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에도 라돈이? 전국 다섯 가구 중 한집 권고기준 넘어

posted Jan 25,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 조사대상 주택의 22.2%가 실내 라돈 고농도 주택으로 나타나-
    

- 주택 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지역별로는 강원도, 전라북도 순으로
      권고기준 초과율 가장 높아-

 

 

흡연에 이어 폐암 발병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인 라돈이 전국 주택의 다섯 가구 중 한 집 꼴로 권고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장관 유영숙)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석순)은 22일 전국 7,800여 주택을 대상으로 2011년 부터 2012년까지 2년 간 겨울철에 실시한 ‘전국 주택 라돈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국내 주택 내 라돈 농도 수준 및 전국의 농도 분포를 파악해 주택 실내 라돈 관리 방안

을 마련함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2010년부터 실시됐다.

환경부와 과학원은 사람이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 중 라돈에 의한 노출이 약 50%이며, 토양과 실내

의 온도 차이가 크고 환기율이 낮은 겨울철에 실내 라돈 농도가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겨울철에 집중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 주택 전체 7,885호 중 22.2%인 1,752호가 라돈에 관한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 148 Bq/m3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 유형별 실내 라돈 농도는 단독주택이 권고기준을 33.0% 초과해 가장 높았으며, 연립/다세대

주택 14.4%, 아파트 5.9%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실내 라돈 농도는 강원도가 조사대상 주택 424호 중 42.0%에서 권고기준을 초과해 가장 높

았으며, 전라북도는 494호 중 40.7%가 권고기준을 초과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 울산은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권고기준 초과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를 통해 라돈 고농도 주택으로 확인된 600가구를 포함해 라돈 노출에 취약한 총 1,000가구에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실내 라돈 무료측정 및 저감 컨설팅을 지원하고, 알람기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12월까지 주택 라돈 저감을 위한 표준 시공 매뉴얼을 제작하고, 2014년 초까지 전 국

민에게 공개?배포할 예정이다.

취약 주택(지하, 1층)에 대한 실내라돈 무료측정 서비스는 1월 23일부터 한국환경공단

 (www.keco.or.kr) 또는 생활환경정보센터(www.iaqinfo.org)에서 신청할 수 있다.
  ※ 무료측정 서비스 신청 관련 문의처 : 한국환경공단 환경보건정책팀(☎ 032-590-4733)

아울러 환경부는 2013년 중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을 개정해 지금까지 다중이용시설을 중점으로 관리하던 기존 정책에서 나아가 주택 등 실내공간의 관리기준을 설정하고, 고농도 라돈 관리지역에 대한 저감공법 사용 권고, 취약시설 실태조사 확대 등 다양한 저감 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방침이다.
 

특히, 과학원은 국민들에게 이번 조사 결과를 공개해 실내 라돈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자발적

인 저감 노력을 유도할 예정이며, 2020년까지 겨울철마다 2년 단위로 전국 주택 라돈 조사를 실시

해 주택 실내 라돈 관리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조사에 대해 과학원 관계자는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은 토양, 암석 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해

건물의 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므로 바닥과 벽에 틈새가 많거나 토양과 인접해있는 경우, 라돈이 많이 방출되는 토양 위에 위치한 주택에서는 실내 라돈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날씨가 춥더라도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준다면 실내 라돈 농도를 상당 부분 낮출 수

있다”며 “충분한 환기가 라돈의 위험으로부터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를 담은 전국 실내 라돈 지도와 라돈 저감을 위한 매뉴얼, 동영상 등 다양한 관련 정

보는 생활환경정보센터(http://www.iaqinfo.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www.newssports25.com

최혜빈 기자 chb0508@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Articles

541 542 543 544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