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진 대표, “아르헨티나 밀레이 대통령, 우파경제학으로 좌파경제학이 만든 경제적폐를 청산”

posted Feb 07,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포츠닷컴 김경성 기자]

 

632f56dead39815382cf8aa73f6c8adf_1738908505_1868.png

 

경제학자 출신 아르헨티나 밀레이 대통령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긍정적인 경제지표 발표가 줄을 잇고 있다무역수지 개선이 대표적이다. 2023년 11월 559000만달러(약 82000억원적자였던 아르헨티나의 무역수지는 12월 102억달러 흑자로 돌아섰다이후 2024년 11월까지 1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거뒀다.

 

끝없이 오르던 물가도 잠잠해지고 있다아르헨티나 통계청은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발표했다연간 물가 상승률은 117.8%로 여전히 세자릿수였으나, 2023년 12월 211.4%에서 93.6%p 낮아졌다아르헨티나 경제를 옥죄어 왔던 무역적자와 높은 물가상승률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한 모양새다.

밀레이가 2023년 대선에서 전기톱을 들고 썩은 병폐를 도려내겠다는 말을 거침없이 내뱉을때만해도 이 정도 성과를 기대하진 않았다밀레이가 도대체 무엇을 했길래 아르헨티나의 고질병이 하루아침에 사라지고 있는 것일까?

 

밀레이 대통령이 추진한 경제개혁은 바로 좌파경제학이 금과옥조처럼 여기는 정부지출을 줄이는 데서 시작했다그동안 아르헨티나 경제는 정부지출 확대 → 소비 확대 → 수입 확대 → 무역적자 확대 → 통화량 확대 → 물가 상승·페소화 폭락이라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있었다이 고리를 만든 단초인 정부지출을 싹둑 자른 것이다.

 

정부지출을 줄이기 위해 많은 개혁을 실행했다정부 부처 수를 18개에서 9개로 줄이고공무원 수를 삭감했다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고평가된 페소화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정책도 폈다그 결과 암시장 환율과 정부의 공식 환율은 비슷해졌고기업의 수출경쟁력은 살아나기 시작했다경제의 선순환이 시작되자 무역흑자가 늘어나고 물가상승률은 낮아졌다.

 

이 과정에서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정부지출 삭감으로 소비가 감소하면서 순간적으로 빈곤율이 높아지고 있다경제가 완전히 회복되기 전에 겪을 수밖에 없는 고통의 시간이 찾아왔다이 시기를 기다렸다는 듯이 좌파 정치가들이 국민을 선동하여 시위를 부추기고 있다고통스럽지만 이 기간을 무난히 넘기면 아르헨티나 경제는 순풍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공화당 조원진 당대표는 디폴트 국가라는 오명을 쓴 아르헨티나가 정상적인 국가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니 매우 반갑다라면서 밀레이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강력한 우파적 경제개혁이 더욱 성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원진 당대표는 이어서 아르헨티나 사례에서 또다시 보는 것처럼좌파는 포퓰리즘으로 멀쩡한 경제를 망가뜨리고 우파는 개혁으로 경제를 되살린다라며 장기적인 경제성장 정체기에 빠진 한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도 우파 경제학의 경제해개혁뿐이다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