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활원, WHO 재활분야 협력센터 지정 추진

posted Apr 1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포츠닷컴/전재표 기자] 

 

 

보건복지부 소속 국립재활원 원장 방문석은 그간 축적된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성과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보건기구 ‘WHO' 협력센터 재활분야로 지정되기 위한 절차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동 센터는 WHO의 국제보건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 연결망으로써 주요기능은 장애관련통계자료 수집, 가이드라인·메뉴얼 개발 및 보급,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수행, 재활보조기술 적용, 연구 등이다.

 

현재 재활분야는 총 11개국 19개 기관이 지정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결핵관리·정신의학· 국제분류체계 등 분야의 WHO 협력센터가 있으나, 아직 재활분야는 지정기관이 없다.

 

 방 원장은 WHO의 초청으로 2013년 3월 7~9일  홍콩에서 열린『WHO 서태평양지역의 재활협력기관 실무회의*』참석했다. 그동안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재활서비스 향상을 위한 노력과 꾸준한 국제협력 공헌활동을 인정받아 초청된 것이다.

 

 방 원장은 초청 발표에서 국립재활원은 연 10만 명 이상의 장애인이 이용하는 재활 전문병원으로써, 진료·공공재활·임상연구 성과를 통해 축적한 역량이 국제 재활의료 발전에 기여할 수준에 있음을 제시했다.

 

 또한 WHO 관계자(Ms. Pauline KLEINITZ)와 재활지침 제정·지역사회중심재활·전문가 파견 등의 분야에 WHO와 국립재활원이 협력해 나갈 것을 합의하였다.

 

 국립재활원은 향후 2년간의 예비협력기간동안 다양한 국제협력 활동을 수행하고 실적을 쌓아 2014년 재활분야 협력센터로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방 원장은 “WHO 재활분야 협력센터로 지정되면 해당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받아 국내외의 인지도 향상은 물론 국제무대에서 정보교류 및 재활기술 개발협력에 대한 접근성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며, “국립재활원이 가진 재활분야의 경험과 기술을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장애인 재활분야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온 국립재활원이 WHO와의 협력을 통해 세계 재활의료 수준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우리나라 재활의료분야의 위상도 함께 높아질 전망이다.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