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국내 첫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착공

posted May 31,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북특별자치도, 국내 첫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착공

- 현대건설, 한수원 등과 협업하여 상업용 청정수소 생산 시대 열어 -

- 국내 생산 청정수소 공급으로 친환경 수소경제에 이바지 기대 -

 

전북자치도가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 건설의 첫 삽을 뜬다.

 

전북특별자치도는 30일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북.jpg

 

착공식에는 박한서 산업통상자원부 수소산업과장,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 권익현 부안군수, 나인권 전북도의회 농산업경제위원장, 김원진 자치행정위원장을 비롯해 이규택 전북테크노파크 원장 등 관계기관과 참여기업 대표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전북 부안 수소생산기지는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설비 기반 수소생산시설로,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 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청정수소 생산이 가능한 시설이다.

 

도가 지난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사업으로, (재)전북테크노파크가 주관하고 현대건설㈜, 한국수력원자력㈜, ㈜테크로스워터앤에너지, ㈜테크로스환경서비스 4개 기업이 참여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는 3년간('22.6.~'25.5월) 총사업비 120억원(국비 54.3, 도비 10, 군비 20, 민간 35.4)을 투입해 2.5MW용량의 수전해 설비와, 생산한 수소를 압축(250bar)해 반출하는 출하설비 등으로 구성된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2025년 하반기에는 하루 1톤의 수소를 생산해 부안군의 수소충전소와 신재생에너지단지의 연구시설 등에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수소 1톤은 수소승용차(넥쏘) 200대(5kg 충전 기준)를 충전할 수 있는 용량이다.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는 상업용으로는 국내 최초, 최대규모의 청정수소 생산기지로, 올해부터 추진 중인 부안 수소도시에 친환경 청정수소를 공급하며 대기환경 개선 및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등 수소경제 이행을 촉진하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에서 ▲현대건설은 총괄설계(기본‧상세설계), 기자재 구매 및 시공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은 수전해설비 안전관리계획과 본 사업의 경제성 검토, 수익모델을 전담하고 있다.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환경서비스는 수자원 분야 전문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으로 수소출하설비와 수처리 설비, 시운전을 맡아 추진 중에 있다.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과 같은 수소생산‧공급시설과 인프라를 꾸준히 확보하여 수소산업을 전북의 미래먹거리로 육성하겠다”며,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미래를 전북특별자치도가 선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부안 수소생산기지를 중심으로 하는 청정에너지 자립 부안형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국내외에서 모범이 되는 사례로 만들어 가겠다”며,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