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개헌론 가시화될까?

posted Feb 12,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회112.jpg

 

 

[스포츠닷컴 박태국 대기자]

12·3 계엄사태가 발발하고 현직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가부 심판이라는 사상 초유의 정치 난국을 맞이한 대한민국은 여야권에서 그간 불발되어온 개헌문제를 이제는 해야 한다고 목소리가 높다.

또 조기 대선이 임박했을지도 모르는 현실 앞에 개헌은 대한민국 정치사의 가장 시급한 명제라는 인식이 국민들에게도 심어지기 시작했다.

제왕적 대통령제에서 권력 분산 대통령제로 헌법을 개정하자는 주장이 여권을 물론이고 야권에서도 나오고 있다.

12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국회 토론회에서 지방분권 개헌을 주장하고,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도 중앙과 지방이 상호 견제할 수 있는 분권형 개헌을 지지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비이재명계인 김두관 전 의원은 분권형 4년 중임 대통령제 개헌을 주장하고 있다.

, 대통령은 외교·안보 분야에 집중하고, 국회에서 선출한 총리가 내치를 담당하는 책임총리제또는 이원집정부제로 권력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는 것이다.

야권 잠룡으로 세간에 회자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이 땅에 내란과 계엄이 다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헌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지 야권의 중심인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와 이재명계 의원들은 개헌 논의에 적극적으로 나서질 않고 있다.

과연 이번 난국에 이 개헌 문제가 가시화 될려는지는 본격적인 논의의 목소리는 여야에서 나오고 있으나 아직은 미지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