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과수,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사망' 소·대장 가스팽창 확인

posted Dec 18,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과수,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사망'


·대장 가스팽창 확인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발표에 의하면,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숨진 신생아 4명의 1차 부검 결과, 육안으로 사인(死因)을 특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혈액, 약물 등에 대한 검사는 일주일 정도, 최종 부검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한 달 정도 소요돼 정확한 사인 규명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이번 사안이 전문 분야 수사 역량이 필요한 데다 사회적 이목이 쏠린 만큼,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에 사건 수사를 일임키로 했다.


njgh.jpg

 

숨진 모든 아기들, ·대장 가스팽창 발견

 

부검을 진행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18일 오후 7시 서울 양천구 서울과학수사연구소에서 브리핑을 열고 “(숨진 신생아들)장기들에 대한 육안 검사 후 감염 질환 가능성 점검 및 조직 현미경 검사를 위해 다양한 검체를 채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과수는 모든 아기들에게서 소·대장의 가스팽창 소견이 육안으로 관찰된다면서도 장염 등의 정밀한 진단은 조직 현미경 검사, 검사물에 대한 정밀감정을 추가로 진행한 뒤 판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국과수는 투약 오류 가능성과 관련해 현장에서 수거된 수액 및 주사기 세트 정밀감정을 시행하는 한편, 신생아 중환자실 현장 수거 약품 및 오염 여부 등에 대한 감정도 진행할 예정이다.

 

국과수 관계자는 질병관리본부(질본)와 수사기관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현장 재조사 등을 포함해 철저히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과수는 이날 본원 중앙법의학센터장을 책임자로 법의관 5명을 투입해 낮 1220분부터 부검을 실시했다. 부검 실시에 앞서 유족 측 조사 요청사항과 의무기록을 검토했다. 세균 감염이 의심된다는 질본 측 발표와 배가 볼록했고 호흡 곤란 증세가 있었다는 유족 측 주장, 의료과실이나 기기 오작동 여부 등 다양한 요소를 염두에 두고 부검을 진행했다. 국과수에 따르면 숨진 신생아 4명 모두 의무기록상 완전 정맥영양 치료 중이었고 1명만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었다.

 

국과수는 애초 이날 오전 830분부터 부검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내부 회의와 의무기록 검토 등에 시간이 걸려 정오를 넘겨서야 첫 부검을 시작했다. 부검의 3명이 시신 1구씩 공동으로 부검하며 2명은 의무기록을 검토하는 역할을 했다. 질본은 즉각대응팀을 파견해 전날부터 서울시와 함께 역학조사를 실시 중이다. 사망 환아 의무기록을 확보해 분석 중이며, 신생아 중환자실 환경 검체, 사망 환아 검체를 채취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고 이후 퇴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긴 신생아 12명에 대해 이상증세 모니터링도 실시하고 있다. 퇴원한 4명 중 1명은 감기증상으로 17일 입원했고, 병원을 옮긴 8명 중 1명은 기력저하 상태로 파악됐다. 나머지 다른 신생아들은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본은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이들에 대해서도 혈액배양검사를 할 예정이다.

 

서울청 광역수사대, 의료진 11명 조사 방침

 

경찰도 광역수사대장을 팀장으로 하는 수사전담팀을 꾸리고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서울청 직속 전문수사부서인 광수대는 2개 경찰서 이상의 권역에서 발생한 사안이나 전문 분야 수사 역량이 필요한 사안, 사회적 이목이 쏠리는 사안 등을 주로 수사하는 부서다. 광수대 관계자는 당직 체계로 움직이던 전공의 2명과 간호사 5명에 더해 회진하던 교수급 의사 1, (상황이 벌어진) 도중에 지원 왔던 교수급 의사 3명 등 의료진 총 11명이 조사 대상이라고 밝혔다. 애초 진료에는 전공의 2명과 간호사 5명 등 당직 인원만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더 많은 의료진이 관계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전공의 2, 회진 의사 1, 간호사 4명은 사건 발생지 담당인 서울 양천경찰서에서 조사를 받았다. 경찰은 유족과 병원 측 협조를 얻어 현재 의료기록과 인큐베이터 등 기초 자료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기계적 결함, 각종 바이러스·세균 감염, 의료 과실 등 여러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당시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증거 확보를 위해 현장을 보존해둔 상태다. 광수대 관계자는 원인은 인큐베이터의 기계적 결함일 수도 있고, 감염이 문제였다면 감염원은 다른 신생아·의료진·면회인 등 여러 가능성이 있다폭넓게 수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포츠닷컴 사회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