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궤도 환경위성 핵심기술 해외공동개발 첫발 내딛어

posted May 13,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13일 항공우주연구원-미국 볼에어로스페이스사 환경탑재체 공동개발 조인식 개최

 

 

환경위성분야 핵심기술(정지궤도 초분광영상탑재체)의 자립화와 환경위성을 통한 기후 및 대기환경 감시·관리 역량 강화 기대

 

대한민국이 세계 3대 정지궤도 환경위성 보유국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됐다.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국립환경과학원은 13일 대전 유성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미국 볼에어로스페이스(Ball Aerospace&Technologies corporation, 이하 ‘BATC')사와 정부 공동 정지궤도 복합위성 사업의 일환인 환경위성 탑재체의 공동개발계약 조인식이 개최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발계약은 환경부와 환경과학원이 추진 중인 정지궤도 환경위성 탑재체의 개발 주관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과 미국 볼에어로스페이스사 간에 체결된다.

환경부와 환경과학원은 미래부, 해수부, 기상청과 공동으로 2018년 발사예정인 정지궤도 복합위성 사업을 진행하며 동북아 및 한반도의 기후·대기환경을 감시하는 환경위성 탑재체 개발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2012년 9월 항우연과 개발협약을 맺고 2013년 4월까지 해외입찰을 위한 제안요구서 작성과 공고, 제안서 평가와 계약협상을 완료했으며, 5월 13일 BATC사와 최종 계

약을 체결하게 됐다.

 

계약 내용은 2017년 5월까지 환경위성 탑재체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환경부는 환경탑재체 개발을 추진하면서 우주/환경분야 핵심기술의 자립화 전략을 세우고 핵심기술 자립도를 현재 57%에서 2018년 78%까지 높이기 위해 단순 구매가 아닌 실질적인 해외공동개발 형태로 개발을 추진했다.

이번 계약으로 우리나라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친환경 로켓엔진 추진체 개발사업자이기도 한 BATC사와의 공동개발로 우수한 노하우를 공유하게 되며 후속 위성을 국내 주도하에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게 됐다.

특히, 환경위성분야 핵심기술인 우주 3만 6,000km 상공에서 지구 대기환경을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서로 다른 파장 약 1,000여개를 이용해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최첨단 초분

광영상 전자광학탑재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미 확보하고 있던 고해상도 위성카메라 기술에 이어 우주/환경분야 핵심기술인 초분광영상 전자광학탑재체 기술 확보가 가능해져 관련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고용창출 효과도 함께 기대된다.

 

또한, 2018년 발사 예정인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우리나라는 현재 미국이 2017년 발사를 목표로 추진 중인 TEMPO※, 유럽에서 2018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Sentinel-4※※와 함께 세계 3대 정지궤도 환경위성 보유국으로서의 위상을 갖게 된다.

 ※ TEMPO : 미국 NASA에서 추진 중인 북미 대륙 기후-대기환경 관측용 정지궤도 환경위성으로 사양 및 관측항목은 우리나라와 동일 ※※ Sentinel-4 : 유럽대륙 관측을 위해 유럽 ESA에서 추진 중이며 역시 우리나라와 관측항목 등 사양 동일

 

현재까지 정지궤도 환경위성은 존재하지 않으며, 2017년 TEMPO를 시작으로 3개의 위성이 발사돼 활용될 경우 기후?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많은 북반구 내 주요 지역에 대한 관측과 함께 범지구적 대책을 마련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에 급격한 산업화로 기후변화 유발 물질과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의 관계자는 “이번 공동개발계약 체결로 환경위성 개발의 기술적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며 “향후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한반도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민의 안전한 삶을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와 환경과학원은 정지궤도 환경위성이 관측한 이산화질소(NO2), 이산화황(SO2), 오존(O3), 폼알데하이드(HCHO), 에어로졸 등 기후변화유발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그동안 취약했던 동북아 지역의 단기 체류 기후변화유발물질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및 장거리 이동현상에 대한 상시적인 모니터링과 국민 건강에 유해가 되는 정보 제공 등을 신속히 대국민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붙임 : 환경위성 탑재체 설명자료. 1부.  끝.

 

 

www.newssports25.com

최혜빈 기자 chb0508@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Articles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