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개인 가처분소득의 137%로 악화

posted Nov 01,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 중구 충정로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에서 시민이 은행관계자와 상담하고 있다. <<연합뉴스DB>>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올해 6월 말 현재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이 역대 최고인 지난해 기록을 뛰어넘은 137% 수준으로 추정됐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는 980조원이고 직전 1년간 개인 가처분 소득은 717조6천억원인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따라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6월말 현재 137%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해의 136%보다 악화된 것이다.

 

<그래픽/> 가계부채 비율 추이
<그래픽> 가계부채 비율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는 980조원이고 직전 1년간 개인 가처분 소득은 717조6천억원인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따라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6월말 현재 137%로 추정됐다. kmtoil@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이 지표는 개인들의 1년간 가용 소득으로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얼마나 되는지 보여주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소득으로 빚을 갚기가 어려운 만큼 가계부채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수치다.

2003년에는 107%였으나 카드 사태의 여진이 수그러들면서 2004년 103%로 떨어지고서 그 이후에는 주택담보 대출과 가처분 소득 증가의 둔화 등 요인 때문에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도 이 지표가 악화된 이유는 개인의 처분가능 소득에 비해 가계부채가 더 빠르게 늘어난 때문이다.

올해 가계부채는 1분기에는 감소했지만 6월말 부동산 취득세 감면 종료를 앞둔 주택 거래의 증가, 전세가 상승에 따른 전세자금 대출 등으로 2분기에는 다시 늘었다.