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근대미술의 뿌리를 찾아서” 대구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때와 땅’ 2월 9일부터

posted Feb 05,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구 근대미술의 뿌리를 찾아서” 대구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때와 땅’ 29일부터

크기변환_경주의 산곡에서In the Gyeongju mountain range, 이인성LEE In-Sung, 1935, Oil on canvas, 129x191cm, 리움 소장.jpg

경주의 산곡에서In the Gyeongju mountain range, 이인성LEE In-Sung, 1935, Oil on canvas, 129x191cm, 리움 소장

 

1920년대부터 50년대까지 대구 근대미술 망라하는 작가 64인의 140여점 출품

서양화를 대구에 도입한 이상정의 전적 발굴 및 공개

근대화가와 예술가들의 교류를 보여주는 아카이브 100여 점 소개

 

대구미술관은 개관 10주년을 맞아 지역미술관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대구시민에게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대구 근대미술을 조명하는 전시 때와 땅29()부터 530()까지 대구미술관 1전시실에서 개최한다.

 

대구근대미술의 백미를 보여주는 전시 때와 땅은 대구에 서양화구가 들어와 미술의 개념이 생긴 1920년대부터 한국전쟁의 상흔을 극복하는 1950년대까지의 대구미술을 다루어 대구 근대미술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의 계기를 마련한다.

 

이번 전시 제목 때와 땅은 단순히 시간과 공간을 나타내는 말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시대적 고난에 맞서고, 나라를 지키고자 한 의지와 해방과 전쟁을 겪으면서도 희망을 이어나간 근대 예술가들의 정신, 시대정신민족정신을 상징한다. 대구는 한국 근대미술의 발상지 중 하나로 어느 지역보다 근대 예술과 문화유산이 풍부한 곳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당시 고난 가운데 꽃피웠던 예술을 살펴본다.

 

전시는 총 5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섹션 예술과 함께 사회와 함께에서는 대구의 전통 서화가 미술로 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3·1운동의 여운이 남아있던 1920년대 시작된 새로운 미술과 그 안에 담긴 정신을 찾아보았다.

 

두 번째, ‘대구 근대의 색에서는 서양화 도입 후 대구 최초의 양화 전문 단체인 향토회를 살펴본다. 김용준 등의 평론가들의 주장으로 향토성 논쟁이 일던 1930년 설립된 향토회의 특징과 이를 이끈 화가들의 면면을 만나볼 수 있다.

 

세 번째, ‘이인성과 이쾌대에서는 대구가 낳은 한국화단의 대표작가 이인성과 이쾌대의 작품으로 근대미술의 백미를 느껴본다. 1930년대 일제 강점기의 조국을 그린 이인성과 1940년대 격동의 조국을 그린 이쾌대의 대표작을 전시한다.

 

네 번째, ‘회화 전문(專門)에 들다에서는 근대미술이 성장하게 된 요인으로 사제관계와 교육의 영향을 다룬다. 일본인 교사와 일본 미술의 영향과 전문 교육을 받고 성장하는 미술인들을 담았다.

 

다섯째 피난지 대구의 예술에서는 해방과 전쟁의 혼란기에 지켜온 예술정신을 살펴본다. 피난지 대구에서 전쟁의 고통 속에서도 예술의 혼을 지킨 이들의 행적을 찾아보고자 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두 가지 특별한 점이 있다. 첫째는 이전에 있었던 여러 대구근대미술전에서 찾지 못한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였다는 것이다. 1920년대 대구에 처음 서양 화구를 들여온 이로 알려진 이상정의 활동과 예술적 성과를 보여준다. 이상정(1896-1947)은 이상화 시인의 형이자 중국군 장교로 복무한 독립운동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17년과 1919년 사이 계성학교 도화교사로 근무하였고, 1921년 개인전을 개최했다. 1923년 대구미술전람회에 양화 작품을 출품한 화가였으며 1923년에는 대구에 미술연구소 벽동사를 설립해 미술연구와 교육을 도모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25년경 중국으로 망명한 후 전각에 심취한 이상정이 자신의 전각작품을 모아 편집한 인보집 2종을 소개한다. 또한 탁월한 문장력을 보여주는 그의 문학적 소양과 미술에 대한 이상을 담은 글을 소개한다.

 

두 번째는 한국 근대미술의 백미를 보여주는 작가 이인성’(1912-1950)이쾌대’(1913-1965)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 수창학교를 함께 다닌 동창이지만 이인성은 1930년대 천재성을 보여주었고, 이쾌대는 1940년대에 절정기를 보여주었다. 이인성과 이쾌대는 굴절된 시대에 순응하지 않고, 불의와 고난을 떨치고 극복하려는 시대정신을 작품에 담았다. 또한 작품의 형식과 기법에서 당대 한국화단을 대표하는 최고의 기량과 원숙함을 보여준다.

 

이인성의 가을 어느 날’(1934), ‘경주의 산곡에서’(1935)은 붉은 흙, 민족을 상징하는 소재의 묘사, 비애의 정서와 같은 민족적 특징을 보여준다. 그가 그린 적토는 조국, 즉 땅에 대한 사랑이고, 땅이 가진 생명력을 상징한다.

 

이쾌대의 1940년대 작품은 해방공간의 이념갈등과 사회적 혼란을 반영하고 있으나 동시에 이러한 현실 극복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던진다. 그의 푸른 두루마기를 입은 자화상’(1940년대 말)은 풍요롭고 평화로운 마을을 배경으로 당당하게 서서 정면을 응시하며 휘날리는 바람을 맞고 있다. 또한 밝은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군상’(1948~1949)시리즈에서는 조국과 민중의 저력을 믿고 미래를 낙관하는 희망을 볼 수 있다.

 

이 전시에는 풍성한 아카이브를 볼 수 있다. 석재 서병오, 서동균, 이인성 등의 화가와 교류한 이상화, 현진건, 윤복진 등 근대 화가와 예술가들의 교류를 보여주는 여러 저서와 전쟁기 피난 예술가와 대구 작가들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자료를 전시한다.

 

또한 근대기 대구문화공간을 해방 전후로 나누어 현재의 대구와 비교해 볼 수 있는 문화지도와 인물지도를 그려보았다. 뿐만 아니라 1920년대와 1950년대 사이 예술가들의 행적을 보여주는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도 보여준다. 특히 대구근대미술을 지킨 사람들을 주제로 작가들의 유족 인터뷰와 대구 1세대 미술사가인 권원순의 인터뷰를 통해 대구근대미술이 이어온 과정을 들어본다.

 

최은주 대구미술관장은 이 전시의 의미에 대해 한국 근대미술의 발상지로서 대구가 지닌 문화적 자양분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전시로 사회를 생각하는 대구근대미술의 정신을 느낄 수 있고, 대구 시민들이 대구 예술에 큰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대구에 선보이기 힘들었던 이인성과 이쾌대의 최고 걸작을 한자리에 모아 시민들과 관람객에게 큰 즐거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삼성문화재단 리움미술관은 대구시민을 위해 근대 걸작 이인성의 가을 어느날’(1934)경주의 산곡에서’(1935) 두 점을 함께 대여해 주었고, 이쾌대 유족은 대작 군상’(1948)군상’(1948) 두 점이 전시될 수 있게 배려해 주었다. 또한 서울, 부산, 대구, 안동 등 전국의 근대미술 소장자들의 도움으로 140여 점의 작품을 모아 전시한다. 대구 근대미술의 최대 규모의 작품과 풍성한 아카이브로 시민에게 많은 즐거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양동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