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방문 中·日 쇼핑관광객 불만, 무엇인가?

posted May 10,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 방문 中·日 쇼핑관광객 불만, 무엇인가?

 

48.png 

 

        중국인 관광객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일본인 관광객은 지나친 상품구입 강요

 

[류재복 대기자]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일본인 관광객은 지나친 상품구입 강요가 가장 큰 불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최근 한국 관광을 마치고 출국하는 중국인 150명, 일본인 150명을 대상으로 쇼핑실태를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 쇼핑할 때 가장 불편한 사항으로 중국인은 ‘언어소통 불편’(57.3%)을, 일본인은 ‘상품구입 강요’(29.3%)를 꼽았다.

 

중국인은 '언어소통 불편'에 이어 ‘안내표지판 부족’(34.0%), ‘불편한 교통’(21.3%), ‘비싼 가격’(17.3%)을, 일본인은 '상품구입 강요'에 이어‘언어소통 불편’(22.7%), ‘안내표지판 부족’(21.3%), ‘종업원 불친절’(16.7%)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1990년대 중반부터 한국을 찾는 일본인이 꾸준히 늘다보니 명동, 남대문을 비롯한 주요 관광지에 일본어를 할 수 있는 상인은 늘었지만, 지난 5년새 3배 가까이 급증한 중국 관광객을 응대할 수 있는 상인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5년간 한국을 찾은 중국인 입국자수는 연평균 34.1%씩 성장했다. 특히 지난해는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이 433만명으로 외국인 출입국 조사를 실시한 이후 처음으로 일본 입국자 수를 넘어섰다. 관광을 목적으로 한 입국자 수도 중국인이 314만명으로 일본인 263만명을 앞질렀다.

 

대한상의는 “중국인은 환승관광 무비자 입국 등 출입국 절차가 간소화되어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으나 일본은 엔화약세의 영향으로 관광객이 줄어들고 있다”며 “중국 관광객을 사로잡기 위해 유통현장에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어 회화 가능자를 채용하고 중국어 쇼핑안내 방송 운영, 쇼핑정보가 담긴 안내책자를 제공하는 등의 전략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상품구입 강요, 바가지 요금은 외국인 관광객이 관광불편처리센터를 통해 신고할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고,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엄중 처벌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인은 환승관광 무비자 입국 등 출입국 간소화

    일본은 엔화약세의 영향으로 관광객이 줄어

 

중국인과 일본인은 자주 찾는 쇼핑 장소로 모두 '명동'을 꼽았다. 중국인은 '명동'(86.7%), ‘동대문’(72.0%), ‘인사동’(28.7%), ‘강남’(23.3%), ‘남대문’(17.3%), ‘이태원’(1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인은 '명동'(81.3%), 남대문’(51.3%), ‘동대문’(38.0%), ‘인사동’(36.7%), ‘강남’(17.3%), ‘이태원’(14.7%) 순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백화점, 면세점, 호텔 등이 밀집한 명동은 중국어·일본어 구사자가 많고, 각종 외국어 표지판도 잘 구비돼 예나 지금이나 외국인 관광객의 1순위 쇼핑장소”라며 “중국인은 명동에서 의류와 화장품을 구매한 후 한약재 시장이 밀집된 동대문을 찾는 반면, 일본인은 명동에 들른 후 김과 건어물을 사러 남대문을 주로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에서 쇼핑한 품목을 살펴보면 중국인은 ‘화장품’(86.7%), ‘의류’(61.3%) 이외에 ‘한약재’(39.3%)를 가장 많이 구입했고, 일본인 관광객은 ‘의류’(60.7%), ‘화장품’(52.7)에 이어 ‘김, 건어물’(52.7%)을 주로 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일본 관광객은 쇼핑장소, 지불수단에서 차이를 보였다. 중국인은 ‘시내면세점’(76.7%)을 가장 선호한데 이어 ‘백화점’(49.3%), ‘공항면세점’(47.3%) 순이었으나, 일본인이 즐겨 찾는 업태는 ‘소규모 전문점’(60.0%), ‘시내면세점’(50.0%), ‘백화점’(47.3%) 순으로 집계됐다.

상품을 고르는 기준도 중국인은 ‘품질’(68.7%), ‘가격’(57.3%), ‘브랜드’(35.3%), ‘한국 전통성’(26.7%) 순서인 반면 일본인은 ‘가격’(72.7%), ‘디자인’(36.7%), ‘품질’(27.3%), ‘브랜드’(15.3%)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에서 쇼핑에 지출한 금액을 묻는 질문에 ‘100만원 이상 썼다’는 응답이 중국인 관광객은 전체의 38.7%, 일본인 관광객은 28.7%로 이른바 ‘큰 손’ 관광객도 중국인이 일본인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결제 수단에서도 중국인은 ‘현금’(24.7%)보다 ‘카드’(75.3%)를, 일본인은 ‘카드’(32.7%)보다 ‘현금’(67.3%)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쇼핑주간이 국내 외국인 관광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홍콩은 매년 여름(7~9월)과 겨울(12~다음 해 1월) 두 차례 ‘메가 세일’이라는 쇼핑축제를 연다. 이 기간에는 명품을 최대 70%까지 할인해 준다.

 

‘쇼핑축제가 생기면 한국을 재방문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중국 관광객과 일본 관광객 각각 90.7%, 66.7%가 ‘그렇다’고 답했다. ‘아니다’ 혹은 ‘모르겠다’라고 답한 중국인과 일본인은 각각 9.3%, 33.3%였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중국인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수가 1천2백만명을 넘어 외국 관광객이 유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며 “한국만의 독특한 쇼핑축제를 개발해 외국 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