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올해 하반기까지 사드 1기만 배치키로 당초 합의“

posted Jun 22,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 대통령, "올해 하반기까지 사드 1기만 배치키로 당초 합의

 

문재인 대통령은 22"제가 대통령이 된 후 보고받은 바에 의하면 원래 한국과 미국 사이에 사드 배치 합의를 할 때 금년 하반기까지 사드 미사일(발사대) 한 기를 야전배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하고 "나머지 5기는 내년도에 배치하기로 스케줄이 합의됐었다"고 강조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 전체 사드 배치 과정이 가속화됐는지는 모르겠다""국내 법과 규정을 적절히 이행했는지를 확인하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드 배치 일정에 대한 한·미 양국간의 합의 사항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wodf.jpg

 

북한 가까운 장래에 핵탄두 ICBM 배치기술 확보할 것

 

, 문 대통령은 22"북한이 머지않아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핵탄두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배치할 기술을 손에 넣게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를 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핵 이슈를 계속 최우선 순위에 둔다면 한미가 북핵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인터뷰는 오는 28일 첫 미국 방문을 앞두고 미국 CBS 방송, 워싱턴포스트에 이어 세 번째로 한 외신 인터뷰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핵 이슈를 그의 외교 어젠다에서 최우선 순위에 올려놓는 결단을 해준 데 대해 매우 기쁜 마음"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양국 정상이 북한을 우선순위에 올려놓은 것이 북핵 이슈가 해결될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북한이 ICBM을 시험 발사하거나 6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강한 제재가 부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가능성에는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위한 어떠한 노력도 진행하고 있지 않다""비핵화를 향한 의미 있는 결과가 보장될 때에만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북핵 위기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중국이 북한의 추가 도발을 멈추게 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고 믿지만 아직 체감할 수 있을 만한 결과는 없다""중국이 북한 위기 해결을 위해 더 큰 역할을 할 여지가 더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은 북한의 유일한 우방이고 북한에 대부분의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나라"라며 "중국의 도움 없이는 제재가 결코 효력을 거두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논란과 관련해서는 "곧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기를 희망한다""시 주석과 만날 기회를 갖는다면 (한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직면한) 이 모든 제재를 해제해달라고 요청하겠다. 이것은 피할 수 없는 의제"라고 밝혔다.

 

G20에서는 시 주석 외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포함한 각국 정상과 최대한 많이 만나 북핵 관련 논의를 주요 의제로 끌어올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일본과 더 수준 높은 정보 공유를 희망한다"면서도 "일본의 군비 증강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일본이 과거사를 돌아보고 그런 행위가 결코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굳은 결심을 보여줄 수 있다면 한국은 물론 여러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가 훨씬 진전될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지난 박근혜 정부에서 체결한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선 "많은 한국인이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며 부정적 시각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은 양국 역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면서 독도 문제에 관해서도 "일본이 계속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포츠닷컴 국방안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