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충청남도, 코로나19 이후 관광 여건 변화 대비 국제행사 유치 전략회의 개최

- 지역 특색 살린 국제행사 유치로 위상 높인다 -

- 경제·산업·문화·관광 자원 활용한 국제행사 및 전시컨벤션 행사 유치 -

 

충남.jpg

 

충남도는 지역 특색을 살린 국제행사를 유치해 위상을 높이고, 이를 통한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 선순환 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도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될 관광트렌드에 부응하고, 글로벌 문화 강국의 위상과 잠재자원을 융복합한 국제행사를 유치해 충남의 특색 있는 자원을 대외적으로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10월 국제행사 유치 수요조사 결과, 8개 시군이 적극 나서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도는 천안시 K-컬쳐 문화엑스포와 서천군 스마트 국제 그린박람회, 서산시 천주교 세계청년대회 등의 유치 방안을 분석 중이다.

 

이와 함께 충남국제전시컨벤션센터가 2026년 완공되는 만큼 MICE(기업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전시)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추진체계 구축 및 국제회의 도시 지정을 위한 기반시설을 갖춰 국제 전시컨벤션 행사 유치에 유리한 환경도 조성할 계획이다.

 

도가 국제행사 유치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2019년 기준 한국관광공사의 시도별 국제행사‧회의 개최현황에서 고스란히 나타난다.

 

당시 전국에서 총 306개의 국제행사가 열렸지만, 도는 기준에 부합하는 국제행사를 단 한건도 개최하지 못했다.

 

대부분 국제행사는 서울(140건), 인천(22건), 경기(20건) 등 인프라가 집중된 수도권과 주요 관광지인 부산(34건)과 제주(30건)에 집중됐다. 올해도 사정은 비슷하다.

 

오는 7월과 10월 보령해양머드박람회와 계룡세계군문화엑스포를 제외하면 확정된 국제행사가 없어 행사의 기획 및 관계 기관과의 협업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도는 이날 도청 대회의실에서 이우성 문화체육부지사와 관계공무원, MICE분야, 관광축제분야, 문화예술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행사유치 전략’ 회의를 개최했다.

 

참석자들은 실국과 시군을 통해 발굴된 행사를 바탕으로 산업·환경·관광분야에 대한 개최여건과 필요성, 기대효과 등을 분석하고, 국제행사 유치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논의했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국제행사 추진 의지가 있는 시군과 협력해 경제·산업·문화·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행사 유치 후보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며 “7월 중 전략을 확정해 유치 절차를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1. 「2022 평창평화포럼」, 뉴욕 필하모닉의 평화 선율과 함께 성대한 개막

  2. 강원도, 2022년 국민신청실명제 운영한다

  3. 2022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 10월 온‧오프라인으로 병행 개최

  4. 전라북도, 초고속인터넷망 도서․벽지까지 확대 구축

  5. 전라남도, 드론 활용 스마트 행정 추진

  6. 충청남도, 코로나19 이후 관광 여건 변화 대비 국제행사 유치 전략회의 개최

  7. 전라남도, 플라이강원 주 4회 운항 신규 노선 취항

  8. 경상남도, 창원~김해~밀양 고속도로 추진 업무협약 체결

  9. 경기도·GH, 경기고양 방송영상밸리 도시개발사업 기반시설공사 착공

  10. 충청남도,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특별 지도·점검

  11. 제주특별자치도, 고병원성 AI 특별방역대책 총력 대응

  12. 전라북도, 해양수산창업투자지원센터 출범

  13. 강원도환동해본부, “삼척 초곡항”어촌뉴딜300 선도 사업비 42억 원 추가 확보

  14. 전라남도. 여수광양항 동북아 물류허브로 도약 박차

  15. 경기도농업기술원, 수벌번데기 이용 방법 등 양봉산업 발전 위한 ‘기술교육’ 실시

  16.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 인조흑연 국산화 기술개발 현장 방문

  17. 무안군, 필리핀 실랑시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업무협약 체결

  18. 강원도, 침체된 폐광지역 관광, 3단계 사업으로 불씨 되살린다

  19. 무안군, 저소득 노인 무릎 인공관절 수술 지원사업 추진

  20. 전라북도, 2022년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 지원사업 본격 시행

  21. 제주특별자치도, 무주택 신혼부부·자녀출산 가구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36 Next
/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