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발효에도 우리 중소기업 수출확대 효과 미지수

posted Oct 07,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관세청 통관자료 기준으로 통계작성을 시작한 2010년 이후, FTA 발효 국가 중 인도와

베트남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중소기업 수출 증가 효과 미미하거나 심지어 축소.

이종배 의원, “중소기업 정책을 소관하는 중기부는 각 FTA별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이나 시장

현황 등을 중소기업에 적극적으로 제공해 FTA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이종배.JPG

이종배 국회의원(충북 충주시, 산자중기위 자유한국당 간사)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관세청 통관자료

으로 통계작성을 시작한 2010년 이후 FTA를 체결한 국가 중 인도와 베트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효과가

 미미하거나 심지어 축소된 것으로 드러났다.

    

수출 증대효과가 명확한 국가는 베트남과 인도로 나타났다. 베트남 수출의 경우 FTA 발효 전인 2014(735백만 달러)에 비해 2017(12474백만달러) 170% 정도의 수출증가율을 보였다. 인도 수출의 경우, FTA 발효 전인 2010(2322백만달러)에 비해 2017(3056백만달러) 131%의 수출증가율을 나타냈다.

 

                                              FTA 발효국에 대한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지역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증가율

인도

2,322

2,331

2,499

1,866

2,347

2,141

2,257

3,056

131

EU

7,552

8,021

8,062

7,275

8,454

7,446

7,825

8,670

114

페루

196

225

202

183

171

171

236

158

80

미국

8,560

9,635

10,338

9,667

11,391

10,860

11,415

11,890

123

터키

790

1,011

999

1,249

1,342

1,120

1,102

1,187

119

호주

902

1,143

1,167

943

985

870

852

908

96

캐나다

734

797

871

776

907

909

834

908

100

중국

23,216

25,083

23,643

22,239

22,986

22,056

22,466

23,312

101

뉴질랜드

162

205

229

207

232

201

179

192

83

베트남

4,075

4,527

5,008

5,691

7,305

8,442

9,517

12,472

170

콜롬비아

183

236

236

209

221

196

202

179

91

 

* 자료 : 중기부 수출통계, 이종배 의원실 재구성

* 2010년부터 관세청 통관자료 기준 통계작성에 따라 2009년 이전 자료는 제출받을 수 없어 2010년 이전 발효국인 칠레, 싱가포르, EFTA,

 ASEAN은 목록에서 삭제함. 인도는 2010년 발효됨.

* FTA 발효 이후 기간을 음영 처리하였으며, 증가율은 2017년 수출액 대비FTA 발효전 연도 수출액임.

 

반면, 수출 증대효과가 미미한 국가는 캐나다, 중국 등이었다. 캐나다 수출의 경우 FTA 발효 전인 2014(97백만 달러)에 비해 2017(98백만 달러) 수출증가율은 100%로 변화가 없었다. 중국 수출의 경우 FTA 발효 전인 2014(22986백만달러)에 비해 2017(23312백만달러) 수출증가율이 101%로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오히려 FTA 발효 이후 수출이 축소된 곳은 페루와 호주, 뉴질랜드, 콜롬비아였다. 페루 수출의 경우 FTA 발효 전인 2010(196백만 달러)에 비해 80% 수준(158백만달러)으로 수출액이 축소되었다. 뉴질랜드 수출은 FTA 발효 전인 2013(232백만달러)에 비해 2017(192백만달러) 83% 수출액이 축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FTA로 인해 시장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회가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로 이어지고 있지 못함을 방증한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수출은 일부 국가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최대 수출국은 중국으로 전체수출액의 22%를 차지하였으며, 베트남(11.8%), 미국(11.2%), 일본(9.3%), 홍콩(4.7%) 순이었다. 아시아지역의 수출의존도가 64.5%로 북미(12.1%), 유럽(11.6%)5배를 상회했다.

                                                        최근 5년간(`13~`17) 중소기업의 주요 수출 상대국

                                                                                                                                                                          (단위: 백만 달러, %)

국가

2013

2014

2015

2016

2017

수출액

비중

수출액

비중

수출액

비중

수출액

비중

수출액

비중

중국

22,239

23.3

22,986

22.3

22,056

22.9

22,466

22.6

23,312

22.0

베트남

5,691

6.0

7,305

7.1

8,442

8.8

9,517

9.6

12,472

11.8

미국

9,667

10.1

11,391

11.0

10,860

11.3

11,415

11.5

11,890

11.2

일본

9,350

9.8

10,089

9.8

8,840

9.2

9,674

9.7

9,868

9.3

홍콩

5,127

5.4

5,228

5.1

5,402

5.6

5,258

5.3

4,964

4.7

인도

1,866

2.0

2,347

2.3

2,141

2.2

2,257

2.3

3,056

2.9

인도네시아

2,802

2.9

2,899

2.8

2,441

2.5

2,598

2.6

2,584

2.4

대만

2,108

2.2

2,513

2.4

2,319

2.4

2,415

2.4

2,559

2.4

태국

1,994

2.1

2,149

2.1

1,916

2.0

2,305

2.3

2,321

2.2

* 자료 : 중기부 수출통계 중 이종배 의원실 상위 9곳 발췌

 

                                                        최근 5년간(`13~`17) 지역별 수출비중 현황

                                                                                                                                                                                    (단위: %)

지역

2013

2014

2015

2016

2017

전체

중소

전체

중소

전체

중소

전체

중소

전체

중소

아시아

57.9

61.6

56.5

61.4

56.3

63.3

57.4

63.7

59.0

64.5

중동

5.8

7.5

6.1

7.2

5.8

6.6

5.3

6.3

4.2

5.7

유럽

12.4

13.0

12.5

12.9

12.6

11.0

12.5

11.0

12.8

11.6

북미

12.0

10.9

13.1

11.9

14.1

12.2

14.4

12.3

12.8

12.1

중남미

6.5

4.3

6.3

3.9

5.8

4.4

5.1

4.5

4.9

4.1

아프리카

2.0

1.4

1.7

1.3

1.4

1.2

1.8

1.0

1.3

0.9

대양주

3.4

0.0

3.7

0.1

3.9

0.2

3.5

0.1

5.0

0.1

* 자료 : 전체 수출은 무역통계, 중소기업은 중기부 수출통계

 

이러한 중소기업의 FTA 낮은 활용도와 일부 지역·국가의 수출 편중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FTA 체결·개정 시 중소기업 정책을 소관하는 중기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이종배 의원은 중기부는 각 FTA별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이나 FTA별 시장현황 등을 중소기업에 적극적으로 제공해 FTA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스포츠 닷컴 최정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