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비'로 美 아카데미상 장편 애니 부문 예비 후보 올라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한국 애니메이션이 아카데미에 갈 수 있다는
생각을 아무도 못 했어요. 그걸 환기시켰다는 것만도 만족하죠."
지난 5일 미국 언론들이 보도한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 애니메이션 부문 예비후보 19편 중에는 한국 작품 '사이비'가 포함됐다.
최종 후보는 5-6개 작품 정도로 추려지겠지만, 디즈니-드림웍스 등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쟁쟁한 작품들과 함께 예비 후보에 이름을 나란히 올린 것만 해도 한국 애니메이션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최종 후보는 내년 1월 16일 발표될 예정.
'사이비'의 국내 개봉을 앞두고 20일 남산 애니메이션센터 근처에서 만난 연상호 감독은 지금까지 해외에서 주목받은 것만도 큰 성과라고 했다.
사회 계급 문제를 다룬 '돼지의 왕'이 칸국제영화제 비평가주간에 초청된 것을 비롯해 유수의 해외 영화제에 불려다니며 한국 애니메이션의 존재감을 보여준 데 이어 두 번째 장편 '사이비' 역시 올해 시체스국제영화제 애니메이션 최우수작품상을 받고 토론토국제영화제와 미국 AFI영화제에도 초청됐다.
다음은 연상호 감독과의 문답.
--아카데미 최종 후보 지명에 대한 기대감이 있나.
▲눈곱만큼만 기대하고 있다(웃음). 우리 영화의 약점이 뭔지 잘 알기 때문에 별로 큰 기대는 없다. 미국인들에게 불편하고 껄끄러울 수 있는 종교 문제를 다룬다는 것과 현재 미국 배급사가 없다는 것이 약점일 것이다. 하지만 예비 후보에 오른 19개 중에서 작품적으로 꿀릴 건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 결과에 상관없이 실사영화가 아닌 애니메이션이 아카데미에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환기시켰다는 것만도 만족한다.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후보는 나라마다 후보를 내서 예비후보만 70-80편이 되니 한국영화가 별로 주목받지 못한다. 하지만 장편 애니메이션 부문은 예비후보만으로도 주목을 받았고 LA타임스 같은 매체는 '사이비'를 특별히 언급하기도 했다.
--'사이비'로 영화제에 많이 초청됐는데, 해외 반응은 어떤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바람이 분다'와 비슷한 시기에 나와서 영화제를 여러 번 같이 갔는데, 두 작품이 너무 다르니까 그쪽에서 아주 흥미롭게 보고 같이 붙여서 얘기하는 경우가 많더라. 아시아의 2D 애니메이션이란 공통점이 있지만, 거장과 신인감독이라는 차이와 한쪽은 극단적인 어두움을, 한쪽은 굉장히 낭만적인 것을 그렸다는 점에서 극과 극이라고 보더라.
--'돼지의 왕' 이후 많은 변화가 있지 않았나.
▲'돼지의 왕'이 개봉한 다음해에 칸영화제에 갔는데, 칸에 가면서부터 더 많
은 변화가 있었다. 많은 기회가 왔다. 그러면서 두 번째 작품을 만드는 다른 감독들에 비해서 그 시기를 잘 넘어간 것 같다.
--'소포모어 징크스'가 없었단 말인가.
▲그렇다. 데뷔작으로 화제작을 만든 감독들은 두 번째로 넘어가는 게 쉽지 않다. 두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지 않나. 생각지도 않게 주목받았으니까 그것보다 더 나은 걸 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하지만 '사이비'의 시나리오를 '돼지의 왕' 개봉 전에 이미 써놨기 때문에 그런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만약 시나리오 준비가 없었다면 시간이 오래 걸렸을 거다. 영화 만들고 나서의 평가도 "'돼지의 왕'만 못한데?" 하는 반응은 별로 없더라. '돼지의 왕'과 비슷한 데가 있고 좀 더 낫다는 게 대부분의 평가라서 다행이다.
--완성된 작품에 대한 아쉬움은 없나.
▲아쉬움보다 만족감이 크다. 주변에서 엔딩을 다르게 갔으면 좋겠단 얘기를 되게 많이 들었는데, 판단이 안 서더라. 들어보면 괜찮긴 한데, 그래도 처음에 쓴 게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영화)판이 워낙 다양한 욕구들이 있는 판이기 때문에 뭔가 (중심을) 못 잡고 가면 힘들 수도 있겠단 생각을 하는 편이다. 신인감독은 약할 수밖에 없는 위치니까 더 그런 중심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영화 '사이비' 중. |
--'사이비'의 이야기는 어떻게 구상한 건가.
▲한국사회를 보면 어떤 사람이 뭔가를 주장할 때 옳은 주장인가, 아닌가보다는 그 주장을 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를 많이 보는 것 같다. 거기서부터 얘기가 시작됐다. 아주 단순한 사실을, 사람들이 정말 싫어하는 사람이 얘기하면 반응은 어떨까. 그래서 누구나 싫어할 수밖에 없는 캐릭터(영화 속 '김민철')를 만들어내고 그가 얘기하는 단순한 사실을 보여준 거다. 영화 속에 그린 진실과 거짓의 문제는 사실 아주 1차원적이다. 하지만, 김민철이 얘기하는 거짓과 사실의 문제와 마을 사람들이 얘기하는 거짓과 사실의 문제는 완전히 다른 층위인 거다. 그게 충돌한다.
--인간은 믿음 없이는 살 수 없지 않나.
▲물론이다. 신념이라든가, 가치라든가 그런 걸 갖지 않고 살 수는 없다. 그게 가족에 대한 사랑일 수도 있는 거고 믿음의 종류는 되게 많다. 하지만 모든 신념이나 믿음은 양날의 칼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해하지 못하는 믿음이라고 하는 건 안 좋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우리는 뭔가를 믿고 살 수밖에 없지만, 그 믿음의 이면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걸 아는 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야기 구도를 종교 안에 넣은 건 그저 쉽게 보여주기 위한 설정인가.
▲맞다. 믿음이란 주제를 갖고 뭔가 표현하기 위해서는 더 깊은 얘기를 하고 싶은데, 뭔가가 빨리 설정이 돼야 하거든. 그 설정을 이해시키기 어려우면 이야기를 들어가기가 힘들다. 사이비 종교는 그저 쉽게 보여주는 소재였을 뿐이다.
--주인공으로 목사가 등장하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에게 오독될 수 있는 소지도 있어 보이는데.
▲'사회 고발'이란 카피와 이 영화가 만나니까 마치 기독교를 고발하는 영화처럼 보이는데, 오히려 장르영화로 읽히는 게 낫다. '시골 하드보일드 스릴러' 정도로 읽히는 게 맞다. 실제로 영화 시사회를 보고 문제를 제기하는 기독교인은 아직 없다. 영화 제목이 '사이비'지 않나. 이 영화를 기독교에 대한 얘기로 읽는다면 기독교가 사이비란 걸 인정하는 꼴 아닌가. 오히려 기독교신자 아닌 분들이 그런 우려를 많이 하더라(웃음). 사실 나도 매주 교회에 나가는 사람이다.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어두운 작품을 만들 건가.
▲요즘 나의 큰 이슈 중 하나가 변화다. 새로운 걸 보여줘야 하는 시점이 분명히 왔다. 그걸 보여주는 게 큰 숙제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11/21 07:03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