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유동수 의원, 보이스피싱 10년간 23만 건 발생, 피해액 3조 2천333억 원에 달해

posted Sep 08,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병만 기자]

유동수.jpg

 

지난 10년간 보이스피싱사건은 23만3278건 발생했고, 피해액은 3조 2천333억 원에 달한다. 이는 매일 71건의 보이스피싱으로 9억 8천만 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유동수 의원(인천 계양갑)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5,709건 이었던 보이스피싱 사기가 지난해 31,681건으로 5.5배 급증했다. 피해 금액 역시2012년 595억 원에서 11.8배 증가해 2020년 말 기준 7,000억 원에 달했다. 특히 20년 동기간대비 올해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1,676건 (20년 7월 18,726건) 증가했고 피해액은 1,051억 원(20년7월 3,955억 원)이 많았다. 

 

20년 말 기준 보이스피싱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울(9,049건) 경기,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액은 서울(2,230억 원), 경기, 부산, 인천 순으로 많았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 환급에 관한 특별법과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금융감독원, 법무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7개 기관이 참여한 협의체 출범 이후에도 보이스피싱은 매년 증가할 뿐 줄어들지 않았다. 

 

유동수 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정부 협의체 활동이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서는 금융기관, 금융위원회, 수사기관 한 곳만의 노력으로는 달성되기 힘들므로 상설 전담조직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 의원은 “현재 보이스피싱 신고 전화번호는 112도 있고 금감원 1332도 있지만 한 곳에 전화만으로 사건이 접수돼야 한다”며 “보이스피싱 신고 대표전화에 전화하면 수사와 예방 등 필요한 조치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1. 유동수 의원, 보이스피싱 10년간 23만 건 발생, 피해액 3조 2천333억 원에 달해

    [공병만 기자]   지난 10년간 보이스피싱사건은 23만3278건 발생했고, 피해액은 3조 2천333억 원에 달한다. 이는 매일 71건의 보이스피싱으로 9억 8천만 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유동수 의원(인천 계양갑)이 경찰청으로부터 받...
    Date2021.09.08
    Read More
  2. 강민국 의원, 국민은 원리금 상환에 고통받는데 은행은 3년간 예대금리차 수익으로만 약 120조원 벌어!

    [이영란 기자]   최근 정부의 대출 금리 인상 등 규제 강화로 인해 서민들의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국내 은행들이 대출금리와 예금 등 수신금리 차이로 벌어들이는 예대금리차(예대마진) 수익이 천문학적인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회 강민국 ...
    Date2021.09.08
    Read More
  3. 김주영 의원,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공병만 기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주영 의원(김포시 갑)이 6일 환경친화적 자동차에 전기이륜자동차가 포함될 수 있도록 현행법의 자동차에 대한 정의 규정을 개정하는 내용의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Date2021.09.06
    Read More
  4. 김예지 의원, 장애문화예술인 양성을 지원하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대표발의

    [이영란 기자]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6일 장애문화예술인 양성에 필요한 교육지원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을 대표발의했다.     현행법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
    Date2021.09.06
    Read More
  5. 김원이 의원,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공병만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회, 목포시)은 연중 상시적으로 증인 출석을 포함한 국정감사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은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 일부개정법률안」을 3일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모든 기관에 대...
    Date2021.09.03
    Read More
  6. 양정숙 의원, ‘남북 이산가족 화상 상봉을 위한 촉구 결의안’ 대표 발의

    [이영란 기자]   무소속 양정숙 의원이 3일 대표 발의한 ‘남북 이산가족 화상 상봉을 위한 촉구 결의안’이 여야 의원 48명이 서명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의안은 추석명절을 앞두고 남북 북단으로 인해 가족의 생사조차 확인할 수 없는 이산가족의 아...
    Date2021.09.03
    Read More
  7. 김주영 의원,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공병만 기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주영 의원(김포시 갑)이 2일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 기한을 3년간 연장하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은 청년, 60세 이상인 사람, 장애인 및 경력단절 여...
    Date2021.09.02
    Read More
  8. 권인숙 의원,「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대표발의

    [이영란 기자]   권인숙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교육위원회·여성가족위원회)은 성범죄자 신상정보 우편 고지 대상을 ‘아동·청소년의 친권자 또는 법정대리인이 있는 가구 등’에서 ‘아동·청소년이 세대원으로 있는 가구주’로 변경하는「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Date2021.09.02
    Read More
  9. 김윤덕 의원,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시대변화 발맞춰 변화해야

    [공병만 기자]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는 총 사업비 500억 원 이상에 국고지원이 300억원이 넘는 사업에 대해 비용/편익 분석 등 경제성 논리에 근거하여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로서 무분별하게 제기되는 사업들을 국가가 계량화된 모델을 근거로 통제...
    Date2021.09.01
    Read More
  10. 정태호 의원,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 일부개정 법률안 대표발의

    [이영란 기자]   장애인의 창업과 기업활동을 촉진해 장애인을 적극적 경제 주체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더불어민주당 정태호 의원(서울 관악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은 지난 8월 31일 「장애인기업활...
    Date2021.09.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 509 Next
/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