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통신기지 활용 철새 이동경로 추적 확대

posted Feb 11,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I 매개체' 가창오리에 GPS 부착 (연합뉴스 DB)
 

(세종=연합뉴스) 이광철 기자 =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비하고 멸종위기에 놓인 철새의 보존·연구를 위해 철새 위치추적 장치 부착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정부는 1993년부터 조류 이동 연구용으로 금속가락지 등을 부착했고 2010년부터는 위성(PTT방식), 이동통신기지국(CDMA 방식)을 활용한 위치추적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올해까지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한 철새는 총 18종 169개체로 기러기류, 오리류, 백로류 외에 맹금류인 흰꼬리수리와 참매도 포함돼 있다.

 

이 가운데 올 2월 기준 환경부에서 위치 추적이 되는 철새는 흰꼬리수리, 가창오리 등 8종 38개체이고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적 중인 철새는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등 2종 43개체다.

 

나머지는 위치추적장치의 전지 수명이 다됐거나 철새 개체가 자연사하면서 연결이 끊겼다.

 

환경부는 올겨울 AI 확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의심되는 가창오리 6개체에 지난달 처음으로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했다.

 

위치추적장치는 조류의 크기, 생태 특성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용되는 데 조류 무게의 최대 5% 이내에서만 부착할 수 있다.

 

인공위성을 활용하는 PTT 방식은 장치 무게가 9g으로 가볍고 전지 수명(1∼2년)이 비교적 길지만 개당 가격이 약 1천만원으로 비싸다.

 

이동통신기지국을 활용하는 CDMA 방식은 무게가 50g이 넘어 청둥오리 이상 크기의 조류에만 부착할 수 있지만 가격은 개당 180만원 가량으로 PTT보다 저렴하다.

 

PTT 장치는 현재 흰꼬리수리(2개체), 왕새매(1개체), 참매(1개체), 가창오리(6개체), 쇠오리(1개체) 등 환경부가 추적 중인 5종 11개체에만 부착돼 있다.

정부는 더 많은 조류에 추적장치와 표지를 부착해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인접국과 국제공동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minor@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4/02/11 10:3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