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경상북도, 대구~포항간 광역철도 사업 추진

posted Jan 21,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상북도, 대구~포항간 광역철도 사업 추진

- 대구~영천~경주~포항, 생활․경제․문화 등 기능적 연계 -

- 대구선(동대구~영천),중앙선(영천~신경주),동해선(포항~울산)노선 활용 -

 

경상북도는 1시간대 생활권이 가능한 대구~포항간 광역철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대구~포항간 광역철도는 국토교통부에서 지난해 7월 고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추진 방향에 따라 경북도에서 구상한 신규 사업으로 지방 대도시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대구·경북 메가시티 구축의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한다.

 

대구선(동대구~하양~영천), 중앙선(영천~아화), 동해선(서경주~안강~포항) 3개 노선을 연계하는 기존선 활용해 기존 경부선을 활용한 수도권전철 1호선과 같은 광역 전동열차가 투입되며 총연장 90.4km에 99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기존선 활용형 광역철도는 운행 중인 일반철도 선로 여유 용량을 활용하는 사업유형으로 광역철도 운행을 위한 도시철도형 전동차량 구입, 일반역사 정차를 위한 통신시스템 구축 및 주박·정비를 위한 차량기지 건설을 주요 사업내용으로 한다.

 

노반·궤도·시스템 등은 기존 철도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업비는 줄이고 이용편익은 높이는 이른바‘저비용 고효율’사업이라는 장점이 있다.

 

오전 5시부터 23시까지(19시간) 30분 배차간격에 대구권 광역철도(구미~경산)에 투입예정인 최고속도 110㎞/h 전동차량을 기준으로 열차운행계획을 수립 시 대구~포항 합산 1시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하다.

 

경북1   거리-시간 개념도 2.jpg
거리-시간 개념도

 

 또 7개역 하루 왕복 38회 정차해 철도를 통한 일상적인 교통수요 처리가 가능해진다.

 

현재, 대구~포항은 KTX(왕복 18회/일)가 포항 직결편성이고, 무궁화 일반열차는 지난 12월 영업을 개시한 아화·서경주·안강 신설역사 정차가 하루 왕복 4회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노선개통에 따른 지역민의 체감도가 떨어져 철도교통 수혜확대에 따른 파급효과를 위해서는 광역철도 운행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a433f8c7622963c4977819f44630307d_1642765510_0057.jpg
노선도

 

대구~포항 간 광역철도가 현실화되면 대구ㆍ영천ㆍ경주ㆍ포항 등 대구·경북 거점도시에 촘촘한 광역 교통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역사주변 개발이 용이해지고 인구유출 방지,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대구~포항간 생활·경제권 단일화가 현실화되고 대구·경북 메가시티의 기반 마련이 가능해진다.

 

경북도는 올해 자체 수요분석 연구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노선구축 방안과 당위성을 마련한 후 향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수정계획’ 및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반영을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대구~영천~경주~포항간 곳곳을 광역철도로 연결하여 출․퇴근이 가능한 하나의 대도시로 만드는 사업”이라며, “대구․경북 경제통합과 메가시티 구축을 앞당길 수 있는 만큼 후속조치에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밝혔다.


  1. 경상북도, 귀어귀촌, 스마트수산양식, 유통 선진화, 혁신적 정주여건 개선한다

    경상북도, 귀어귀촌, 스마트수산양식, 유통 선진화, 혁신적 정주여건 개선한다   경상북도는 올해 해양·수산분야에 국·도비 2,626억원을 투입, 해양수산업을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든다.   우선, 어촌의 인력부족과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수산업...
    Date2022.02.03
    Read More
  2. 제주특별자치도, 2022년도 마을만들기 사업에 216억 원 지원

    제주특별자치도, 2022년도 마을만들기 사업에 216억 원 지원 - 특별자치마을 만들기 위원회, 2022년도 마을만들기 시행계획 심의 통과 -   제주특별자치도는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2022년도 마을만들기 사업에 216억 원을 지원한다.   제주도는 28일「제주...
    Date2022.01.28
    Read More
  3. 전라북도, 친환경자동차법 개정에 맞춰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충 추진

    전라북도, 친환경자동차법 개정에 맞춰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충 추진 - 친환경자동차법 개정내용을 담아 전라북도 조례 조속 개정 - - 전기차 충전구역 내 불법 주차 및 충전방해행위 단속, 과태료 부과 시행 -     전라북도(도지사 송하진)는 1월 28일부터 시...
    Date2022.01.27
    Read More
  4. 경상남도,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사업 본격 추진

    경상남도,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사업 본격 추진 -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 기반시설 및 문화·복지·편의시설 확충 -     올해 산업단지 재생사업 361억 원, 구조고도화 사업 76억 원 투입 경상남도는 올해 창원국가산업단지 등 7개 노후산업단지에 437억 원(...
    Date2022.01.26
    Read More
  5. 경기도, 설 연휴 동안 선별진료소 87곳, 임시선별검사소 68곳 운영.

    경기도, 설 연휴 동안 선별진료소 87곳, 임시선별검사소 68곳 운영. - 용인, 안성, 이천 등 고속도로 휴게소 3곳에도 임시선별검사소 운영 - - “고향 방문과 다중이용시설 출입 자제, 일상생활 복귀 전 진단검사 권고” -   경기도가 1월 29일부터 2월 2일까지 ...
    Date2022.01.25
    Read More
  6. 전라남도-효성, 그린수소 육성 1조 투자협약

    전라남도-효성, 그린수소 육성 1조 투자협약 - 수소산업 전주기 실현으로 국가 중심지 도약 기대 -   전라남도는 24일 효성과 약 1조 원을 투자하는 ‘그린수소산업 육성 업무협약’을 하는 쾌거를 거뒀다.     앞으로 전남이 국가 그린수소 중심지로 도약하는 ...
    Date2022.01.24
    Read More
  7. 경상남도,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 강화로 산업구조 고도화 추진

    경상남도,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 강화로 산업구조 고도화 추진 - 스마트공장 2,000개 구축 목표 조기 달성하는 등 스마트공장 저변확대 - -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 강화, 산업현장에 기술 접목 가속화 -     경상남도(도지사권한대행 하병필)는 올해는 스마...
    Date2022.01.24
    Read More
  8. 경상북도, 대구~포항간 광역철도 사업 추진

    경상북도, 대구~포항간 광역철도 사업 추진 - 대구~영천~경주~포항, 생활․경제․문화 등 기능적 연계 - - 대구선(동대구~영천),중앙선(영천~신경주),동해선(포항~울산)노선 활용 -   경상북도는 1시간대 생활권이 가능한 대구~포항간 광역철도 사업을 추진할 계...
    Date2022.01.21
    Read More
  9. 경상남도,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 본격 시동

    경상남도,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 본격 시동 - 경남 산단대개조 지역을 미래모빌리티 첨단부품산업 거점으로 조성 - - 올해 1차년도 23개 사업에 국비 702억 원 확보 -   경상남도는 올해부터 창원국가산업단지 및 사천(제1,2)일반산단, 김해골든루트일반산단, ...
    Date2022.01.20
    Read More
  10. 전라북도,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 추진

    전라북도,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 추진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기업과 청년을 연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 - 올해 모두 105개 사업(누적), 청년 2,700명에 취·창업 지원 -     전북도는 지역 내 기업과 청년을 연계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
    Date2022.01.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 960 Next
/ 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