을 지난 10일 채취해 국립보건원에 역학조사를 의뢰했다. 보통 바이러스 분리와 확인에 2주 정도가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다음주 중반께 SFTS 확진 여부가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 살인 진드기 의심환자 현황(종합)
<그래픽> 살인 진드기 의심환자 현황(종합)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16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의료기관 등을 통해 SFTS 의심 환자로 신고된 사례는 모두 5건. 이들은 대부분 발열·구토·설사 등 대표적 SFTS 증상을 보이는 동시에 진드기에 물린 흔적이 있거나 환자 본인이 진드기에 물렸다고 주장하는 경우로 알려졌다. jin34@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과장은 "바이러스가 있다면 다음주 중에는 SFTS 바이러스 환자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바이러스에 분리에 실패해 결과가 아예 나오지 않을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나머지 의심환자들의 상태에 대해 "2명이 아직 입원 중이지만, 현재까지 상태로 봐서는 심각한 정도는 아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을 뿐,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에 SFTS의 매개체인 '작은소참진드기'가 서식해왔고 최근 조사를 통해 이 진드기들이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만큼 언제라도 국내에서 SFTS 환자가 발견될 수 있다"며 "하지만 이 감염병의 위험 정도가 일본뇌염 등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곤충 매개 감염병에 비해 큰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웃 일본의 경우 지난 1월 이른바 '살인 진드기'에 물린 SFTS 사망자가 처음 보고된 뒤 지금까지 8명의 감염자가 확인됐고, 이 가운데 5명이 목숨을 잃었다.

shk999@yna.co.kr

tr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