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전기공급 1/10로 줄여…하루 3천㎾수준 공급(종합2보)

posted May 06,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성공단 전기공급 1/10로 줄여…하루 3천㎾수준 공급(종합2보)

 

정부
정부 "北, 대화 나와 개성공단 해결해야"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이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은 대화에 나와 개성공단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발언하고 있다. 2013.5.6 srbaek@yna.co.kr
-----------------------------------------------------------------------------------------------
 

류길재 "지난달 27일부터 줄여"…당국자 "단전·단수 이뤄지지 않아"

 

정부 "대화의 장에서 개성공단 문제 해결" 北에 거듭 촉구

 

(서울=연합뉴스) 옥철 홍제성 기자 = 정부는 개성공단의 전력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현재 최소한의 전력만 남에서 북쪽으로 송전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개성공단에 대한 전력공급 문제와 관련, "조명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최소한(의 전력)이 가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한전 직원이 돌아와서 현재 관리 인력이 없다"면서 "물리적으로는 전기가 (남에서 북으로) 흘러가는데 결정적 장애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우리 측은 경기도 문산변전소를 거쳐 16㎞의 154㎸ 송전선로를 따라 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보내왔다. 평화변전소의 총 용량은 10만㎾ 수준이다.

 

한전 관계자는 "평화변전소의 총용량이 10만㎾였지만 실제로 그만큼 보내는 것은 아니다"면서 "평소에는 총용량의 1/3에서 절반 정도 사이만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문산변전소를 통해 개성공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복합발전소.(자료사진)
 
이 관계자는 "전력공급량이 축소됨에 따라 개성공단에 실제로 들어가는 전력량은 현재 하루 3천㎾ 안팎의 수준"이라고 전했다.
 

그는 "그 정도면 공단 내 관리 사무동의 전등 점등 등에는 충분하고 정수장도 돌릴 수 있는 규모"라면서 "3천㎾면 일반 가정용으로 치면 3천가구 정도 전기를 댈 수 있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개성공단으로 송전되는 전력은 월고 저수지 등의 정배수장에도 공급돼 왔다.

 

이와 관련,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문산변전소를 통해 하루에 10만KW가 가던데 10분의 1로 줄었다"는 질의에 "4월 27일부터 줄였다. 공단의 정상운영이 안된게 한 달 정도됐다. 많은 양이 필요 없어 송전이 아닌 배전방식으로 줄였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측 인원이 철수한 직후 전력공급량을 대폭 줄인 것이 아니라 가동중단 사태로 인해 수요량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공급량이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파주시 자유로 개성공단과 연결된 문산변전소의 송전탑.(자료사진)
 
이 당국자는 "전력 수요량이 준 것은 지난달 9일 북측 근로자의 출근 중단 이후 가동이 중단된 후부터라고 보면 된다"면서 "갑작스럽게 정부가 대폭 축소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우리 측 잔류인원이 무사귀환한 뒤에 개성공단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단전 등 사후조치에 대한 입장을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단전·단수는 일단 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김형석 대변인은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 적대 행위와 군사적 도발을 중지하라'는 북한 국방위원회의 전날 주장과 관련, "이해할 수 없는 부당한 주장"이라면서 "대화의 장으로 나와 개성공단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북측에 촉구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이 우리 및 국제사회가 제시하는 변화의 길로 나옴으로써 책임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행동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측이 실무 협의과정에서 요구한 군 통신선 및 판문점 채널 재개에 대해서는 "북한이 현재까지 변화된 입장을 알려오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또 입주기업 피해 실태조사와 관련해서는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주내에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js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5/06 11:56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